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WTO무역과 환경사례 연구

WTO무역과 환경사례 연구

박덕영, 이로리, 이길원, 고민영, 강문경, 배정생, 김민정, 이태화, 박원석, 박지현, 오선영, 류예리, 하대청, 김승민 (지은이)
박영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870원
28,1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9,000원 -10% 1450원 24,650원 >

책 이미지

WTO무역과 환경사례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WTO무역과 환경사례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무역
· ISBN : 9791130332222
· 쪽수 : 378쪽
· 출판일 : 2018-06-25

책 소개

WTO 분쟁해결 사례들 중 무역과 환경의 갈등에 대해 다룬 것을 추리고,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평석을 실은 것이다. 환경에 대한 WTO의 태도 변화라는 통시적 접근과 각 학자들의 다양한 관점에 대한 망라적 집약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목차

서 장  1
책의 구성 1

1. EC- Seal Products유럽연합(EU)의 바다표범 제품의 수입규제에 대한 WTO 분쟁해결기구의 결정 검토  10
1.1. 서 론 10
1.2. EU의 바다표범 제품의 수입금지에 대한 패널의 결정 13
1.2.1. TBT협정 제2조 1항 ‘비차별의무’ 위반 여부 13
1.2.1.1. “상업용 사냥”과 “IC 사냥” 사이의 규제적 구분의 정당성 여부 15
1.2.1.2. “상업용 사냥”과 “MRM 사냥” 사이의 규제적 구분의 정당성 여부 17
1.2.2. GATT협정 제Ⅰ?Ⅲ조 ‘비차별의무’ 및 제ⅩⅩ조 “일반적 예외” 규정 위반 여부 19
1.2.2.1. 제Ⅰ조 1항 ‘최혜국대우의무’ 위반 여부 19
1.2.2.2. 제Ⅲ조 4항 ‘내국민대우의무’ 위반 여부 19
1.2.2.3. 제ⅩⅩ조 “일반적 예외” 규정 위반 여부 20
1.2.3. TBT협정 제2조 2항 ‘불필요한 무역장애금지의무’ 위반 여부 22
1.3. EU의 바다표범 제품의 수입금지에 대한 항소기구의 결정 24
1.3.1. TBT협정상 ‘기술규정’에 해당하는지 여부 24
1.3.2. GATT협정상 ‘비차별의무’ 규정 위반 여부 25
1.3.3. GATT협정상 ‘일반적 예외’ 규정 위반 여부 27
1.3.3.1. 제ⅩⅩ조 (a)호 ‘공중도덕의 보호’를 위해 필요한 조치인지 여부 27
1.3.3.2. 제ⅩⅩ조 전문상 ‘자의적이거나 정당화할 수 없는 차별의 수단’을 구성하는지 여부 29
1.4. WTO 분쟁해결기구의 결정에 대한 법적 쟁점 검토 31
1.4.1. “다른 원인이나 근거에 의한” 규제적 구분의 정당성 31
1.4.2. TBT협정 부속서 1.1에서 규정하고 있는 ‘상품의 특성’의 의미 32
1.4.3. GATT법제와 TBT법제 간 ‘비차별의무’ 위반 판단기준의 상이성 33
1.4.4. TBT협정상 ‘비차별의무’와 ‘불필요한 무역장애금지의무’와의 관계 34
1.4.5. 국내규제의 자치권으로서 동물보호의 필요성 인정 35
1.5. 결 론 36
참고문헌 38

2. US-Cool Case육류 상품에 대한 미국의 원산지 라벨링 조치를 둘러싼 국제통상법적 쟁점―TBT협정 제2.1조 및 제2.2조를 중심으로―  40
2.1. 서 론 40
2.2. 분쟁 대상 조치: COOL 조치의 이해 42
2.2.1. 원산지 정보의 제공 42
2.2.2. 원산지의 지정 43
2.2.3. 원산지 라벨링 요건 44
2.3. 주요 쟁점별 패널 및 상소기구 판정 요지 46
2.3.1. TBT협정 제2.1조와의 합치성 46
2.3.1.1. 패널의 판정 46
2.3.1.2. 상소기구의 판정 49
2.3.2. TBT협정 제2.2조와의 합치성 52
2.3.2.1. 패널의 판정 53
2.3.2.2. 상소기구의 판정 55
2.4. 결 론 59
참고문헌 61

