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73071508
· 쪽수 : 287쪽
· 출판일 : 2024-11-08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참여와 실천을 통한 새로운 지식의 생산, 참여실천연구
들어가며
참여실천연구의 이론적 배경
참여실천연구의 특징
참여실천연구의 과정
참여실천연구의 세부 방법들
참여실천연구 사례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참고 웹사이트
2장 억압받는 자들의 연구: 팔스 보르다 참여실천연구 사례
들어가며
초기 참여실천연구의 흐름: 프레이리의 생성적 조사와 연구
팔스 보르다의 참여실천연구
참여실천연구의 출발: 만화 다큐멘터리를 통한 액션리서치
보편과학과 인민과학의 통합: 해안의 두 역사
억압받는 자들의 대항적 삶의 철학: 참여실천연구
팔스 보르다의 참여실천연구 세부 방법과 무토지농민운동
참여실천연구의 성장과 확산
참고문헌
참고 웹사이트
3장 젠더, 차이와 잠재력을 위한 학습과 실천
들어가며
젠더에 대한 분석을 통한 학습과 실천: 페미니스트 참여실천연구
젠더 분석을 통한 잠재력 찾기: 젠더행동학습시스템
참고문헌
참고 웹사이트
4장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
들어가며
지역사회혁신과 리빙랩
참여적 지역사회 기반 계획 수립: 주민자치회와 로컬랩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
참고문헌
참고 웹사이트
5장 참여적 공동체 개발을 위한 학습
들어가며
참여적 개발의 선구자, 로버트 챔버스
참여적 개발 방법론의 실제
참여적 개발에 대한 우려와 비판들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6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참고 웹사이트
6장 힘(권력)의 성찰을 통한 학습과 실천, 파워큐브
권력과 지식의 재개념화, 파워큐브의 탄생
권력에 대한 새로운 해석
파워큐브의 이론적 개요
파워큐브의 활용
파워큐브 활용 국제 사례: 주빌리 2000 채무 캠페인과 권력 분석
파워큐브 활용 국내 사례: 시민건강위원회와 참여 거버넌스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참고 웹사이트
글을 마치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나온 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평가는 새로운 지식 생산의 출발점이 된다. 실천과 성찰은 지식이 새로운 지식으로 진화하는 데서 필수적이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또한 참여실천연구는 지식 생산의 주체, 참여적이고 공동 협력에 기반한 연구 과정, 차이와 다양성에 대한 인정이라는 측면에서 대화적, 윤리적 과정이다. 참여실천연구에서는 지식 생산과 연구 윤리적인 측면에서 스스로의 활동들에 대한 역사적 분석과 성찰을 매우 중요한 과정과 태도로 여긴다.
참여실천연구는 기존의 지식 생산 과정이 권력관계 속에 있음을 비판하며, 권력 불평등을 지식 생산 구조를 통해서 회복하려는 인지 정의(cognitive justice)를 실천하는 과정이다. 지식의 생산, 실행, 해석 권한에 대해 ‘위임 없음의 원칙(the principle of no delegation)’을 갖고 문제 당사자나 공동체가 직접 연구와 분석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생산해야 함을 강조한다.
팔스 보르다의 참여실천연구는 억압받은 자들이 말하지 못했던 것을 표현하게 하고, 해석되지 않았던 것을 다시 역사적으로 주의 깊게 해석하게 하고, 숨겨졌거나 잃어버린 지식들을 정치적 행동과 성찰을 통해 되?찾는(re?search) 과정임을 실천적으로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