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성인문해학습자](/img_thumb2/9791128892769.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28892769
· 쪽수 : 182쪽
· 출판일 : 2023-12-18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비문해자와 문해학습자
1장 누가 문해학습자인가
법과 정책에서 문해학습자
잠재적 문해학습자 현황: 성별, 연령, 소득, 학력
2장 비문해의 원인
언어 환경의 중첩성
학교교육의 실패
기술 변화의 가속
3장 비문해로 인한 사회적 배제
경제 활동에서의 배제
사회적 관계, 참여에서의 배제
학습·교육 활동에서의 배제
4장 비문해자의 학습생활
비문해자의 학습 유형
비문해자의 문자생활
2부 문해학습자의 참여
5장 문해학습자의 참여 과정
참여 저해 요인
참여의 과정
6장 문해학습자의 특성
노인학습자
읽기 학습자
읽기 학습자를 위한 고려 사항
7장 문해학습의 효과
자기 정체성 변화: 자존감의 회복
관계의 변화: 공동체 경험
학습 성과: 보이는 학력(學歷)과 보이지 않는 학력(學力)
3부 문해학습자의 확장과 전망
8장 문해학습자의 확장
인구 변화와 문해학습 수요 변화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적 역할과 문해교육
이주민 정착 지원과 문해교육
다양한 배경의 청년을 위한 문해교육
가려진 비문해자
9장 미래 문해교육의 방향
문해에 대한 새로운 접근
문해학습자 확장과 문해교육 혁신
미주
책속에서
우리는 모두 잠재적 문해학습자다. … 이처럼, 우리는 전 생애 동안 수없이 여러 차례, 문해와 비문해의 스펙트럼 사이 어딘가를 오가며 살아간다. 마치 문해학습자를 강 건너 저편의 ‘타인’인 듯 생각하지만, ‘그들’과 ‘우리’는 쉽사리 구분되지 않는다. 따라서, 문해학습자를 이해하는 일은 우리 모두의 한 가지 면모를 이해하는 일과 다르지 않다.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 환경과 권력의 문제를 불가분의 관계로 바라볼 때, 우리나라의 독특한 언어문화가 지닌 역사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100년 남짓의 짧은 시간 동안 권력 언어가 수차례 바뀌는 경험을 했다. … 우리나라 언어 환경의 변화는 문해학습자를 이해하는 데 시사점을 준다. 비문해 배제가 누적적, 중층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문자생활의 중첩성, 즉 한글과 한자, 일본어, 영어가 혼합되어 있는 것은 문해의 장벽을 더욱 높이는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비문해자들이 겪는 큰 어려움 중 하나는 바로 사회적 고립이다. ‘문자’로 소통하는 세계 속에서, 문자에서 소외된 존재는 자신과 타인들을 아예 서로 ‘다른 존재’로 구분 짓는다. 비문해자는 ‘그들이 살아가는 세상’의 경계 바깥에 놓인 존재인 것이다. 이들은 문자로 이루어진 ‘그들만의 세상’에서 확실한 ‘국외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