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POD] 학교체육의 새 지평을 열며](/img_thumb2/9791127244637.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27244637
· 쪽수 : 445쪽
· 출판일 : 2018-07-30
책 소개
목차
Ⅰ. 학교체육의 새 지평을 열기 위해서는
1. 학교체육에 대한 담론 12
가. 학교체육의 필요성 12
나. 중등 학교체육의 실태 및 문제점 13
다. 학교체육 정책의 현실 16
라. 학교체육 정책의 한계 분석 24
마. 중등 학교체육의 개선 방안 30
바. 학교체육의 새 지평을 열기 위한 몇 가지 제언 32
2. 체육의 목표와 역할 및 기능을 재정립하는 계기 필요 35
3. 21C 학교체육의 방향 41
가.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 43
나. 학교체육 교육과정과 교사의 역할 45
4. 학교체육 활성화를 모색하다 49
가. 인간중심 체육을 위한 학교체육 49
나.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는 학교체육 활성화 53
다. 추진 목표 54
Ⅱ. 학교체육과 평가
1. 발전적 체육평가 59
가. 체육 평가관의 문제점 60
나. 평가 결과 활용상의 문제 61
2. 체육과 평가의 방향 65
가. 발전적 체육평가 66
나. 수행평가의 확대 67
다. 체육과 수행평가의 실제 68
라. 실시상의 문제점 73
마. 체육과 평가에 대한 제언 74
3. 체육과 절대평가 75
가. 체육 평가의 발전 동향 75
나. 심동적 영역 평가의 예 76
다. 정의적 영역 평가의 예 76
라. 인지적 평가의 예 77
마. 절대평가 개발 77
바. 절대평가 기준 개발의 실제 81
사. 절대평가 기준 개발의 예 82
아. 평가 기준의 개발 85
자. 평가 기준 도구 및 예시 문항의 개발 86
4. 체육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방안 98
가. 교수 방법 개선에 대한 이론 100
나. 학습자에 알맞은 지식수준을 제공하기 위한 접근 방법 102
다. 선택제 수업 프로그램을 통한 자율 체육 활성화 방안 108
5. 중학교 남녀 혼성 학급의 체육 수업 110
가. 혼성학급의 배경 111
나. 남·여 혼성 학급 중학교 체육수업 사례 112
6.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제3공화국 체육 정책, 엘리트스포츠의 비화 127
Ⅲ. 학교체육과 인간교육
1. 체육과 현장 장학의 방향 133
2. 정신활동과 육체활동을 통일한 전인교육 실현 138
가. 정신 활동과 육체 활동의 통일을 기하는 노작교육 139
나. 체육활동을 통한 전인교육 139
3. 역할 증대 체육활동을 통한 전인교육 실현 145
4. 학교체육을 통한 전인교육은 인격완성의 의도적 과정 148
가. 체육을 통한 전인교육의 올바른 이해 148
나. 지·정·의 150
다. 체육활동의 방향 152
라. 체육의 방향 153
5 인간 중심 체육의 목표와 과제 154
6 체육교사의 전문성 개발 160
가. 체육과 전문성 개발 전략 162
나. 체육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제언 170
7. 방과 후 체육활동을 통한 체력증진 및 창의성 배양 171
가. 방과 후 체육활동 선결과제와 활성화 방안 174
나. 중등학교 방과 후 자율 체육활동의 의의와 목표 175
다. 중등학교 방과 후 자율 체육활동의 현황과 문제점 176
라. 중등학교 방과 후 자율 체육활동의 선결과제 178
마. 중등학교 방과 후 자율 체육활동의 활성화 180
8. 모든 학생이 함께 하는 학교 스포츠클럽을 꿈꾸다 185
가. 학교 스포츠클럽 개요 185
나. 학생 참여 실태 186
9. 학교 체육의 방향 193
가. 교육현상의 문제점 194
나. 올바른 학교체육문화를 만들자 198
다. 학교체육이 나아갈 길 199
라. 학교체육 정책의 방향 203
10. 학생선수의 미래를 그리다 209
