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헴 생물학](/img_thumb2/9791128823572.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ISBN : 9791128823572
· 쪽수 : 386쪽
· 출판일 : 2017-08-0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제1장 서론
제2장 헴의 합성과 분해: 오작동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제3장 헴: 유전자 전사 조절 인자인 헴
제4장 단백질 합성과 적혈구 생성에서 헴 의존적 eIF2α 키나아제(HRI)
제5장 뇌신경계에서 헴의 역할: 지킬박사와 하이드?
제6장 헴과 마이크로 RNA 생성
제7장 생물학에서 헴의 매력적인 역할: 헴 다시 보기
제8장 헴 인지 구조화학: 헴과 단백질 혹은 펩티드 상호 작용
제9장 헴 생합성 과정의 임상 응용: 프로토포르피린 IX을 이용한 광역학 치료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책속에서
헴 분해 이상과 연관된 가장 흔한 질병은 피부에 빌리루빈이 침착하여 황달을 초래하는 빌리루빈 과다증이다. 빌리루빈 과다증은 겸상 적혈구 빈혈, 유전성 구상적혈구증(spherocytosis), 독성이 있거나 특이 체질의 약물반응에서 일어나는 용혈작용 증가(적혈구의 너무 이른 파괴)에 기인한다. 빌리루빈 과다증은 간 기능 장애, 예를 들어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이나 간암 때문에 생긴 세포 손상이 원인이 되어 나타날 수도 있다. 황달의 또 다른 흔한 형은 신생아 황달이다. 신생아의 거의 반수가 태어난 첫 5일 동안 임상적으로 황달 증세를 보인다. 대개 신생아에서 빌리루빈 UDP-글루쿠론산 전환효소의 활성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생명체에서 헴은 단백질의 보결체(prosthetic group)로 간주된다. 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주로 산소를 운반하고 감지하는 역할을 하거나 독성 물질의 무독화 및 대사에 참여한다. 또한 신호 전달 물질인 일산화탄소와 일산화질소를 만들어 생물학적 요구에 부응하는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런 다양한 기능을 하는 헴은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분해되고 여러 세포 사이를 순환한다. 보결체로 단백질에 편입되지 않고서도 헴은 단백질과 일시적으로 결합해 그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헴의 기능은 뇌신경 생물학에서 중요성을 더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