3. China-Rare Earth중국 희토류 사건에 대한 국제통상법적 고찰  62
3.1. 서 론 62
3.2. 중국 희토류 사건 개요(중국 vs EU, 미국, 일본) 65
3.3. 중국 국내법상 희토류 수출제한 규정에 대한 국제통상법적 분석 67
3.3.1. 중국 국내법상 희토류 수출제한 규정 67
3.3.1.1. 수출우대폐지 69
3.3.1.2. 수출쿼터 실시 69
3.3.1.3. 수출관세부과 70
3.3.2. 중국 희토류 수출 제한 규정의 WTO협정과의 합치성 여부 70
3.3.2.1. GATT 제?조 71
3.3.2.2. GATT 제ⅩⅩ조 72
3.4. 중국 희토류 관련 향후 정책과 우리의 대응방안 73
3.5. 결 론 78
참고문헌 80

4. US-Tuna II미국 돌고래안전 라벨제도에 관한 WTO 분쟁과 이행  81
4.1. 서 론 81
4.2. 미국 돌고래보호 정책과 GATT/WTO 통상분쟁 83
4.2.1. 미국 돌고래보호 조치와 GATT 분쟁 83
4.2.2. 미국 돌고래안전 라벨조치와 WTO 분쟁 85
4.3. 기술규정의 이행강제성 요건 88
4.3.1. 기술규정의 이행강제성 개념의 적용 88
4.3.1.1. 패널 판정 89
4.3.1.2. 상소기구 평결 91
4.3.2. 기술규정의 이행강제성 쟁점 92
4.4. 기술규정에 대한 내국민대우 의무 94
4.4.1. 기술규정에 대한 내국민대우 의무의 적용 94
4.4.2. 동종성 검토 94
4.4.3. ‘불리한 대우’ 검토 95
4.4.3.1. 패널 판정 96
4.4.3.2. 상소기구 평결 97
4.4.4. 기술규정의 내국민대우 관련 쟁점 99
4.4.4.1. 제2.1조 내국민대우 조항의 검토기준 99
4.4.4.2. 제2.1조 입증책임의 소재 100
4.4.4.3. 기술규정의 ‘공평성’ 100
4.5. 기술규정에 대한 ‘최소무역제한’ 의무 101
4.5.1. 기술규정에 대한 최소무역제한 의무의 적용 101
4.5.2. ‘정당한 목적’에 관한 검토 102
4.5.3. ‘최소무역제한’에 관한 검토 103
4.5.3.1. 패널 판정 103
4.5.3.2. 상소기구 평결 103
4.5.4. ‘최소무역제한’ 관련 쟁점 104
4.5.4.1. 입증책임의 소재 104
4.5.4.2. ‘정당한 목적’과 수단 106
4.6. 기술규정의 국제표준 조화 의무 107
4.6.1. 기술규정의 국제표준 조화 의무의 적용 107
4.6.2. 패널 판정 108
4.6.2.1. ‘관련 국제표준을 기초로’ 사용하였는가? 108
4.6.2.2. 관련 국제표준이 국내조치의 목적 달성에 ‘비효과적이고 부적절한 수단’인가? 110
4.6.3. 상소기구 평결 111
4.6.4. 기술규정의 국제표준 조화 의무 관련 쟁점 113
4.7. 결론: 이행분쟁과 시사점 115
참고문헌 119

