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9706042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5-02-25
목차
개정판 머리말
1판 머리말
제1부 교육과정이론
제1장 교육과정 개관
1. 교육과정의 개념
2. 교육과정의 사조
제2장 교육과정의 역사
1. 교육과정의 학문적 태동
2. 교육과정의 실제적 접근
3. 교육과정의 이론적 접근
4. 본격적인 담론에 앞서
제3장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등장
1. 경험 교육과정의 성격
2. 경험 교육과정의 원리
3. 경험 교육과정과 수학
제4장 타일러와 그 계승자들
1. 타일러: 교육목표 위주의 견해
2. 블룸과 메이거: 평가 위주의 견해
3. 학력평가의 한계와 그 극복
4. 덧붙여서
제5장 슈왑과 타일러의 대안 세력
1. 교육과정 탐구의 두 가지 양식
2. 실제적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3. 실제적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
4. 장차의 과제
제6장 아이즈너와 교육과정의 예술적 측면
1. 교육목적의 성격
2. 경험과 표상의 형식
3. 문해력과 교육매체론
제7장 브루너와 지식의 구조 및 탐구학습
1. 탐구학습에 관한 통념
2. 지식의 구조와 탐구학습
3. 탐구학습과 교사의 역할
4. 덧붙여서
제8장 피터즈와 교과의 정당화
1. 교과의 정당화: 정태적 관점
2. 교과의 정당화: 동태적 관점
3. 교과의 정당화의 교육적 의의
제9장 잠재적 교육과정
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
2. 잠재적 교육과정의 원천
3. 잠재적 교육과정과 이데올로기
4. 잠재적 교육과정의 지위
제2부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제10장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1. 미군정기와 교수요목기
2. 제1차 교육과정
3. 제2차 교육과정
4. 제3차 교육과정
5. 제4차 교육과정
6. 제5차 교육과정
7. 제6차 교육과정
8. 제7차 교육과정
9.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제11장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1.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2.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
제12장 교사와 교육과정의 자율화
1. 교사의 역할에 관한 통념
2. 교육과정 자율화의 이념
3. 교육과정 개발과 교과교육
4. 마무리하면서
[보충 자료]
[자료 1] 듀이와 교과교육
1. 전통적 교육
2. 진보주의 교육
3. 듀이의 종합적 입장
4. 교과교육의 조건
5. 교과교육의 과정
[자료 2] 지식의 구조와 발생적 인식론
1. 지식의 구조
2. 발생적 인식론
3. 지식의 구조의 발생적 의미
[자료 3] 지식의 형식과 사회적 실제
1. 자유교육과 지식의 형식
2. 올바른 삶과 사회적 실제
3. 교과와 삶의 이상
4. 마무리하면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