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9843912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4-12-1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부산항 국제여객 부두에서 8
제1장 한일 생선 교류의 현재
─ 수산물 거래 현장을 가다
부산 남항과 부산공동어시장 23
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
─ 한국 수산물 수출입 현황 27
조기와 명태 31
한일 수산물 교류 35
한일 수산물 무역 현장을 가다 41
넙치 양식장에서 44
한국 양식사를 살펴본다 49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한일 수산물 무역 52
제2장 먹장어구이의 생활문화사
─ 그 기원을 찾아
자갈치시장의 먹장어구이 61
먹장어라는 물고기 66
먹장어구이의 기원을 찾아서 68
니가타에서의 먹장어 조사 70
니가타와 조선을 잇는 ‘선’ 74
부산에서 이루어진 먹장어 이용 연구 76
먹장어구이의 보급 81
피혁 공장을 찾아서 85
자갈치시장 88
부산과 곰장어 92
제3장 임시 수도 부산 피난민의 생활 기록
─ 한국전쟁 와중에
굳세어라 금순아 99
한국전쟁 ‘1.4후퇴’ 101
흥남 철수 104
판잣집 107
영도다리 115
국제시장 118
배달되지 않은 편지
─ 북쪽 사람들의 육성 122
어느 실향민 2세의 이야기
─ 피난민의 생활 기록 125
월남 ─ 평안북도 용천에서 서울까지 127
부산 영도에 정착 ─ ‘요코’ 공장의 일 131
아버지의 마음을 생각한다 133
실향민 2세로서 139
통일에 대한 생각 143
제4장 명태와 북어
─ 한국 재래 수산업의 과거와 현재
명태 ─ 한국에서 사랑받아온 생선 149
민간신앙 속의 북어
─ 그 영험한 힘은 어디에서 올까 156
명태 어업, 자망 작업과 주낙 작업 163
덕장 ─ 북어 제조 공정 173
강원도 속초 ─ 명태잡이와 아바이마을 177
거진항에서 설악산 황태 덕장으로 186
제5장 식민지와 학문
─ 어류학자 정문기와 우치다 게이타로
정문기, 조선산 어류 연구로의 길 197
시부사와 게이조와의 만남 201
시부사와 게이조와 조선인 유학생 207
조선 농촌 조사 ─ 유학생 강정택 209
조선총독부 수산시험장과 우치다 게이타로 216
식민지성의 잔재 ─ 정문기의 문제 224
우치다가 말하지 않은 사실 233
유리판에 갇힌 물고기 243
제6장 일본의 식민지 통치는 무엇을 남겼는가
─ 명태잡이를 둘러싸고
명태 관련 산업 ─ 객주의 지배 체제 254
일본 어업자가 주도한 명태 기선저인망 어업 259
‘조선인어민의 몰락’론을 검토한다 268
개발이란 무엇이었는가 274
제7장 갯장어의 여행
─ 남해에서 교토로
교토시 중앙도매시장
─ 기온 축제에서의 갯장어 289
수산업이 왕성한 통영 297
갯장어잡이 현장으로 ─ 경상남도 고성 299
일본 어업자의 조선 이주 303
조선의 오카야마촌 306
활어 운반선 310
공수되는 갯장어 316
마지막 장 해협을 건너는 바람을 타고
─ 시모노세키에서 부산으로
해협 도시 시모노세키 323
한일 수산물 무역의 또 한 현장인 시모노세키항에서 327
활어차 2,000킬로미터의 여행 331
A씨와 다닌 영도 336
여행의 끝에서 ─ 동삼동 패총 유적으로 340
바다를 향한 기원 348
후기를 대신해서 357
참고문헌 359
색인 365
리뷰
책속에서
놀라웠다. 이렇게 많은 종류의 어패류가 일본과 한국 사이를 날마다 왕래하고 있었던 것이다. 전에 부산에서 먹은 ‘곰장어구이’라는 음식은 부산 명물이라고 하기에 막연히 한국 ‘물고기’라고만 생각했다. 오사카에 있는 해산물 선술집에서 먹은 그 넙치회도, 그때는 생각도 못했지만 한국에서 활어차로 운반해온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자신이 먹고 있는 생선이 어디에서 어떻게 움직여 내 입에까지 들어오게 되었는지에 대해 지금까지는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 또한 당연한 일이지만 어패류를 잡는 사람, 거래하는 사람, 운반하는 사람이 있어서 그것들이 우리 부엌 또는 음식점까지 도달하는 것이다. 하지만 ‘물고기’와 함께 있는 그런 ‘사람’들의 모습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필자는 ‘곰장어구이’라는 요리 이름을 처음 들었을 때 철판이나 알루미늄 포일 위에서 ‘볶는’ 조리법을 가리켜 ‘구이’라는 말을 붙이는 데에 의문을 가졌다. 구이는 보통 ‘갈비구이’, ‘생선구이’처럼 식재료를 불에 구워 조리하는 데 붙이는 말이다. 곰장어구이처럼 알루미늄 포일에 볶는 조리법은 분명 ‘볶음’이다. 부산 명물 요리 가운데 ‘낙지볶음’이 있다. 먹장어구이 같은 경우 낙지볶음처럼 조리하는데, 먹장어인 경우에만 어째서 ‘구이’라고 할까. 《13년 시험 보고》에 쓰인 문구에서 이 의문도 풀 수 있었다. 먹장어 요리는 처음에 양념에 잰 먹장어 살을 꼬치구이로 하거나 석쇠에 굽는 ‘구이’ 요리로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그 뒤에 살에서 나오는 지방분을 좋은 맛으로 살리고자 현재처럼 철판이나 알루미늄 포일 위에다 볶는 요리법이 보급되었다. 그리고 남은 국물로 맛있는 볶음밥도 만들게 되었고, 요리가 다양해졌다. 단지 이름만은 옛날 이름 그대로 곰장어구이로 남은 것이다. 그런 먹장어 요리의 ‘역사’를 상상해본다.
명태 관련 산업에서는 북어 20마리를 ‘1쾌’로 하고, 100쾌를 ‘1타’라고 한다. 따라서 1타는 북어 2,000마리가 된다. 덕장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은 덕장 한 층에 15타(3만 마리)를 건다고 한다(〈정씨 논문〉). 요즘은 슈퍼마켓에서 한 마리씩도 팔지만 예전에는 시장에서 북어를 살 때 1쾌 단위로 샀고, 또 상인이 북어를 거래할 때에는 ‘타’가 기준 단위였다. 참고로 ‘타(駄)’에는 ‘말(馬)’ 자가 들어가 있듯이 ‘말 한 마리가 짊어질 만큼의 무게’를 가리킨다. 조선 시대 때에는 함경도에서 서울까지 말 등에 북어를 싣고 운반했던 것이다. 수송 수단이 말이었을 무렵 ‘타’라는 단위는 유통업자들 사이에서 말을 몇 마리 준비하면 되는지 같은 운송 방법과 운송비를 즉시 산출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이미지를 함께 갖춘 지표였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