5. EC?Canada Asbestos녹색공공영역(Green Public Sphere)의 관점에서 본 WTO: EC-캐나다 석면사건 분석  121
5.1. 서 론 121
5.2. 이론적 논의 123
5.3. EC-캐나다 석면사건 127
5.3.1. WTO와 Amicus Curiae 127
5.3.2. EC-캐나다 석면사건 논의 130
5.4. 녹색공공영역의 관점에서 바라본 EC-캐나다 석면사건 138
5.5. 시사점 및 결론 142
참고문헌 144

6. EC-AsbestosWTO EC-석면 사건과 첫 환경예외의 인정  146
6.1. 서 론 146
6.2. WTO 그리고 무역과 환경 147
6.3. EC 석면(Asbestos) 사건의 법적 쟁점 150
6.3.1. 사안의 경과 150
6.3.2. 사실관계의 검토 151
6.3.3. 주요 법적 쟁점 152
6.3.3.1. Decree가 TBT협정이 규율하는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 152
6.3.3.2. GATT 제3조 4항 및 제11조 적용여부 152
6.3.3.3. GATT 제20조 (b)항 적용여부 152
6.3.3.4. GATT 제23조 1항 (b)호 적용여부 153
6.4. 패널과 항소기구의 판정내용과 이유 153
6.4.1. 패널의 판정내용 153
6.4.2. 항소기구의 판정내용 154
6.4.3. 판정 내용과 그 이유 154
6.4.3.1. Decree가 TBT협정의 규율범위에 속하는지 여부 154
6.4.3.2. GATT 제3조 4항 및 제11조의 해석과 적용 155
6.4.3.3. GATT 제20조 (b)호의 해석과 적용 157
6.4.3.4. GATT 제23조 1항 (b)호 해당여부 161
6.4.4. Amicus Brief 규범 제정 시도 162
6.4.5. 본 사건의 의의 163
6.5. 결 론 165
참고문헌 167

7. EC-HormonesWTO SPS 위생조치의 적법성에 관한 연구―소고기 호르몬사건을 중심으로―  169
7.1. 들어가는 말 169
7.2. 사건개요 171
7.2.1 EU의 수입금지 조치 171
7.2.2. 당사국의 주장 172
7.3. 소고기호르몬 사건에 대한 SPS협정의 적용 173
7.3.1. 입증책임 173
7.3.2. 국제기준 기초(based on) 의무(제3조 1항) 176
7.3.2.1. Codex 기준의 규범성; 권고적 효력 177
7.3.2.2. 국제기준(Codex 기준)의 “기초(based on)” 의무 (제3조 1항) 177
7.3.3. 국제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의 채택 (제3조 3항) 180
7.3.4. 위험평가 및 보호의 적정수준 결정 182
7.3.4.1 위험평가: 제5조 1-3항 182
7.3.4.2. 제5조 4항-6항: 위험관리 187
7.3.5. 위험평가와 사전주의의 원칙과의 관계 193
7.4. 소고기호르몬 사건이 남긴 교훈과 문제점 194
7.5. 맺는 말 197
참고문헌 199
8. Can-Renewable Energy유럽의 신?재생에너지정책과 FIT(Feed-in tariff)의 통상법적 쟁점―캐나다-재생에너지발전분야사건을 중심으로―  200
8.1. 서 론 200
8.2. 유럽의 신?재생에너지정책과 FIT 203
8.2.1. 유럽의 신?재생에너지정책 203
8.2.2. FIT(발전차액지원제도) 204
8.3. 보조금협정과 FIT 208
8.3.1. 에너지는 상품인가 서비스인가? 사회간접자본인가? 208
8.3.2. 보조금인가 조달행위인가? 211
8.3.3. 보조금으로서 FIT 213
8.3.3.1. 재정적 기여와 가격지지 213
8.3.3.2. 수입품 대신 국내 상품의 사용을 조건으로 지급되는 금지보조금 215
8.3.3.3. 혜 택 216
8.3.3.4. 지시 또는 위임 217
8.3.3.5. 특정성 220
8.4. 결 론 220
참고문헌 223

