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공부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UCLA)에서 박사과정(국제비교교육)을 마쳤다. 교육, 발전, 불평등, 사회정의가 맞닿는 주제에 관심 있고, 교육을 통한 사회변혁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펼치기
김우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어교육과 졸업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교육학 박사(육정책 및 평가 전공)
전,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원 연구교수,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현,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육학과 조교수
<저서와 논문>
『한국교육은 왜 바뀌지 않는가?(원제: Education fever: Society, politics, and the pursuit of schooling in South Korea)』(공역, 2020, 학지사)
냉전시기 미국의 교육원조전략 변화와 한국 텔레비전 교육방송의 시작(한국교육사학, 2022)
라디오학교에서 TV여름학교까지: 한국 교육방송에서 미국의 원조와 국가개입의 역사(교육사학연구, 2023)
Big Bird Teaches English: Sesame Street's globalisation in Japan and Korea(Paedagogica Historica, 2024) 외 다수
펼치기
심성보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거시적·장기적 교육 전망과 현장에서의 미시적·단기적 실천이 분리되지 않는 ‘실천적 이론가’와 ‘이론적 실천가’를 꿈꾸고 있다. 이상주의(idealism)와 현실주의(realism)가 분리되지 않는 변증법을 굳게 믿고 실천하면서 교육이론 운동과 교육실천 운동의 두 갈래 길을 놓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최근 『진보주의 교육의 세계적 동향』,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전망』, 『마을교육공동체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 『민주학교의 탄생』, 『시민이 만드는 교육 대전환』, 『교육사상가의 삶과 교육사상』을 공동으로 펴냈다. 또한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21세기 교육과 민주주의』, 『프레이리와 교육』, 『존 듀이와 교육』,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세계시민교육』, 『사랑의 교육학』, 『다시 읽는 민주주의와 교육』, 『세계의 대안교육』의 번역에 참여했다. 2018년 정년 퇴임 후에는 『한국 교육의 현실과 전망』, 『교육과정에서 왜 지식이 중요한가』, 『코로나 시대, 마을 교육공동체운동과 생태적 교육학』, 『프레이리에게 변혁의 길을 묻다』를 펴냈다.
현재 부산교대 명예교수로서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이사장, 한 국교육개혁전략포럼 대표,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이사 등 다양한 역할을 하면서 교육과 사회의 동시적 변혁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촛불혁명의 미완성 과제와 코로나 사태의 발생으로 새로운 과제가 대두하면서 대한민국의 다중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사상을 모색하고 이를 실천하려고 한다.
저자는 1995년 5·31교육개혁이 신자유주의적 문명화 시도였다면 지금은 지속가능한 포용적·공동체적·생태적 문명으로의 이동을 위한 사회 및 교육 체제의 거대한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며, 한국교육의 전면적 전환을 위한 총체적 교육사상의 정립과 다면적 실천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함을 강조한다. 또 100여 년 전 기술적 근대화(개화파)와 토착적 근대화(개벽파)가 분열되어 일제 식민지화를 초래했듯 제2의 식민지화를 막으려면 한국의 미래교육 100년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지금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내란 이후의 대안적 세상을 여는 혁신적·변혁적 교육 및 운동임을 역설한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