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02352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14-10-17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서문 디지털 변혁의 시대 한국의 언론학 교육 모델을 찾아 · 박은희
01 융합과 통섭의 새로운 프레임 · 신동희
국내 언론학의 정체성
지식의 융합
한국 융합의 현주소
학문의 상호작용: 본질, 메커니즘, 개념 및 원리
통섭의 시대: 왜 이 시대에 통섭이 필요한가?
현대의 통섭 연구
융합에 대한 잘못된 관념
통섭적 논리학과 통섭적 사고방식
향후 통섭의 방향: 인간 감성이 중심이 된 통섭
한국의 통섭: 비판적 고찰
왜곡된 통섭 논의
소통 부재 한국의 통섭
통섭을 어떻게 하는가: How
무엇을 위해 통섭하는가: What
한국의 융합 학문 지속 가능한가
한국형 융합 혁신 모델의 성공 조건
참고문헌
02 언론학 교육 변화의 현장 · 김성해
일체형 모델
산학협력 모델
융합 모델
자체 혁신 모델
참고문헌
03 교육 혁신 성공 모델 · 홍경수
동서대학교 영상매스컴학부: 교내 현장실습 모델
대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MC+ 실험, 대학과 현장의 창조적 결합
순천향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방송사와의 산학협력 모델
세명대학교 저널리즘스쿨 대학원: 한국 최초의 저널리즘스쿨
참고문헌
04 언론학 교육 혁신을 위한 성공 조건 · 김성해
전환점에 들어선 국내 언론학
희망은 사치품이 아니다
디지털이라는 신개척지
으뜸 조건은 인화(人和)다
장점 극대화를 통한 명품 전략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더불어 가라
자신을 사랑하고 존귀하게 여기는 아비투스
목수를 사람으로 만드는 교육
좌담 언론학 교육의 혁신,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 류재형
현 단계 언론학 교육의 진단: 무엇이 필요한가?
언론학 교육의 정체성 위기: 독자성과 차별성 찾아야
언론학회 공동의 노력 필요
성공 모델과 더하기 교육에 대한 반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융합은 서로 다른 두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남들이 보지 못하는 연결 고리를 발견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작업이다. 통섭은 그 창의적인 작업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제는 세분화된 지식이나 기술보다는 창의성을 통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제품이 세계를 이끌어 간다. 창의성, 새로움, 이러한 개념은 기존의 한 단일 분야에 나오기 힘들고, 최근 우리가 부딪히는 대부분의 문제는 과학기술 내에서의 공학적 지식뿐 아니라 인문·사회과학적 지식이 융합되지 않고는 해결될 수 없다.
_[융합과 통섭의 새로운 프레임] 중에서
의례로서의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은유가 오늘날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중요한 까닭은, 커뮤니케이션은 곧 ‘진심’의 ‘효과적’ 전달이어야 한다는 결정론적 시각에 반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커뮤니케이션이란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더 진보할 것이라는 기술결정론적 시각도 경계할 수 있게 해 준다.
_[01 의례로서의 커뮤니케이션] 중에서
미주리대학교의 저널리즘스쿨 및 레이놀즈저널리즘연구소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혁신 기업 사례인 ‘뉴시닷컴(Newsy.com)’도 흥미로운 사례다.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편리할 때 볼 수 있다. 그러나 전문적인 언론인이 집단 작업을 통해 ‘편집’된 뉴스가 아닌 자신의 선호에 따라 선택하는 뉴스가 정말 중요한지, 신뢰할 수 있는지, 어떻게 읽고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지는 고민이다. 만약 누군가 2분에서 3분짜리 동영상을 통해 동일한 주제에 대한 언론사별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보다 큰 그림을 통해 진실에 다가설 수 있도록 돕는다면 어떻게 될까? 뉴시닷컴은 디지털 시대의 이러한 고민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 혁신적 뉴미디어다. 2008년 처음 시작한 이후 미주리저널리즘대학과 포인트 재단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면서 가장 인기 있는 사이트로 성장했다.
_[02 언론학 교육 변화의 현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