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91128896323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22-12-21
책 소개
목차
사회학자, 사회 이론가, 공공 지식인
01 구조화 이론
02 통합적 사회학의 전략
03 사회 구조의 변화
04 권력과 정치
05 현대성과 정체성
06 성찰성
07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
08 제3의 길
09 중도 정치의 등장과 쇠퇴
10 성찰적 현대화의 가능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은 사회 활동이 단지 개인들의 무작위적 행위들로 이루어진다고 보지 않는다. 그러나 그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이 사회적 힘이나 구조적 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견해도 부정한다.
인간의 행위는 단지 미시적 행위의 총합이라고 볼 수 없지만, 거시적 설명으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행위자로서 인간과 사회적 구조는 서로 일정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행위자와 구조의 관계는 구조를 재생산하는 개인적 행위자의 행동의 반복으로 이루어진다.
_ “01 구조화 이론” 중에서
노동자 계급이 봉건 제도와 대립해 투쟁할 때는 혁명적 역할을 수행했지만, 현대 산업사회에서 반드시 혁명적 세력이 되는 것은 아니다. 19세기에 마르크스는 노동과 자본의 대립이 노동자 계급의 혁명으로 해소될 것으로 보는 변증법적 사고를 제시했다. 그러나 기든스는 노동자 계급을 역사의 진보를 실현하는 가장 중요한 행위자로 보지 않았고, 시대에 따라 정치적 역할이 변화한다고 보았다.
_ “03 사회 구조의 변화” 중에서
기든스는 타인과 세계가 사라지거나 무너지지 않고 계속 존재할 것이라는 개인의 믿음을 ‘기초적 신뢰’라고 불렀다. 기초적 신뢰가 무너지면 인간은 정신병적 상황에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인간은 일상생활에서 기초적 신뢰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끊임없이 걸러내는 작업에 몰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초적 신뢰는 자아 정체성의 토대기도 하다. 기초적 신뢰에 기초한 존재론적 안전감이 형성되지 않으면 인간은 제대로 인성을 가질 수 없으며, 자아 정체성을 성공적으로 구축할 수 없다.
_ “05 현대성과 정체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