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POD] 학교체육에서 생활스포츠로 나아가는 길을 찾다](/img_thumb2/9791127246846.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27246846
· 쪽수 : 403쪽
· 출판일 : 2018-08-28
책 소개
목차
차례
Ⅰ. 학교체육과 스포츠
1. 스포츠교육학과 학교체육 12
가. 나의 고민과 반성 12
나. 스포츠교육 & 체육교육 13
다. 스포츠교육학의 연구에 대한 반성 15
라. 토착화의 가능성 탐색 19
마. 스포츠교육학과 학교체육의 새 지평을 열기 위해 24
2. 좋은 체육수업과 좋은 체육교사 27
가. 시작하는 글 27
나. 좋은 체육수업의 모습 28
다. 좋은 체육교사의 모습 34
라. 좋은 체육수업을 하는 좋은 체육교사가 되는 길 41
마. 좋은 체육수업은 어떤 걸까요 44
바. 마치는 글 45
3. 학원과 학교 반복되는 삶, 행복과 기쁨 느낄 수 없어 47
가. 행복한 삶을 위한 성찰 52
나. 스포츠를 통한 장애인의 행복한 삶 위해 노력해 나갈 것 53
다. 아마추어 스포츠를 통해 꿈꾸는 행복한 삶 55
4. 학교체육 정상화를 위해서는 59
가. 학교체육의 안정적 정착이 우선 59
나. 청소년교육을 위한 학교체육의 비전과 과제 66
다. 인권으로 바라본 학생선수 68
라. 학교체육의 진실과 오해 72
5. 방과후 스포츠활동의 실천과제 75
가. 방과후 스포츠활동의 기반 요건 76
나. 방과후 스포츠활동의 의의 79
다. 방과후 스포츠활동의 정착을 위한 실천과제 82
6. 체육단체 통합 왜 필요한가 88
가. 대한체육회 KOC 독립 강력 반발 88
나. 스포츠 혁명의 구조 89
7. 찾아가는 체육관-스포츠버스 97
가. 리모컨 게임부터 추억의 공굴리기까지 97
나. 올해 40곳-가정의 달 5월에만 11곳 99
8. 신나는 주말 생활체육학교 101
9. 체육·스포츠인들의 담론 몇 가지 105
가. 체육계만 출신대학 제한 필요한가 105
나. 전국소년체전 제도 개선 시급하다 106
다. 스포츠계의 여성들은 이등 시민을 벗어날 수 있을까 108
라. 국제 스포츠대회 흑자는 불가능한가 110
마. 시·도체육회 수석부회장 도입과 관련해서 111
바. 학교체육 지도자 열정이 체육·스포츠 경쟁력 113
사. 체육 단체장 연임 제한은 비민주적 규제 114
10. 건강교육의 새 지평을 열며 116
가. 중·고교 보건과목 2010년부터 선택교과로 도입 116
나. 국민건강진흥법과 보건교육 118
다. 보건교육의 목적과 목표 121
라. 건강증진 방안 122
마. 보건교육의 새 지평을 열기 위해서는 125
Ⅱ. 엘리트체육과 스포츠
1. 올림픽의 기원은 치열한 전쟁이었다 129
가. 신화로 보는 올림피아 제전경기의 기원 130
나. 고대 올림픽 제전의 기원과 특성 135
2. 한국 엘리트스포츠 정책 138
3. 엘리트스포츠의 현상학적 접근 144
4. 한류의 원조는 스포츠다 149
가. 태릉선수촌과 풍납토성 152
나. 아시아 체육기자연맹의 역할 153
다. 남북체육회담을 제안해 보자 155
5. 전국 스포츠대회가 나아갈 길 157
가. 전국체육대회 160
나. 엘리트체육의 씁쓸한 자화상 161
6. 전국 소년스포츠대회가 나아갈 길 163
가. 전국소년체전에 대한 반성 164
나. 대한민국 스포츠의 요람 전국소년체육대회 166
다. 소년체전, 전국체전을 넘어 올림픽으로 168
7. 스포츠공약은 왜 없나 170
가. 국민건강 향상을 위한 공약은 왜 없나 172
나. 왜 메르스 공약은 없나 174
8. 미래 엘리트스포츠가 나아갈 길 176
가. 북한의 스포츠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177
나. 축구의 글랜드 슬램 178
다. 머니볼 전략 179
라. 경찰청 스포츠단 해체 안 된다 181
마. 체육의 뿌리 체육고등학교를 살리자 183
바. 日은 기업 손잡고 비인기 육성 184
9. 올림픽 정식종목 퇴출과 잔류 186
가. 레슬링 넋놓고 있다 퇴출 파테르 186
나. 런던의 성공을 올림픽 잔류로 연결한 태권도 188
10. 학원 엘리트스포츠 어두운 그늘 190
가. 스포츠강국 대한민국의 운동장의 가치는 지켜지고 있는가 191
나. 금메달 많이 딴다고 스포츠선진국인가 196
다. 엘리트스포츠가 필요한 이유 198
11. 두 가지 도전에 직면한 한국스포츠 200
가. 체육회 물리적 통합은 했지만 201
