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위진세어

위진세어

곽반 (지은이), 김장환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27,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410원 -5% 0원
830원
25,580원 >
25,020원 -10% 0원
0원
25,0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26,41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240원 -10% 910원 15,500원 >

책 이미지

위진세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위진세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중국소설
· ISBN : 9791128852992
· 쪽수 : 374쪽
· 출판일 : 2020-09-28

책 소개

위나라와 진나라의 유명한 역사 인물에 대한 소문을 기록한 책이다. ≪삼국지≫와 ≪진서(晉書)≫의 바탕이 되었으며, ≪세설신어≫를 비롯한 수많은 소설과 희곡의 모티프가 된, 역사적으로나 문학적으로나 중요한 작품이다. 원본이 망실되어 그간 연구가 부족했으나 김장환 교수가 각 문헌의 일문을 집일, 교감해 세계 최초로 정본을 확립했다.

목차

위세어
1. 조숭
2. 교현
3. 태조
4. 중모현의 공조
5. 위자
6. 정욱
7. 진궁
8. 왕필
9. 응소
10. 장기
11. 조 공
12. 조앙
13. 양덕조
14. 원소의 병력
15. 조 공의 병력
16. 최계규
17. 유비
18. 견후
19. 설제
20. 공융의 아들
21. 양곡
22. 조식의 부인
23. 곽심
24. 오질
25. 등애
26. 하후칭과 하후영
27. 위풍
28. 양수
29. 탁룡사의 나무
30. 하후돈
31. 조위
32. 공계
33. 조상과 명제
34. 주양성
35. 외희
36. 어환
37. 석경
38. 명제 때의 경학박사
39. 양위
40. 유엽
41. 진건
42. 진본
43. 사총·팔달·삼예
44. 선비족 노비
45. 만총
46. 화흠
47. 제갈무후
48. 신비
49. 제갈량·제갈근·제갈탄
50. 닭 모양의 그림
51. 우송
52. 사마선왕
53. 유방과 손자
54. 조조
55. 주태
56. 하안
57. 하후현
58. 종회
59. 조상 형제
60. 조상의 꿈
61. 손겸
62. 장제
63. 조상
64. 노지와 양종
65. 곽회
66. 하후패
67. 하후연의 아들들
68. 정효
69. 이풍
70. 이풍
71. 하후현
72. 이익
73. 사마문왕
74. 혜강
75. 관구검 정벌
76. 두우
77. 관구전
78. 부하
79. 제갈탄
80. 오강
81. 만장무
82. 석포
83. 왕경
84. 상웅
85. 왕경
86. 왕업
87. 여소
88. 신헌영
89. 종육 형제
90. 종회
91. 강유
92. 강유
93. 사찬
94. 거대한 물고기
95. 곽창
96. 완씨 집안사람들

진세어(晉世語)
97. 손초
98. 손자형
99. 옥장
100. 왕혼
101. 장효
102. 노흠
103. 왕순
104. 반양중
105. 왕융과 화교
106. 완혼
107. 교단의 개
108. 능운대
109. 유표의 무덤
110. 위관
111. 순우
112. 환능
113. 사마예
114. 위관과 색정
115. 허기와 허맹
116. 민회태자
117. 배 복야
118. 진수
119. 동수
120. 왕돈
121. 가모
122. 한나라 때의 철추
123. 유식
124. 등낭
125. 임랑의 주옥
126. 왕기
127. 양남·양의·양침
128. 노지
129. 최양
130. 화회
131. 유초
132. 곽박
133. 조협
134. 포남해
135. 공연
136. 주백인
137. 왕세장
138. 두이
139. 부선과 부창
140. 원종
141. 백자고
142. 성법제
143. 오환
144. 교응
145. 푸른 꿩

