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8439552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8-11-2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노동과 교육이 만나는 길
1 노동야학, 노동과 학습의 만남
노동자의 밤, 노동야학
한국 야학의 역사 속 노동야학
검정고시야학, 생활야학, 노동야학
노동교육과 노동야학
2 노동야학의 시작
노동야학의 씨앗, 전태일과 청계피복노조 노동교실
1970년대, 겨레터야학
노동야학의 본격화
야학협의회와 《비바람 속에 피어난 꽃》
3 노동야학의 전국적 확산
노동야학의 불길
대구 지역 노동야학
부산 지역 노동야학
광주 지역 노동야학
4 몫 없는 자들의 글쓰기, 말하기
노동자 학생의 눈으로
누가 야학에 왔는가?
공돌이와 공순이, 못 배운 한
출세의 지식과 해방의 지식
노동자 학생의 변화: 참된 배움과 윤리적 주체
배움을 가로막는 것에 대한 저항
5 노동야학 두텁게 보기
노동야학을 둘러싼 다양한 관계
노동운동 사건들 속 노동야학
화이트 노동사와 노동야학
프레이리의 의식화 이론
랑시에르의 ‘프롤레타리아의 밤’
랑시에르의 틀로 본 노동야학
6 노동야학의 쇠퇴와 소멸
노동야학과 민중교육
1980년대 이후 노동교육의 전개
야학의 쇠퇴와 한계: 의정부 디딤돌야학
현실의 변화와 괴리: 관악노동자학교
노동운동과 노동교육의 경직화: 인천노동자대학
노동야학은 왜 쇠퇴했는가?
7 노동과 학습의 새로운 만남을 위하여
한국 사회에서 노동과 학습
민중교육과 노동교육의 연계
: 프레이리 이론을 적용한 캐나다 노동교육 방법론
노동자 스스로 지식 창출: 노동자 건강과 참여적 실행 연구
노동-학습 연계의 사회적 모델: 스웨덴 사례를 중심으로
나오며 ‘노동’과 ‘야학’을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