가. 우리나라 학생선수의 미래 설계 현 위치 209
나. 학생선수의 미래 설계를 위한 진로교육 현황 213
다. 우리나라 학생선수의 미래 설계를 위한 추진과제 216
라. 한국체육학회 올바른 학교체육 세미나 내용 보니 222
11. 학교체육 활성화는 입구전략과 출구전략 조화의 결과 225
가.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출수전략으로서의 진로교육 228
나. 업종별 체육지도자 배치 현황 229
12. 학교체육 새 지평에 대한 토론 231
Ⅳ. 학교체육의 새 지평을 열어보자
1. 학교체육 236
가. 인간중심 체육으로 236
나. 선택제 체육수업 242
다. 학교스포츠 244
라. 전국소년체전 제도 개선 시급하다 246
마. 소년스포츠 운영 개선 방안 248
바. 학교 체육·스포츠 정책 변경 252
사. 종목별 계열화 및 엘리트 스포츠 육성 방안 262
아. 학교 체육활동에서 배워야 하는 것 264
2. 체육·스포츠의 종합 방안 266
가. 청소년 교육을 위한 학교 체육정책의 비전과 과제 266
나. 엘리트스포츠 정착을 위한 목표 및 과제 275
다. 방과 후 스포츠활동의 의의와 정착을 위한 실천 과제 278
3. 학교 체육복지 개념 정립을 통한 학교 체육정책 292
가. 학교 체육복지 개념 정립 292
나. 학교 체육복지 방안 탐색 295
4. 학교체육부터 스포츠윤리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304
가. 스포츠윤리성 관련 연구 논문을 보니 305
나. 스포츠윤리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때이다 324
다. 미투 운동 326
5. 학교체육을 바라보면서 330
가. 학교 체육·스포츠의 공헌과 과실, 그리고 나아갈 길 330
나. 국격에 걸맞는 학생들의 실질적 건강 추구권을 위한 체육수업 334
다. 아이들 건강 문제는 학교체육 정상화만이 해답이다 336
라. 초중등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을 적극 환영한다 338
마. 학교체육진흥법 341
바. 학교폭력과 스포츠 344
6. 학교 엘리트스포츠 발전에 대하여 345
가. 학생선수의 수업의 의미 348
나. 학생선수와 전인교육 및 복지 측면 349
다. 지도자의 노력 측면 350
라. 재정 자립기반 확보 측면 351
마. 정부 조직과 체육 단체 통합 측면 352
바. 황금사자를 아십니까 353
7. 한국형 학교체육 선진화를 위해 355
가. 학교운동부 선진화 355
나. 미 열혈맘 선생님에게 배우는 0교시 체육의 기적 357
다. 잠금장치 없는 교실서 옷갈아 입는 여중생들 359
라. 운동보다 좋은 소통 없어요 361
마. 0교시 체육을 아시나요 363
바. 비뚤어진 합숙문화 364
8. 한국 스포츠문화와 현실과 과제 : 학교체육 366
가. 학교체육 진보의 걸림돌 366
나. 학교체육의 돌파구 368
다. 새로운 학교체육의 시작 369
9. 체육계 비정상의 정상화 등 2014년부터 체육분야 8대 이슈 371
10. 학교 체육정책이 엘리트스포츠의 기반 조성에 공헌한 부문은 인정해야 한다 376
가. 학교 체육·스포츠 정책의 엘리트 스포츠 공헌 378
나. 엘리트스포츠 강조는 중용과 평등의 이장에서 어긋날 수 있다 379
다. 스포츠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길을 찾아서 381
11.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조언 383
가. 학교체육에 쏟아지는 새로운 관심 383
나. 전생애에 걸친 운동 참여 계획을 세워라 384
다. 학교교육의 기대주 학교체육 387
라.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과제 389
12. 대한민국 학교체육의 백년대계를 모색한다 391
(논문)모두를 위한 학교 체육·스포츠 정책에 대한 소고(小考) 397
☞ 이 시대에 보기 드문 스승 422
참고문헌/424
(주석)/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