부록 : ≪위진세어≫의 일문으로 간주하기 어려운 고사
1. 백리해
2. 왕자교
3. 사인조
4. 학융
5. 강유
6. 왕동정
7. 석의
8. 고장강
9. 손성
10. 왕자유
11. 범영
12. 서막
13. 왕효백
14. 은중문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곽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위진세어≫의 찬자 곽반(郭頒)은 사서(史書)에 그의 전(傳)이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행적을 거의 알 수 없지만, 관련 전적에 보이는 단편적인 기록을 통해 그 대강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곽반은 서진(西晉) 때 사람으로 자가 장공(長公)이고, 처음에 영사(令史)를 지내다가 나중에 지방관으로 나가 양양령(襄陽令)이 되었으며, 동진(東晉) 초까지 생존했던 것으로 보인다. ≪위진세어≫ 10권 외에 ≪군영론(群英論)≫ 1권을 지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모두 망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펼치기
김장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에서 〈세설신어연구(世說新語硏究)〉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연세대학교에서 〈위진남북조지인소설연구(魏晉南北朝志人小說硏究)〉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강원대학교 중문과 교수, 미국 하버드 대학교 옌칭 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객원교수(2004∼2005), 같은 대학교 페어뱅크 센터(Fairbank Center for Chinese Studies) 객원교수(2011∼2012)를 지냈다. 전공 분야는 중국 문언 소설과 필기 문헌이다. 그동안 쓴 책으로 《중국 문학의 흐름》, 《중국 문학의 향기》, 《중국 문학의 향연》, 《중국 문언 단편 소설선》, 《유의경(劉義慶)과 세설신어(世說新語)》, 《위진세어 집석 연구(魏晉世語輯釋硏究)》, 《동아시아 이야기 보고의 탄생?태평광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중국 연극사》, 《중국 유서 개설(中國類書槪說)》, 《중국 역대 필기(中國歷代筆記)》, 《세상의 참신한 이야기?세설신어》(전 3권), 《세설신어보(世說新語補)》(전 4권), 《세설신어 성휘운분(世說新語姓彙韻分)》(전 3권), 《태평광기(太平廣記)》(전 21권), 《태평광기상절(太平廣記詳節)》(전 8권), 《봉신연의(封神演義)》(전 9권), 《당척언(唐?言)》(전 2권), 《열선전(列仙傳)》, 《서경잡기(西京雜記)》, 《고사전(高士傳)》, 《어림(語林)》, 《곽자(郭子)》, 《속설(俗說)》, 《담수(談藪)》, 《소설(小說)》, 《계안록(啓顔錄)》, 《신선전(神仙傳)》, 《옥호빙(玉壺氷)》, 《열이전(列異傳)》, 《제해기(齊諧記)·속제해기(續齊諧記)》, 《선험기(宣驗記)》, 《술이기(述異記)》, 《소림(笑林)·투기(妬記)》, 《고금주(古今注)》, 《중화고금주(中華古今注)》, 《원혼지(寃魂志)》, 《이원(異苑)》, 《원화기(原化記)》, 《위진세어(魏晉世語)》, 《조야첨재(朝野僉載)》(전 2권),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 《소씨문견록(邵氏聞見錄)》(전 2권) 등이 있으며, 중국 문언 소설과 필기 문헌에 관한 여러 편의 연구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유비(劉備)가 번성(樊城)에 주둔하고 있을 때 유표(劉表)가 그를 예우했는데, 그의 사람됨을 꺼려 그다지 신임하지는 않았다. 일찍이 유비를 연회에 초청했을 때, 괴월(?越)과 채모(蔡瑁)가 그 기회를 틈타 유비를 잡아들이려 했는데, 유비가 알아차리고 거짓으로 측간에 간다고 하면서 몰래 도망쳐 나왔다. 유비가 타는 말은 적로(的盧)라고 했는데, 유비가 적로를 타고 달리다가 양양성(襄陽城) 서쪽 단계(檀溪)의 물속으로 떨어져 빠진 채로 나올 수 없었다. 유비가 다급하게 말했다.
“적로야, 오늘처럼 곤궁한 지경에 어찌하여 힘을 쓰지 않느냐!”
적로가 [유비의 말을 알아듣고] 단번에 세 길을 뛰어올라 마침내 지나갈 수 있었다. 유비가 뗏목을 타고 강을 건너 중류쯤 갔을 때 추격병이 도착해 유표의 뜻을 전하면서 사과하며 말했다.
“어찌하여 그렇게 속히 떠나시오!”


태조(太祖 : 조조)가 업성(?城)을 공략했을 때, 문제(文帝 : 조비)가 먼저 원상(袁尙)의 관부(官府)로 들어갔는데, 어떤 부인이 흐트러진 머리카락에 때 묻은 얼굴로 눈물을 흘리면서 원소(袁紹)의 부인 유씨(劉氏)의 뒤에 서 있었다. 문제가 물었더니 유씨가 대답했다.
“원희(袁熙)의 처입니다.”
그녀가 돌아보며 머리카락을 쓸어 올려 비녀를 꽂고 수건으로 얼굴을 닦았는데, 용모가 비할 데 없이 아름다웠다. 문제가 가고 난 뒤에 유씨가 견후(甄后)에게 말했다.
“죽을 것을 걱정하지 마라!”
견후는 마침내 문제에게 간택되어 총애를 받았다.


위왕(魏王 : 조조)이 일찍이 출정할 때, 세자(世子 : 조비)와 임치후(臨?侯) 조식(曹植)이 함께 길옆에 있었다. 조식이 위왕의 공덕을 칭송했는데, 말을 하면 바로 문장이 되었기에 좌우 신하들이 눈여겨보았으며 위왕도 기뻐했다. [이를 본] 세자가 기가 죽어 낙심하자, 오질(吳質)이 세자의 귀에 대고 말했다.
“왕께서 떠나실 때 그저 눈물만 흘리면 됩니다.”
작별할 때 세자가 울면서 절하자, 위왕과 좌우 신하들이 모두 흐느껴 울었다. 그리하여 모두들 조식은 문사(文辭)가 매우 화려하지만 성심(誠心)이 세자에 미치지 못한다고 여겼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53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