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지방사
· ISBN : 9788998937393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6-12-16
책 소개
목차
2016년 부산학총서 발간사
Prologue- 부산의 일상생활문화유산을 찾아서
1부. 일상에서 생활문화유산
<서민과 함께한 음식 그리고 음식 골목>
1. 너무나 부산스러운 음식, 수중전골에서 씨앗호떡
2. 남포동의 먹자골목에서 부산을 만나다, 순두부와 지짐
3. 뒷골목의 피할 수 없는 유혹, 할매와 백광
4. 황혼의 로맨스와 부전시장 명태대가리전
5. 부산항 부두 노동자의 애환, 숯불갈비 골목
6. 산행의 끝자락에서 만난 꽃동네 먹거리 골목
7. 마라톤과 서면 먹거리 골목, 세대를 나누다
8. 배고픈 청춘들의 먹거리, 고갈비의 추억
9. 빵 그리고 만남의 추억, B&C 그리고 설빙
<서민의 일상의례>
1. 자연분만의 성지, 출산과 여성의 건강을 책임져 온 일신기독병원
2. 3대로 이어온 60년 사진 명가 ? 아카데미 사진실
3. 학생의 예절을 모자에 담다 ? 대신동 효성제모
4. 핸드메이드 ? 장인의 노력이 한 뜸 한 뜸 맺힌 곳, 영도 명성양복점
5. 축복받는 공간, 행복을 꿈꾸는 공간 - 축복, 행복예식장
6. 축복의 공간에서 추모의 공간으로 - 하모니웨딩타운에서 ‘부산시민장례식장’으로
7. 장례에도 ‘예’가 필요해 ? 부산에만 있다, 장례식 전용 소주 ‘그리워 예’
8. 죽은 이의 집단거주지 ? 부산시립공원묘원 &영락공원, 추모공원
<신종교, 부산에서 발원하다>
1. 태극도 마을 - 이제는 사진 찍기의 명소 감천문화마을로
2. 통일교 - 도시 속의 오지 안창마을에서
3. 천부교인의 공동체 - 기장 신앙촌
4. 사라지는 영도다리 점바치 골목
<주거문화>
1. 부산 아파트의 시작, 청풍장과 소화장
2. 산복도로 위의 전망 좋은 아파트, 영주동 시민아파트
3. ‘해운대인 듯 해운대 아닌 해운대 같은 해운대’ 반송동 <희망세상>
4. 사하구, 집단 이주촌에서 문화가 있는 마을로
5. ‘대저 배’와 적산가옥. 사하구 대저1동 일본식 가옥
2부. 산업과 생활문화유산
<한국 근대화의 고향, 부산의 산업>
1. 부산의 목재산업과 좌천동 가구거리
2. 신발산업의 메카
3.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다, 섬유산업
4. 재벌의 추억
<통(通)하였느냐? 부산의 도로>
1. 다리와 터널의 도시, 부산
2. 문화가 된 도로, 산복도로
3. 산동네를 오르는 길, 모노레일과 경사형 엘리베이터
4. 여행객의 로망인 7번 국도와 산업도로
3부. 문화와 여가 생활문화유산
<교육, 문화, 예술>
1. 부산발 최초의 혁신학교 ? 금성초등학교
2. 글을 배우고 익히기 위해 책보자기 메고 모였던 배움의 공간 ? 봉래초등학교
3. 민족야학이 이루어졌던 동래 법륜사
4. 책과 부산 사람, 역사를 이어 주는 부산시민도서관
5. 오탈자를 찾아라, 부산의 인쇄 골목 - 동광동 인쇄 골목과 서면 인쇄 골목
6. 책 읽는 사람들의 마음의 고향 - 보수동 책방골목과 부산 향토서점
7. 재수생들이 인생역전을 꿈꾸던 서면 학원 골목
8. 부산 문학의 거장 요산 김정한과 향파 이주홍의 문학관
9. 상이한 복합문화 공간이 공존하는 곳 부산 남구 - 부산문화회관과 문화골목
<여가 생활문화유산>
1. 탈진한 사람도 일으키는 생기와 일출의 명소, 오랑대
2. 세계적으로 유명한 일광의 바닷돌 수석
3. 토암 도자기 공원, 그곳에 공동체를 향한 토우들의 합창이 있다
4. ‘갯마을’의 원형 일광 바닷가 축제
5. 부산의 등대 - 항로표지를 넘어 새로운 산책로가 되다
6. ‘물을 마시며 그 근원을 생각한다’는 성지곡 수원지와 어린이 대공원
7. 서민들의 대표적 휴식처 낙동강 둑, 그 위를 자전거가 달린다
8. 갈대의 섬 을숙도, ‘문화’의 요람 에덴 공원
<부산의 기질: 의로움>
1. 부산의 독립운동
2. 부산의 민주화운동
3. 일상생활 속의 헌신과 희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