9. US-Clove Cigarettes자국민의 건강보호를 위한 기술규정 조치의 국제통상법적 쟁점에 관한 소고: 미국-정향 담배 사건을 중심으로  226
9.1. 서 론 226
9.2. 사건의 개요 227
9.3. 패널 및 상소기구 보고서 핵심 쟁점 분석 229
9.3.1. TBT협정 제2.1조: 기술규정에 대한 내국민대우원칙 229
9.3.1.1. 기술규정 230
9.3.1.2. 동종 상품 여부 230
9.3.1.3. 불리한 대우 234
9.3.2. TBT협정 제2.2조: 불필요한 무역장애금지원칙 (필요성의 원칙) 237
9.3.2.1. 패널의 결정 237
9.3.2.2. 평가 및 소고 239
9.3.3. TBT협정 제2.12조: 합리적인 기간 공지원칙 244
9.3.3.1. 패널의 결정 244
9.3.3.2. 상소기구의 결정 245
9.3.3.3. 평가 및 소고 246
9.4. 결 론 246
참고문헌 249

10. China-Raw MaterialsWTO ‘중국-원자재 사건(China-Raw Materials)’에 관한 연구  251
10.1. 서 론 251
10.2. 사건 개요 252
10.3. 주요 실체적 쟁점 253
10.3.1. 수출세 253
10.3.1.1. 수출세에 관한 WTO 규범의 부재 253
10.3.1.2. WTO 가입국의 수출세 약속 동향 255
10.3.1.3. 중국의 수출세 폐지 및 예외에 관한 약속 256
10.3.1.4. 중국 WTO 가입의정서 11.3항 위반 258
10.3.2. 수출쿼터 259
10.3.2.1. GATT 제XI조 1항 259
10.3.2.2. GATT 제XI조 2항 (a) 260
10.3.3. GATT 제ⅩⅩ조 적용 여부 262
10.3.3.1. 제ⅩⅩ조 (b)의 검토 262
10.3.3.2. 제ⅩⅩ (g)의 검토 265
10.3.4. 기타 쟁점 267
10.3.4.1. 수출쿼터할당 267
10.3.4.2. 수출허가 267
10.3.4.3. 최소수출가격 268
10.4. WTO 판결에 따른 중국 정부의 이행 268
10.4.1. 중국 정부의 이행 조치 268
10.4.2. 중국 수출제한제도의 내용 269
10.4.2.1. 수출세제도 269
10.4.2.2. 수출수량제한제도 270
10.4.3. 시사점 273
10.5. 결 론 273
참고문헌 275

11. Brazil-Retreaded Tyres‘브라질-재생 타이어 수입에 영향을 주는 조치’사건―GATT1994 제ⅩⅩ조의 적용을 중심으로―  277
11.1. 서 론 277
11.2. 사실관계 278
11.2.1. 사건의 배경 278
11.2.2. 패널의 평결 279
11.2.3. 상소기관의 평결 279
11.3. GATT1994 제ⅩⅩ조의 해석 및 적용 280
11.3.1. GATT1994 제?조 1항 위반조치 280
11.3.2. GATT1994 제ⅩⅩ조 (b)항의 적용 283
11.3.2.1. 수입금지 정책의 목적 283
11.3.2.2. 필요성 테스트 285
11.3.2.3. GATT1994 제ⅩⅩ조 모자조항 291
11.4. 결 론 296
참고문헌 299

