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심조룡 금역 - 상

문심조룡 금역 - 상

저우전푸 (지은이), 배득렬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5% 0원
1,080원
33,120원 >
36,000원 -0% 0원
0원
3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6,240원 -10% 1310원 22,300원 >

책 이미지

문심조룡 금역 -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심조룡 금역 - 상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비평론
· ISBN : 9791128866678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23-07-10

책 소개

≪문심조룡≫은 중국 남북조 시대의 문학가 유협(劉?)이 쓴 문학 이론서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문 평론서이자 고전 문학사상 손꼽히는 걸작이다. 상하권 각 25편씩 총 50편으로 구성되었는데 상권에서는 문학의 총론과 문체론, 하권에서는 창작론과 문학사관, 작가론, 감상론, 작가 품덕론을 다뤘다.

목차

예언(例言)
양서·유협전(梁書·劉勰傳)

총론(總論)
1. 원도(原道)
2. 징성(徵聖)
3. 종경(宗經)
4. 정위(正緯)
5. 변소(辨騷)

문체론(文體論)
6. 명시(明詩)
7. 악부(樂府)
8. 전부(詮賦)
9. 송찬(頌贊)
10. 축맹(祝盟)
11. 명잠(銘箴)
12. 뇌비(誄碑)
13. 애조(哀吊)
14. 잡문(雜文)
15. 해은(諧讔)
16. 사전(史傳)
17. 제자(諸子)
18. 논설(論說)
19. 조책(詔策)
20. 격리(檄移)
21. 봉선(封禪)
22. 장표(章表)
23. 주계(奏啓)
24. 의대(議對)
25. 서기(書記)

저자소개

저우전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장(浙江) 핑후(平湖) 출신이다. 저명한 학자로 고전 시사(古典詩詞)와 문학 이론의 전문가이자 풍부한 경험의 편집가다. 주 저작은 ≪엄복 사상 평술(嚴復思想平述)≫,≪모 주석 시사 천석(毛主席詩詞淺釋)≫, ≪노신 시가 주(魯迅詩歌注)≫, ≪문심조룡 금역(文心雕龍今譯)≫, ≪이상은 선시(李商隱選詩)≫, 시사 예화≪(詩詞例話)≫, ≪문장 예화(文章例話)≫, ≪소설 예화(小說例話)≫, ≪중국 수사학사(中國修辭學史)≫, ≪중국 문장학사(中國文章學史)≫, ≪주역 석주(周易釋注)≫, ≪시경 역주(詩經譯注)≫, ≪저우전푸 학술 문화 수필(周振甫學術文化隨筆)≫, ≪저우전푸 문집(周振甫文集)≫(전 10권), ≪저우전푸 강담(周振甫講譚)≫(전 7권) 등이 있다.
펼치기
배득렬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1년 청주에서 태어났다. 청주고등학교,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석사, 박사 과정 수료), 베이징사범대학(박사)을 졸업하고, 청주 주성대학교 교수를 거쳐 2000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 문학 이론 및 ≪문심조룡≫ 관련 논문 10여 편과 ≪고사성어(故事成語)를 알면 중국이 보인다≫(학고방, 2007), ≪중국 문화 이해하기≫(충북대학교 출판사, 2013), ≪고사성어에 길을 묻다≫(구름서재, 2014), ≪중국 문학 이론의 이해≫(충북대학교 출판사, 2016), ≪문심조룡 주해(文心雕龍註解) 제1권≫(충북대학교 출판부, 2019), ≪문심조룡 주해 제2권≫(충북대학교 출판부, 2021)의 저술과 역서를 출간한 바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유협이 말한 “문지추뉴”는 그의 걸출한 성취이자, 이전 문학 이론가를 초월한 부분이다. 그는 하나의 문론(文論) 체계를 건립하기 위해 원도(原道)라는 명제(命題)를 제시했다. “글로 도를 밝힌다(因文明道)”는 제시는 당시 문풍의 병폐를 구하는 작용으로 작동했다. “≪이소≫에서 변화를 구한다(變乎騷)”는 제시는 문학의 창신과 변화에 주목한 것이다.
유협은 병폐를 바로잡기 위해 명도(明道)와 종경(宗經)을 제시해, 형식에만 편중한 부화하고 무기력한 문풍을 반대했다. 자연(自然)을 제시해 억지로 꾸며 부자연스러운 것에 반대했다. “≪이소≫에서 변화를 구한다”를 제시한 것은 문학의 발전에는 새로운 변화가 필요함을 지적한 것이다. 문학의 병폐를 방지해야 문학이 정확한 길로 발전할 수 있다.
- <총론(總論)>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66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