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84641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20-06-30
책 소개
목차
1장. 온라인 수업 혁명의 시작
1. 이미 시작된 미래
2. 에듀테크의 재발견
3. 협력과 공유의 새로운 교육공동체(교사학습공동체)
4. 교육 공간의 변화가 이끌어 내는 교사와 학생의 역할 변화
5. 언컨택트 시대, 여전히 학생 중심 수업이 좋은 수업
6. 온오프 전환을 보장하는 교육 환경 조성
7. 학생 중심 수업 디자인을 위한 최적의 수업 모형 찾기
2장. 온라인 수업 내비게이터
3장. 수업 모형
1. 강의 중심 수업
2. 토의·토론 중심 수업
3. 팀 활동(프로젝트) 중심 수업
4. 실기·실습 중심 수업
4장. 온라인 수업 자료 만들기: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영상 제작
1. 파워포인트 하나로 끝내기
2. 화면 캡처로 영상 제작하기: 반디캠
3. 판서 수업하기: 아이패드
4. 동영상 편집 및 자막 추가하기: 곰믹스
5장. 실시간 온라인 수업하기
1. 최고의 온라인 실시간 강의 도구: Zoom
2. 구글 기반 온라인 강의 도구: 구글 미트
3. 라이브 방송으로 온라인 수업하기
6장. 상호작용과 소통 촉진
1. 상호작용 도구: 패들렛
2. 실시간 온라인 협업 도구: 구글 드라이브, 구글 문서
3. 설문과 퀴즈: 구글 설문지, 네이버 폼
7장. 더 궁금한 몇 가지 FAQ
1. 저작권
2. 접근권: 온라인 수업에서 장애 학생 지원
3. 수업 에티켓: 보호와 존중이 있는 라이브 수업
부록
팀 구성표
프로젝트 수행 계획서
팀 활동 관찰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이런 시기의 교육적 문제를 해결하고,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효과적 학습을 위해 어떤 교육적 모형과 기술적·교육적 준비가 필요한지에 대답하고자 한다. 비대면 수업은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로 이미 우리에게 친숙한 교육 방식이 된 지 오래다. 이러닝은 효과적인 교수 학습의 한 형태로 인정받고 있으며, 매우 혁신적인 성공 사례들을 다수 보여 주었다. 따라서 기존 이러닝의 교육적 경험을 통해 의미 있는 교육 모형과 방법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현 상황의 변화는 지금까지 이러닝의 영역이 아니라고 생각한 영역까지 이러닝이 확대·침투했고 전통적인 교육과 이러닝이 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경험하게 한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비정상적인 비대면 수업 상황은 곧 정리될 것이지만, 비대면 수업을 준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얻은 성과들을 확산한다면 교육적 지평을 확대하고 전체적인 수업의 질 향상과 변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강의 준비와 수업 중의 소통, 과제 부여, 학습 활동 계획 등이 포함된 최적의 수업 모형을 수업 방법과 상황별로 설정하고 각 교수자들이 자신의 상황과 수업의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 활용하도록 했다. 교수자들은 수업 모형의 내용과 절차를 자신의 수업과 비교하여 비대면 수업을 새로운 방식, 더 효과인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 각 수업 모형은 향후 대면 수업, 즉 교육 공간에 변화가 생겨도 우수 수업의 준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비대면 수업 상황이 교수자들에게 교실의 공간을 넘어서는 교육의 확장과 교육 활동의 변화를 요구했다면,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교수자들이 스스로 교실 공간을 열어젖히고 교육의 목적과 가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면서 협력을 통해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택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적 실험이 되고 있다.
많은 교수자들이 혁신적인 기술과 다양한 방법들을 적용하여 수업을 운영하지만, 좋은 수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생들의 경험 자체가 학습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며(황은희 외, 2019), 학생의 자기 주도성을 강조하는 활동과 경험 중심의 수업 설계만이 혁신의 열쇠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