12. EC-SardinesWTO 분쟁해결과 국제표준: EC-Sardines 및 EC-Biotech products 사건을 중심으로  300
12.1. 서 론 300
12.2. TBT협정과 SPS협정에서의 ‘국제표준’ 304
12.3. TBT협정과 SPS협정의 구분: EC-biotech products 사건 309
12.4. TBT협정에서 국제표준의 정의와 평가: EC-Sardines 사건 312
12.5. 분쟁해결기구의 절차 중심적 평가: EC-Biotech products 사건과 EC-Sardines 사건 315
12.6. 결론과 정책적 시사점 320
참고문헌 324
13. India?Solar Cells친환경 에너지 발전(發電)의 국내물품사용요건(DCR)에 관한 India-Solar Cells 사건 고찰  326
13.1. 서 론 326
13.2. India-Solar Cells 사건의 사실관계 328
13.2.1. 분쟁배경 및 사실관계 328
13.2.2. 청구내용 및 사안의 경과 330
13.3. 주요쟁점 및 최종판결 요지 331
13.3.1. TRIMs 제2.1조, GATT 제Ⅲ:4조 및 제Ⅲ:8(a)조 331
13.3.2. GATT 제ⅩⅩ:(j)조 및 제ⅩⅩ:(d)조 332
13.3.3. 최종판결 요지 333
13.4. 쟁점사안에 대한 판정내용 및 근거 분석 334
13.4.1. ‘내국민대우’ 의무위반 인정: TRIMs 제2.1조 및 GATT 제Ⅲ:4조 334
13.4.1.1. TRIMs 제2.1조의 해석방법 334
13.4.1.2. 패널절차 판단기준 및 근거 336
13.4.2. ‘정부조달’ 관련 NT의무 적용배제 불인정: GATT 제Ⅲ:8(a)조 341
13.4.2.1. 패널절차의 판정기준 및 근거 341
13.4.2.2. 상소절차 판단기준 및 근거 343
13.4.3. ‘공급부족상품’ 관련 일반적 예외 불인정: GATT 제ⅩⅩ:(j)조 345
13.4.3.1. 패널절차 판단기준 및 근거 346
13.4.3.2. 상소절차의 판단기준 및 근거 348
13.4.4. ‘법률 또는 규정의 준수확보’ 관련 일반적 예외 불인정: GATT 제ⅩⅩ:(d)조 350
13.4.4.1. 국내문서에 대한 판단기준 및 근거 350
13.4.4.2. 국제문서에 대한 판단기준 및 근거 353
13.5. 판정에 대한 검토 및 평가 356
13.5.1. TRIMs 제2.1조의 ‘GATT 제Ⅲ:4조와의 관계’ 구체화 356
13.5.2. GATT 제Ⅲ:8(a)조의 ‘경쟁관계’ 기준의 재확인 358
13.5.3. GATT 제ⅩⅩ조 (j)호의 ‘공급이 부족한 상품’ 및 ‘필수적 조치’의 판단기준 제시 362
13.5.4. GATT 제ⅩⅩ:(d)조의 ‘법률 또는 규정’의 적격기준 명료화 364
13.6. 결론: 친환경 에너지 발전(發電)에 관한 전망과 제언 367
참고문헌 371

