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12006196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25-06-11
목차
[책의 목차]
제1부. 권위의 얼굴 12
1장. 권위란 무엇인가 - 정의와 작동 방식 14
● 권위의 사전적, 철학적 정의 18
● Max Weber의 권위 3유형(합법적, 전통적, 카리스마적) 분석 21
● 한국 사회에서 ‘권’이라는 말이 가진 상징성과 정서 26
● 사회적 권위 vs. 심리적 권위 30
● ‘권위는 관계다’: 상호작용 속에서만 존재하는 권위 34
2장. 최면에서의 권위: 암시와 수용성 40
● 최면 상태에서 권위의 역할: 수용성 증가, 비판적 사고 저하 46
● “암시 수용”의 전제: 권위 있는 존재에 대한 신뢰 50
● 최면 유도자와 피유도자 간의 권력 관계 54
● Milton Erickson, Dave Elman의 접근법에서 본 권위 58
3장. 종교에서의 권위: 신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자들 62
● 목사, 신부, 승려, 무속인 등 ‘대언자’의 위치 67
● “신의 이름으로” 발화되는 명령과 암시 71
● 설교와 예언, 기도문이 갖는 최면적 구조 75
● 종교 권위의 수직적 구조 vs. 공동체적 신앙의 수평 구조 비교 79
4장. 한국 사회의 권위주의 구조 - 유교, 교육, 조직, 가족 84
● 유교적 위계 질서: 장유유서, 충효사상 88
● 군사 독재 시대와 교육 시스템의 잔재 92
● 회사 조직 문화와 권위 체계 96
● 가정 내의 권위 구조: 아버지, 어머니, 자식 간의 수직적 상하관계 100
제2부. 권위의 심리학 104
5장. 권위와 무의식: 자발적 복종은 어떻게 생기는가 106
● Stanley Milgram 실험: 권위에 복종하는 인간의 심리 110
● 무의식과 권위의 관계: 자기 검열과 복종의 내면화 113
● ‘좋은 피험자가 되려는 심리’ 분석 116
6장. 감정, 두려움, 편도체 - 뇌과학이 본 권위 120
● 편도체: 위협과 두려움의 신속 반응 124
● 공포와 권위 수용성의 관계 127
● 뇌과학적으로 본 “트랜스 상태”와 감정 기반 정보 처리 129
7장. 트랜스 상태와 신뢰 - 왜 우리는 쉽게 따르게 되는가 134
● 트랜스란 무엇인가: 집중, 몰입, 동조 상태 138
● 집단 의례와 반복 암시의 힘 140
● 트랜스와 권위 사이의 신뢰감 형성 메커니즘 143
8장. 권위와 도덕 - 권위는 언제 폭력이 되는가 148
● Hannah Arendt의 ‘악의 평범성’: 권위에 복종한 죄 없는 가해자 153
● 종교적·정치적 명분이 ‘도덕적 판단’을 억누를 때 155
● 도덕적 회피의 심리학 158
제3부. 권위에 의한 최면 162
9장. 의례, 설교, 교육 - 권위적 구조의 반복 기제 164
● 예배, 강의, 훈련이라는 형식 자체가 권위 구조를 내포함 168
● 포맷의 반복성이 주는 안정감과 트랜스 유도 171
● “하나님 말씀은 권위다”라는 문장의 효과 분석 173
10장. 언어와 상징 - 말의 권위, 상징의 힘 176
● 상징은 감각적 언어로 권위를 전달함 180
● “말씀”, “율법”, “천명” 등 종교적 언어의 암시력 183
● 무속 의례에서의 상징 언어 (방울, 무기, 색 등)의 무의식 작용 185
11장. 집단 트랜스와 권위 - 군중 심리와 종교 집회 188
● 군중 트랜스 상태의 사회 심리 191
● 대형 집회의 유도 기법과 리더의 언어 패턴 분석 194
● 종교적 열광과 권위 수용 196
12장. 권위와 트라우마 - 심리적 상처의 반복 구조 200
● 부모, 종교, 사회 권위자에 의한 상처와 트라우마 204
● 트라우마 후 권위 재수용의 심리 메커니즘 207
● 트라우마 치유에서 ‘권위 해체’의 필요성 209
제4부. 한국 사회의 ‘권’ 문화 해부 212
13장. ‘갑을 관계’의 뿌리 - 제도화된 상하 구조 214
● 계약 사회 속 위계적 관계의 정착 219
● 일상 속 ‘을’의 심리학 222
● 조직과 사회에서의 구조적 트랜스 유지 장치 224
14장. 교회, 학교, 회사 - 권위는 어떻게 재생산되는가 228
● 교육제도와 교사 권위 232
● 교회 시스템에서의 위계 복제 234
● 기업 문화의 ‘리더십’과 권위 훈육 237
15장. 권위에 길들여진 신앙 - 비판 없는 믿음 240
● ‘믿음’이라는 단어에 내포된 복종과 수용 243
● ‘순종’ 교육과 권위의 일방성 246
● 신앙의 비판적 자율성을 잃는 과정 250
16장. 권위의 해체 - 새로운 리더십과 자발성 254
● 민주주의와 공동체적 신앙 257
● 비위계적 리더십: 퍼실리테이터, 코치, 안내자 259
● 공동체 내 자발성과 책임감 회복 260
제5부. 권위 너머, 새로운 가능성 262
17장. 성찰적 권위 - 건강한 리더십은 가능한가? 264
● ‘권위’를 부정하지 않고 재구성하는 방식 267
● 심리적 안정감 + 자율성의 균형 270
● 리더가 되기보다 ‘거울’이 되는 존재 272
18장. 깨어있는 신앙 - 신앙과 자유 의지의 균형 274
● 종교가 자율성과 비판을 허용할 수 있는가? 277
● ‘믿음’과 ‘성찰’의 공존 278
● 신앙과 정신건강의 접점에서의 권위 재정의 280
19장. 치유의 공동체 - 권위에 의존하지 않는 연대 282
● 서클, 회복적 정의, 동등한 발화 구조 285
● 새로운 관계 모델: 상호성, 경청, 수용 287
● 치유란 무엇인가: 권위가 아니라 연결 289
20장. 비판적 수용과 자율성 - 권위에 저항하는 마음의 훈련 292
● 자율성의 심리학 295
● 경계 짓기와 자기 결정성의 훈련 297
● ‘순종’이 아닌 ‘수용과 성찰’의 훈련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