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98439767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9-12-30
책 소개
목차
서문 ・・・・・・・・・・・5
| 제1부 | 한국의 지방선거: 1952년 지방선거에서 1995년 지방선거까지
1장. 한국의 지방선거와 지방자치 ・・・・21
2장. 6・27 지방선거 결과 분석과 지방자치 ・・・・52
| 제2부 | 강원도지사 선거와 도민의 정치의식
3장. 강원도지사 선거와 도민의 정치의식: 제1~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87
4장. 강원도 4・27 도지사 보궐선거에서의 투표행위와 도민의 정치의식 ・・・・132
5장. 강원도의 6・13 지방선거 결과와 도민의 투표성향 ・・・・185
| 제3부 | 강원도지사 선거의 회고와 전망
6장. 지방선거의 개괄과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의 특징 ・・・・223
7장. 투표율과 강원도지사 선거를 통해 본 강원도민의 정치의식과 표심 전망 ・・・・233
참고문헌 ・・・・・・・・248
찾아보기 ・・・・・・・・259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와 같이 이승만 정권에게는 처음부터 지방자치 이념 같은 것은 안중에도 없었고 오로지 장기집권과 정권 연장을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서의 지방자치제도가 있을 뿐이었다. 따라서 지방자치법은 정세판단에 따라 번번이 개정되었고, 그에 준거해 여러 형태의 지방선거들이 파행적으로 치러졌다.
제5공화국의 집권세력은 국민의 민주화 욕구를 해소하고 정권의 취약한 정통성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방자치에 대한 기대를 자극했다. ‘1987년 상반기 중 지방자치제 실시’를 약속했던 것이다. 하지만 제5공화국 정부는 그 약속을 끝내 지키지 않았다. 제5공화국의 전두환 정권이 한 것이라고는 정권 말기에 ‘6·29 선언’을 통해 ‘지방자치의 조속한 실시’를 다시 선언한 게 전부였다. 그나마 그것은 갈수록 강화되어가던 민주화의 압력과 정권 재창출의 필요성 때문에 취한 조치였다. 제5공화국의 상속자인 제6공화국에서는 지방자치의 실시를 위한 지방자치법의 전면 개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여소야대 국회와 3당 합당 정국을 거치면서 지방자치의 실시는 또다시 유보되다 우여곡절 끝에 1991년 결실을 보게 되었다. 하지만 선거의 측면에서 볼 때, 그것은 지방의회의원 선거에 국한된 반쪽짜리 지방자치제에 불과했다.
강원도에서 그동안 대체 무슨 일이 있었기에 강원도민과 외지인들이 연이은 두 번의 도지사 선거 결과를 일대 사건으로 받아들였을까? 이 장의 연구 목적은 위의 두 차례 선거 결과에서 표출된 강원도민의 정치의식과 투표행위를 재조명하고, 그 과정에서 뭔가 의미 있는 답변을 도출하려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