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91128815416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19-09-06
목차
개정판 머리말
머리말
1부 박람회란 무엇인가
01 박람회의 개념
박람회의 정의
박람회의 명칭
박람회의 종류
박람회의 목적
박람회의 특징
02 박람회 개최 배경
박람회는 어디서, 왜, 어떻게 개최되는가
박람회는 지역 활성화의 특효약인가
관광산업형 박람회를 겨냥한 채산성과 파급효과
최근의 세계박람회와 지방박람회 개최 동향
가치 있고 기억에 남는 박람회 만들기
세계박람회장의 하루
03 박람회 정책과 개최 효과
박람회 정책
세계박람회의 이해관계자
이해관계자들은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가
04 박람회의 성립 요건
실시 주체 및 협력 체제
스폰서 유치
교통 접근성
홍보 활동
스태프
05 한국과 박람회
근대박람회
현대박람회
2부 박람회 성공 전략
01 박람회의 업무와 추진 프로세스
박람회의 구성과 구성요소
전체 업무 플로의 개요
세계박람회의 업무
박람회 추진 프로세스
02 박람회 프로듀스와 전문가 선정
박람회는 다양한 전문가 집단의 공동작업이다
박람회 이벤트 업계의 특징
박람회 업무 관리자의 위치 설정
박람회를 위해 훌륭한 전문가를 선정하는 방법
03 박람회의 성공 포인트
프로젝트로서의 박람회 이해
성공적인 박람회 개최를 위한 네 가지 요소
박람회 주최자가 고려해야 할 제반 문제
일본 지방박람회의 대표적인 성공 포인트
04 타당성 조사
장기적인 구상: 타당성과 사후 활용계획
계획과 조직, 타당성의 몇 가지 기본 사항
타당성 조사의 데이터
타당성 조사의 착수: 프로젝트 개발 접근 방법
박람회의 리스크 분석
05 입장객 예측
입장객 수의 예측
수요 예측 방법
유치 목표 설정
입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유의사항
리스본세계박람회의 교훈
06 코리아엑스포 인정제도
코리아엑스포 인정제도의 개요
코리아엑스포의 인정과정
코리아엑스포 인정에 따른 심사항목
코리아엑스포 조사연구: 코리아엑스포 개최 효과 측정
코리아엑스포 대상
07 박람회의 사후 활용
박람회의 개최 효과
세계박람회 사후 활용 사례
세계박람회 사후 활용 사례 분석
세계박람회 사후 활용 사례를 통한 시사점
성공적인 박람회 사후 활용을 위한 추진방향
08 박람회의 조사평가
메가 이벤트의 경제·사회효과와 평가방법
박람회의 경제효과 분석동향과 새로운 방향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박람회와 관련한 정책 담당자와 박람회를 기획·추진하는 실무자와 연구자에게 꼭 필요한 전문서로 활용도가 높을 것이라 확신한다. 특히 중앙 정부 관련 부처의 박람회 정책 실무자, 광역시·도 지역개발 및 문화관광부서 실무자, 2030부산세계박람회유치위원회 및 각 지방박람회조직위원회 실무자, 광고대행사 공공이벤트팀 실무자, 이벤트 프로모션회사 실무자, 대기업 홍보·전시 담당자, 컨벤션 시설과 전시장 행사 실무자, 전시회사의 전시관 제작 실무자, 대학의 이벤트 및 컨벤션학과, 문화기획 및 전시디자인학과, 지역개발 관련 학과의 교수와 박람회 연구자들에게 반드시 읽어 볼 것을 권하고 싶다.
_ 저자 “개정판 서문” 중에서
박람회를 계기로 하는 환경정비, 부지이용 촉진, 회장정비에 따른 조성, 건축 관련 공사에 의한 경기자극, 관람객을 비롯해 대량의 인파가 이동하고 소비함으로써 발생하는 새로운 수요의 창출 등 직접적 효과는 어느 박람회에서나 공통되는 개최 메리트라고 할 수 있다. 박람회를 흥행 관점에서 파악하더라도 대성공이었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이러한 경제 효과를 가져온 지방박람회가 지역 활성화라는 관점에서 볼 경우 반드시 지역 활성화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박람회를 위한 박람회, 즉 경제 효과만을 주목적으로 한 일회성의 축제로 끝날 위험성이 항상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_ “02 박람회 개최 배경” 중에서
안타깝게도 프로듀서와 프로듀스 기능에 대해 정확한 이해와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오해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프로듀서를 단순한 자문으로 착각하고 필요한 때만 의견을 듣는 경우나, 프로듀서를 하청업자들과 같다고 생각하고, 무엇이든 프로듀서가 자동적으로 해 줄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박람회의 프로듀서는 박람회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하고, 박람회의 전체 구성을 기획하여, 주최자 측의 입장에서 전체 총괄업무를 수행하며 진행 관리·조정 기능을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특수한 기술과 노하우를 제공하는 전문가다.
_ “02 박람회 프로듀스와 전문가 선정 ”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