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문심조룡 금역 - 상](/img_thumb2/9791128866685.jpg)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문심조룡 금역 - 상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비평론
· ISBN : 9791128866685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23-07-05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비평론
· ISBN : 9791128866685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23-07-05
책 소개
≪문심조룡≫은 중국 남북조 시대의 문학가 유협(劉?)이 쓴 문학 이론서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문 평론서이자 고전 문학사상 손꼽히는 걸작이다. 상권에서는 문학의 총론과 문체론, 하권에서는 창작론과 문학사관, 작가론, 감상론, 작가 품덕론을 다뤘다.
목차
예언(例言)
양서·유협전(梁書·劉勰傳)
총론(總論)
1. 원도(原道)
2. 징성(徵聖)
3. 종경(宗經)
4. 정위(正緯)
5. 변소(辨騷)
문체론(文體論)
6. 명시(明詩)
7. 악부(樂府)
8. 전부(詮賦)
9. 송찬(頌贊)
10. 축맹(祝盟)
11. 명잠(銘箴)
12. 뇌비(誄碑)
13. 애조(哀吊)
14. 잡문(雜文)
15. 해은(諧讔)
16. 사전(史傳)
17. 제자(諸子)
18. 논설(論說)
19. 조책(詔策)
20. 격리(檄移)
21. 봉선(封禪)
22. 장표(章表)
23. 주계(奏啓)
24. 의대(議對)
25. 서기(書記)
책속에서
유협이 말한 “문지추뉴”는 그의 걸출한 성취이자, 이전 문학 이론가를 초월한 부분이다. 그는 하나의 문론(文論) 체계를 건립하기 위해 원도(原道)라는 명제(命題)를 제시했다. “글로 도를 밝힌다(因文明道)”는 제시는 당시 문풍의 병폐를 구하는 작용으로 작동했다. “≪이소≫에서 변화를 구한다(變乎騷)”는 제시는 문학의 창신과 변화에 주목한 것이다.
유협은 병폐를 바로잡기 위해 명도(明道)와 종경(宗經)을 제시해, 형식에만 편중한 부화하고 무기력한 문풍을 반대했다. 자연(自然)을 제시해 억지로 꾸며 부자연스러운 것에 반대했다. “≪이소≫에서 변화를 구한다”를 제시한 것은 문학의 발전에는 새로운 변화가 필요함을 지적한 것이다. 문학의 병폐를 방지해야 문학이 정확한 길로 발전할 수 있다.
- <총론(總論)>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