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28896415
· 쪽수 : 98쪽
· 출판일 : 2022-11-25
책 소개
목차
현대 한국 괴담의 역사
01 현대 한국 괴담의 속성
02 한국 괴담의 유형 1: 장소
03 한국 괴담의 유형 2: 물건
04 한국 괴담의 유형 3: 문화콘텐츠
05 한국 괴담의 유형 4: 사건사고
06 한국 괴담의 유형 5: 음모론
07 한국 괴담의 유형 6: 직업
08 한국 괴담의 유형 7: 귀신, 괴물
09 한국 괴담의 새로운 장르
10 한국형 괴담 콘텐츠
저자소개
책속에서
입시를 위해 늦게까지 공부하다가 홀로 남은 학생이 귀신을 본다거나, 야근하다가 홀로 남은 회사의 복도 저 끝에서 하반신이 없는 귀신이 기어 온다거나, 영안실에서 혼자 시체를 닦던 아르바이트생이 시체가 움직이는 것을 보았다거나, 흉가에서 무언가 움직이는 것을 보았다는 부류의 괴담들을 보면 대부분이 ‘혼자’있을 때를 배경으로 한다. 불안정한 ‘경계공간’ 속에 혼자 남은 개인의 불안은 공포를 체험하고 경험은 괴담이 된다.
_ “02 한국 괴담의 유형 1: 장소” 중에서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문화콘텐츠는 하나의 작은 세계를 갖는다. 작은 세계 내에서도 괴담은 떠돈다. 문화콘텐츠 내에 존재하는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관객과 사용자들은 괴담을 창조한다. 게임처럼 가상 세계 내에서 직접 공포를 체험하며 괴담이 확산하는 경우도 있다.
_ “04 한국 괴담의 유형 3: 문화콘텐츠” 중에서
조작된 정보들은 음모론자들 사이에서 사실인 것처럼 떠돈다. 그럴듯해 보이는 음모론은 대중들 사이에서 쉽게 확산한다. 물론 음모론이 실화인 것으로 밝혀질 때도 있다. 일례로, 미국에서 1932년 매독 연구를 위해 고의로 흑인 남성들을 실험 대상으로 설정했다는 음모론이 돌았다. 하지만 음모론이 아닌 사실로 밝혀졌다.
_ “06 한국 괴담의 유형 5: 음모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