사항색인 375

저자소개

박덕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법학사, 법학석사, 법학박사 대한민국 교육부 국비유학시험 합격 영국 캠브리지대학교(LL.M), 에딘버러대학교 박사과정 마침 (현)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기후변화와 국제법 연구센터 소장 대한국제법학회 회장, 한국국제경제법학회 회장, 한국환경법학회 부회장 역임 (현)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국회 입법자문위원 주요저서 및 논문 국제환경법(제2판)(공동), 파리협정의 이해(공동), 기후변화와 국제법(공역) 국제법 기본조약집(제4판), 국제경제법 기본조약집(제2판) Essential Documents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Legal Issues on Climate Change and International Trade Law(Springer) 국제경제법(신판), 국제환경법, 국제투자법, 미국법과 법률영어 등 저서와 논문 다수
펼치기
이로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주요 약력 現 계명대학교 법학과 교수 現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조정위원 現 데이터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 現 대구시갈등관리심의위원회 위원 現 한국중재학회 부회장 前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 前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 前 공공데이터제공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 前 공동주택관리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 前 대구지방검찰청 형사조정위원회 조정위원 - 주요 저서 생활과법률사례연구(2022 전면개정판), 세연북스 (2022) 소비자분쟁해결론, 세연북스 (2022) 신국제경제법(제4판), 박영사(2022, 한국국제경제법학회 공저) 분쟁해결협상론(개정판), 계명대학교 출판부(2016) Asia Mediaiton Handook, Sweet & Maxwell(2015, 공저) Mediaion in Asia-Pacific, Wolters Kluwer Law & Business(2013, 공저)
펼치기
이길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법과대학 학사 성균관대학교 법과대학 석사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LL.M., 법학석사)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J.S.D., 법학박사) (현)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현) 세계국제법협회(ILA) 한국본부 사무총장 “WTO 분쟁해결절차에 있어서 개발도상국의 참여 활성화 방안”, 국제법평론 제42호 “Suspending TRIPS Obligations as a Viable Op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to Enforce WTO Rulings”, Asian Journal of WTO & International Health Law and Policy, Vol. 9(1) 외 논문 다수
펼치기
고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법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법전공) 졸업 (법학석사)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Law (LL.M.)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법 박사과정 수료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통상법연구센터 연구원(2013. 3-2016. 7) (현) 주체코 대한민국대사관 선임연구원 “WTO Appellate Body Interpretation of TRIPS: Problems and Perspectives” (공동저자), Asian Business Lawyer “한.멕시코 FTA 투자규범 협상의 쟁점 및 시사점” (공동저자), 제7회 KIEP 대학원생 세계지역연구 우수논문공모전 수상논문집 “An Empricial Approach to Treaty Interpretation: International Cases referring to the Vienna Convention Rules on Treaty Interpretation and Interpretative Mechanisms in Regional Trade Agreements”, Manchester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육류 상품에 대한 미국의 원산지 라벨링 조치를 둘러싼 국제통상법적 쟁점: TBT 협정 제2.1조 및 제2.2조를 중심으로”, 국제경제법연구 제10권 제2호 “A Step Forward to Carbon Awareness: An Introduction to the New Labelling Program in Korea”, Asian Business Lawyer
펼치기
강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법과대학 졸업(법학사) 전북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中國 淸華大學校 大學院 法學科 졸업(법학박사) (현) 한중법학회 이사 (현) 전북대학교 공공인재학부 조교수 『중국물류법』(공동번역서) “중국 온라인 게임 산업 관련 법제 분석 및 한중 FTA 발효 이후 대중국 진출 방안”, 중국법연구 제28권 “중국 신규화학물질 관리 법제 현황 및 화학물질관리서비스 도입방안”, 서울법학 제22권 제1호 “중국 환경보호 관련 법제 입법 동향 및 우리의 대응방안”, 원광법학 제33권 제4호 외 저서 및 논문 다수
펼치기
배정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법과대학 졸업(법학사) 프랑스 낭시대학교 졸업(법학석사)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학교 졸업(법학박사) (현) 국제경제법학회 부회장 『신 국제경제법』, 『국제법의 쟁점(II)』 “한국과 몽골의 외국인 투자법제 비교연구”, 법학연구 제43권 “한중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에 대한 공유관련 법제 비교연구”, 법학연구 제43권 “나고야의정서 시행 이후 중국 관련 법제 및 향후 정책과 대응”, 법학연구 제22권 외 저서 및 논문 다수
펼치기
