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28823008
· 쪽수 : 1442쪽
· 출판일 : 2017-12-26
책 소개
목차
1권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제1편 총론
제1장 중국철학사의 범위 및 그 특질
제2장 중국 고전의 연구법
제3장 중국철학사의 재료?목록학
제2편 공자 이전의 중국 사상
제1장 중국 민족의 기원
제2장 중국 사상의 기원
제3장 중국 고대의 종교사상
제4장 중국 고대의 도덕사상
제5장 중국 고대의 오행에 관한 사상
제6장 역(易)
2권
제3편 춘추전국시대의 사상
제1장 주대의 제도와 사상의 발흥
제2장 공자
제3장 공문의 분파
제4장 노장학파의 철학
제5장 양주의 철학
제6장 묵자의 철학
제7장 법가의 철학
제8장 명가의 철학
제9장 종횡가·병가 및 잡가
3권
제4편 한당 시대(기원전 207∼기원후 907)의 사상
제1장 서한(기원전 207∼기원후 7)의 경학
제2장 동한(25∼220)의 경학
제3장 위진남북조(221∼588)의 철학
제4장 당대(618∼907)의 경학
4권
제5편 송·원·명(960∼1643)의 철학
제1장 송대(960∼1276)의 철학
제2장 원대(1277∼1367)의 철학
제3장 명대(1368∼1643)의 철학
5권
제6편 청(1644∼1911)의 학술과 사상
제1장 개설
제2장 한학의 예비 시대
제3장 건륭·가경 시대의 한학
제4장 도광 이후의 학술과 사상
발(跋)
본서에 인용된 주요 일본 학자
찾아보기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에서
주돈이가 남안(南安)에서 관리로 있었을 때, 나이도 매우 젊어 태수가 알지 못했는데, 낙양 사람인 정향(程珦)이 와서 태수의 사무를 대행하게 되자, 주돈이의 기품과 용모가 보통 사람이 아님을 보고서 더불어 말해 보고는 그 학식에 감복하여 도우(道友)로 맺었으며, 또 두 아들로 하여금 나아가 배우게 했다고 한다. 그 두 아들이라 하는 것이 곧 호(顥, 정명도)와 이(頤, 정이천)다. 그렇다면 이 두 사람은 도학을 제창하여 공·맹의 전해지지 못한 도통(道統)을 이었다고 칭하지만, 그 원천은 염계에게서 비롯되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