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91130471136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14-11-19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v
1부 한국형 수업컨설팅의 원리
01 한국형 수업컨설팅의 필요성
한국형 수업컨설팅이 필요한 이유
한국형 수업컨설팅의 내용
02 학교현장 수업컨설팅의 문제
평가 태도의 문제
평가 기준의 문제
평가 내용의 문제
03 성공적인 수업컨설팅을 위한 조건
수업분석 중심의 수업컨설팅의 문제
수업상담 중심의 수업컨설팅의 문제
교수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수업컨설팅
2부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진행기법
04 수업컨설팅의 개념 및 기대효과
수업컨설팅의 개념
수업컨설팅의 필요성
수업컨설팅의 기대효과
05 수업컨설팅 진행기법
수업컨설팅 방법
수업컨설팅 절차
수업컨설팅 준비의 실제
3부 수업컨설팅을 위한 기본 원칙
06 수업관찰과 분석의 이해
수업관찰의 개념과 기본 전제
수업관찰의 주요 내용
수업분석의 기본적 이해
수업관찰과 분석을 위한 사전 준비사항
수업분석의 원칙
수업분석 보고서 작성하기
07 수업관찰과 분석방법
양적 접근방법
질적 접근방법
08 수업컨설팅을 위한 준비
공통적 교육현안 분석하기
근거 자료 준비하기
09 수업개선 전략 도출
교수자의 문제인식에서 출발하라
다면적 분석으로 접근하라
학생 피드백 분석을 활용하라
학습에 초점을 맞춰라
상황별 전략을 제안하라
좋은 수업사례를 개발하라
10 수업성찰을 위한 컨설팅 기법
교수자의 자기평가를 돕기 위한 질문기법
효과적인 동료 피드백을 돕기 위한 질문기법
반성적 관점에서의 수업컨설팅 필요성
반성적 능력 신장을 위한 컨설팅 접근방법
4부 수업컨설팅 수행전략
11 수업설계와 수업구성을 위한 컨설팅 전략
수업설계의 의미와 고려사항
수업설계 모형 : ADDIE 모형
수업설계를 위한 원리
수업설계 컨설팅의 핵심 포인트
수업구성 전략
12 교수매체 활용을 위한 컨설팅 전략
수업목표와 교수매체 간의 일관성
교수매체 선정 분석
매체 활용 컨설팅의 핵심 포인트
판서 활용 수업을 위한 컨설팅
PPT 활용 수업을 위한 컨설팅
13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위한 컨설팅 전략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환경 점검
커뮤니케이션의 3V 요소
커뮤니케이션 스킬 컨설팅의 포인트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법
14 상호작용을 위한 컨설팅 전략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의 중요성
좋은 질의응답을 위한 전략
상호작용 점검의 핵심 포인트
15 수업유형별 컨설팅 전략 : 강의식 수업
강의식 방법의 의미
강의식 수업의 성공을 위한 선결과제
강의식 수업컨설팅의 핵심 포인트
16 수업유형별 컨설팅 전략 : 학생참여형 수업
토의식 수업의 특징
토의식 수업의 장단점
참여형 수업컨설팅의 핵심 포인트
17 수업유형별 컨설팅 전략 : 실습식 수업
실습식 수업의 의미
실습식 수업컨설팅의 핵심 포인트
18 교수자 유형별 컨설팅 전략
수용형 교수자 컨설팅 전략
방어형 교수자 컨설팅 전략
완벽형 교수자 컨설팅 전략
무관심형 교수자 컨설팅 전략
성공적인 동료 컨설팅을 위한 전략
5부 한국형 수업컨설팅을 위한 제언
19 한국적 교육상황에 대한 분석
20 교수자의 인식 전환
교수자는 수업으로 말한다
수업을 성찰하고 반성하라
수업은 성찰과 실천으로 변화한다
수업공개 문화와 풍토를 조성하라
21 수업컨설팅 저변 확대와 컨설턴트 역량 개발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의 확산
수업컨설팅 전문가 저변 확대
컨설턴트의 역량 개발
부록
책속에서
수업컨설팅은 수업분석이 아니다. 그러므로 수업컨설턴트는 수업분석가가 아니다. 또한 수업컨설팅이 수업상담이 아니므로 수업컨설턴트는 수업상담가도 아니다. 수업컨설팅은 의사소통의 과정이며, 수업의 전문적 기준에 대한 합의 도출과 장기간의 전문성 개발의 과정이다. 따라서 수업컨설턴트는 의사소통의 전문가가 되어야 하며, 교수자들의 전문성 개발 과정의 협력자가 되어야 한다.
수업컨설턴트는 수업분석가가 아니다. 수업에 대한 체계적 분석만으로 수업컨설팅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수업컨설팅은 교수자들이 동료 교수자와 교육 컨설팅 전문가와 함께 자신의 수업을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찾으려는 일련의 수업개선 과정이고, 교수자 자기연수이며, 수업에 대한 자기성찰 과정이다.
수업컨설팅이란, 수업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교수자가 자신의 수업을 발전시키고자 전문가의 도움으로 수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생의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색하는 과정이다. 수업컨설팅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업개선을 통한 교육의 질 향상이며 교수자의 교수역량 개발과 향상이다.
컨설턴트는 수업컨설팅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교과지식이 풍부하다고 반드시 수업 우수 교수자가 되는 것이 아니듯, 수업 우수 교수자가 반드시 좋은 멘토, 컨설턴트가 되는 것은 아니다. 컨설턴트에게는 전문가로서의 역할, 협력자로서의 역할, 지지자로서의 역할, 사실 발견자로서의 역할, 과정 전문가로서의 역할, 교육자로서의 역할, 변화 관리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