나. 독립성 되찾은 체육회 다음은 재정 자립성 203
다. 통합 2년 실망스런 성적표 204
12. 엘리트스포츠 정책의 방향 206
가. 뒤로 가려하는 한국스포츠 206
나. 한국스포츠 정책의 제고 207
다. 한국인 IOC 위원은 없고 실망만 있다 210
Ⅲ. 생활체육과 스포츠
1. 생활체육이 나아갈 길 214
가. 생활체육진흥법을 만들어야 한다 215
나. 생활체육진흥법 제정은 국민 기본권 217
다. 세심한 배려가 필요한 생활체육 지원예산 219
2. 생활체육의 선진화 221
가. 생활체육 선진화를 위한 노력 222
나. 사회 복지로서 생활체육 223
3. 스포츠 선진화를 위한 생활체육 정책 228
가. 생활체육의 기회와 균등 229
나. 스포츠복지로서의 생활체육 지원 과제 232
4. 생활체육의 현상학적 접근 236
5. 풀뿌리 체육 예산 확보-동호인-함께 뛰는 대회도 240
6. 엘리트-생활체육 장벽없는 미-독 평등을 가르친다 243
가. 스포츠가 사회를 바꾼다. 스포츠로 사회 통합하는 나라 244
나. 스포츠의 주인은 국민이다 245
7. 스포츠 인구 늘려 관광산업 덩치 키우자 247
가. 스포츠가 신성장 동력이다 247
나. 학교 스포츠클럽활동 입시 반영 추진 249
8. 생활체육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250
가. 생활체육의 개념 250
나. 생활스포츠 활성화 필요성 252
다. 인간 사회의 축소판 스포츠 253
라. 바보야 복지는 체육이야 255
마. 교육과 스포츠 체육활동은 인성을 키운다 256
9. 전국생활체육대축전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259
가. 2015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성공 개최 이천시 위상 높여 261
나. 2016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서울에서 폐막 263
10. 세 살 운동 여든까지, 평생 행복 생활체육 266
11. 생활체육 지도자, 국민 건강 지킨다는 보람으로 271
가. 누군가의 삶을 바꿀 때 최고의 보람 271
나. 업무 과중 열악한 처우, 사명감으로 버텨 272
12. 운동이 보약, 어르신 체육활동 274
13. 사회복지 이념에 따른 생활체육 278
가. 사회복지 개념 279
나. 사회복지로서의 생활체육 280
14. 국민 10명 중 6명 생활체육 참여, 전년 대비 3.5% 증가 287
가. 생활체육 백년대계를 세워라 289
나. 평균을 높이는 생활체육 정책이 필요하다 290
다. 생활체육의 온도 292
Ⅳ. 사회체육과 스포츠
1. 사회체육의 개념과 기능 296
가. 사회체육의 개념 296
나. 사회체육의 기능 296
2. 사회체육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논의 302
가. 노인체육이 나아갈 길 303
나. 미래 사회체육이 나아갈 길 304
다. 체육을 통한 복지국가 307
3. 지방 엘리트스포츠 발전을 위해서는 311
가. 학교 체육시설의 기능 313
나. 생활체육과 연계한 체육 시설의 개방 315
다. 국민생활체육회의 학교 체육시설 활용 318
4. 지역사회 체육·스포츠의 방향 321
가. 대한체육회, 신신 공로스포츠 클럽 9곳 선정 321
나. 전북도 체육회 지방체육진흥 사업기금 15억 5천 확보 322
5. 학교체육, 생활스포츠, 엘리트스포츠, 사회체육의 연계 324
가. 학교스포츠 324
나. 생활스포츠 328
다. 엘리트스포츠 331
라. 사회체육 333
마. 학교스포츠, 생활스포츠, 엘리트스포츠, 사회체육 연계에 대한 제안 336
6. 장애인 복합문화시설 2015년까지 150개 생긴다 341
가.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343
나. 장애인 체육 모두를 위한 체육 시작 발표 345
7. 지방 분권화 체육·스포츠 정책 349
가. 지방분권화의 원리와 과제 350
나. 지방분권화 체육정책의 의의와 목표 353
다. 지방분권화 체육정책의 과제 357
8. 초고령시대 의료-커뮤니트커어 연계 바람직한 해법 361
9. 엘리트체육으로 이뤄지는 우민정책과 공허한 애국심 366
종교와 스포츠에 대한 담론/370
참고문헌/384
각주/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