김민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 학사 KDI국제정책대학원 정책학 석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 박사 (현) 서울대학교 국제통상전략센터 선임연구원 “The Standard in the GATT/WTO TBT Agreement: Origin, Evolution and Application”, JWT 52:5 “‘기술규정’의 현황과 WTO 법제도에 대한 시사점 연구”, 통상법률 제130호 “한국 FTA의 TBT규범 비교분석에 따른 법쟁점 연구”, 국제지역연구 제24권 제4호 “TBT협정의 해석과 적용에 따른 법적 쟁점 및 발전 과제”, 통상법률 제111호
펼치기
이태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통계학 이학사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미국) 국제관계학 석사 University of Delaware (미국) 도시문제및공공정책학 박사 (현)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조교수 “An Experiment for Urban Energy Autonomy in Seoul: The One ‘Less’ Nuclear Power Plant policy,” Energy Policy 74 “From FIT to RPS under the Low-Carbon Green Growth Initiative: Moving Forward or Backward for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in Korea?”, 현대사회와 행정 제23권 제3호 “재생에너지정책과 FTA 투자규칙 간의 갈등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 ‘Mesa Power v. 캐나다’사건을 중심으로,” 환경정책 제21권 제1호 외 논문 다수
펼치기
박원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 Wisconsin Law School 법학박사 (현)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환경부 CBD/나고야의정서 협상대표 해양수산부 WTO/FTA 협상대표단 외교통상부 통상교섭자문위원 미국 New York주 변호사
펼치기
박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경법대학(법학사) George Washington Pre-Law University of Pennsylvania(석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법(박사) (현) 영산대학교 법학과 부교수 부산광역시 지역수자원 관리위원회 위원 부산광역시 광역소하천 관리위원회 위원 뉴욕주변호사 『국제법강의-판례와 자료-』(공저) 『사고와 표현』(공저) “기후변화와 유럽농업정책”, 영산논총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Treaty in Indonesia and Adoptation of the Indonesian Court,” Yonsei Law Journal “자력발전소관련 환경영향평가 비교연구-일반대중의 참여를 중심으로”, 홍익법학 제18권 제4호 “핵비확산 및 핵안보 분야 국내 법령체계 개선방안”,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난민, 실향민과 국제인도법에 대한 연구”, 외교부 “WTO 농업협정문 해설서”, 농림부 “Indonesia’s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Policy”, 한국법제연구원 외 저서 및 논문 다수
펼치기
오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법과대학 (학사)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Law (LL.M.) American University Washington College of Law (S.J.D) (현) 숭실대학교 글로벌통상학과 부교수, 법학박사 (현) 국제경제법학회 연구이사, 대한국제법학회 학술이사 (현) 환경중앙정책위원회 위원, 지식재산위원회 위원 “나고야의정서 국내 이행을 위한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 운영방안”, 환경법연구 제39권 제1호 “TBT협정 해석과 적용: ‘정당한 목적’의 고려를 중심으로”, 국제경제법연구 제14권 제3호 “한-중 FTA 지식재산권 챕터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법학논총 제36권 제3호 외 다수
펼치기
류예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한양대학교 법학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政治大學) 법학과 교환학생 미국 뉴욕대학교(N.Y.U.) 국제조세 석사(LL.M.) 중국 칭화대학교(清华大学) 법학 박사 주요경력 경상국립대학교 지식재산융합학과 초빙교수 국민경제자문회의 경제안보분과 위원 한국국제통상학회 부회장 전략물자관리원 TRADE&SECURITY 편집국장 (前) 한국법제연구원 부연구위원
펼치기
하대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기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생의료기술,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 등 과학기술이 우리의 노동, 건강과 일상 등을 만들어가는 방식과 그 사회적 문화적 효과를 연구하고 있다. 함께 쓴 책으로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 『4차 산업혁명과 새로운 사회윤리』, 『인공지능과 새로운 규범』 등이 있다.
펼치기
김승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법과대학 수석졸업(법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및 법학박사) 연세대학교 SSK 기후변화와 국제법연구센터 연구교수 (현)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전문연구원 (현) 정부통상협상대표단 법률자문 (방송통신서비스, ICT·전자상거래, 문화통상) (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법률자문 『국제투자법』(공저), 『국제전기통신업무 제도개선 방안 연구』(공저) “인터넷 제한조치 규제문제 관련 신무역규범의 논의동향과 시사점”, 국제법학회논총 제62권 제2호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절차에 관한 법적 고찰”, 국제법학회논총 제62권 제1호 “우주환경의 변화와 국제우주법의 한계”, 법학연구 제25권 제2호 외 논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