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12049162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5-08-26
목차
서론: 번영과 인구의 역설
인류사의 반복되는 패턴
제1부 고대의 번영과 인구의 쇠락
1장 로마 제국의 황금기
경제적 번영과 인구 정체
노예제와 자녀 필요성의 약화
귀족 계층의 저출산과 도덕 비판
2장 향락 문화와 가족 해체
향락·오락의 팽창
결혼 기피와 독신의 증가
아우구스투스의 출산 장려 정책과 실패
3장 도시화와 개인주의
로마 대도시의 과밀과 주거 문제
농촌과 도시의 인구 구조 차이
공동체에서 개인으로
제2부 근대 유럽의 전환
4장 인구학적 전환의 시작
농업사회 다산의 논리
산업혁명과 노동시장 변화
출산율 감소의 초기 징후
5장 교육 혁명과 자녀의 가치 변화
아동을 ‘투자 대상’으로 보는 관점
부르주아 가족의 확립
“적게 낳아 잘 키운다”의 합리성
6장 여성 지위의 상승과 가족 재편
여성 교육 확대와 직업 진출
결혼 지연과 독신의 증가
페미니즘과 인구학적 변화
제3부 현대 선진국의 저출산 구조
7장 복지국가와 자녀 필요성의 소멸
연금·의료 제도의 확립
자녀 없는 노후의 가능성
‘가족의 보험 기능’의 종말
8장 기회비용의 폭발
교육비와 사교육의 급등
주거비와 맞벌이 제약
노동 환경과 출산 회피
9장 도시 집중과 개인주의 문화
1인 가구의 확산
핵가족·비혼·딩크(DINK)의 정착
개인의 자유와 가족의 축소
10장 여가·소비·자기실현의 대체 만족
여행, 취미, 자기계발의 확대
“아이보다 나 자신”의 문화
출산과 삶의 만족 경쟁
결론: 역사적 법칙인가, 사회적 선택인가
번영이 낳는 필연적 귀결인가
인구 감소 이후의 사회 모델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