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28822926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17-12-26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제1편 총론
제1장 중국철학사의 범위 및 그 특질
제2장 중국 고전의 연구법
제3장 중국철학사의 재료?목록학
제2편 공자 이전의 중국 사상
제1장 중국 민족의 기원
제2장 중국 사상의 기원
제3장 중국 고대의 종교사상
제1절 조상 숭배
제2절 조상 외의 인귀 숭배
제3절 자연 현상 및 자연물의 숭배
제4절 상제 혹은 천(天)의 숭배
제4장 중국 고대의 도덕사상
제5장 중국 고대의 오행에 관한 사상
제1절 오행의 기원
제2절 오행의 의의
제3절 오행에 관한 사상의 변천
제6장 역(易)
제1절 ≪역≫의 기원 및 그 성립
제2절 역의 사상
책속에서
공자는 ≪중용≫에 보이는 바와 같이, 요·순을 조술하고 문·무를 헌장하여 옛 성인의 도를 밝혔고, 또 그것에다 자기 생각을 보탠 것이어서 자기의 생각은 물론 있지만, 그것은 역시 육경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다. 공자가 어떤 일에 있어서나 반드시 옛 성인을 인용하여 증전(證典)으로 삼고 있는 바를 보더라도, 피석서 등의 설이 무리인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공자까지는 누구라 할 ‘어떤 한 사람’의 학자가 있었던 것이 아니므로, 사람과 철학을 결부시켜서 생각한다면 공자가 처음이지만, 그의 정치 도덕에 관한 사상은 공자 이전 옛날부터 있었으므로, 그것을 모르고서는 공자의 학설을 알 수 없으며, 또 종래의 육경의 가르침에 공자가 어느 정도 새롭게 부가했느냐 하는 것도 알 수가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