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제기후변화법제

국제기후변화법제

박덕영, 이서연, 이일호, 최규연, 최재철 (지은이)
박영사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390원
38,610원 >
39,000원 -0% 0원
0원
3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제기후변화법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제기후변화법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91130332314
· 쪽수 : 550쪽
· 출판일 : 2018-08-24

책 소개

파리협정을 포함하여 유엔기후체제, 그 밖의 기후 거버넌스, 더 나아가 기후변화법제와 국제법의 다른 분과들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광범위하게 다루는 개론서다.

목차

제1장 서 문

Ⅰ. 정책적 난제로서 기후변화 3
Ⅱ.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세 가지 관점 7
A. 환경문제로서의 기후변화 8
B. 경제문제로서의 기후변화 9
C. 윤리적 문제로서의 기후변화 10
Ⅲ. 국제기후변화법제의 구별 15
Ⅳ. 국제기후변화법의 주요 문제 16
A. 완화 17
B. 적응 19
C. 재정 20
D. 감독 23
Ⅴ. 유엔기후변화체제의 반복되는 주제들 24
A. 법적 구속력 25
1. 조약 26
2. 당사국의 결정 27
3. 정치적 합의 28
B. 설계 31
C. 차등화 37
Ⅵ. 더 큰 맥락에서 바라본 국제기후변화법제 42

제2장 기후변화와 국제법

Ⅰ. 도입 50
Ⅱ. 국제법의 연원 52
Ⅲ. 국제환경법상의 주요 원칙 56
A. 환경손해를 야기하지 않을 책임의 원칙 및 관련 원칙 56
1. 피해방지 및 상당한 주의 58
2. 절차상의 의무 60
3. 예방과 사전주의 61
B. 환경손해를 야기하지 않을 책임의 원칙의 위반에 대한 국가책임의 형성 63
1. 일반적 고려 63
2. 기후피해로 인한 소송의 사례 65
C. 지구상의 공유영역에 가해지는 위험에 대한 국가책임의 주장 69
D. 공통관심사 및 공통의 그러나 차등화된 책임과 국가별 역량 72
E. 사전주의, 지속가능한 발전 및 국제환경법의 세대 간 범위 75
Ⅳ. 환경보호에 대한 조약기반의 접근법 78
A. 시간에 따라 진행되는 조약의 발전 79
1. 기본협약-의정서 모델 80
2. 기구화 81
3. 계속적인 기준정립의 절차 83
B. 참여를 촉진하는 조약의 고안 86
C. 이행과 의무준수의 촉진 90
1. 이행과 의무준수에 대한 관심의 집중 91
2. 현대 MEA와 의무준수 92
Ⅴ. 결어 96

제3장 조약에 기반한 법제정: 규칙, 도구, 기법

Ⅰ. 도입 102
Ⅱ. 조약과 조약기반의 법제정 102
A. 조약이란 무엇인가? 102
B. 조약의 협상 103
1. 사전협상 단계: 쟁점, 협상장소, 위임사항 104
2. 협상과정 106
C. 조약의 채택, 서명, 비준 그리고 발효 117
D. 조약의 발전 121
1. 기본조약을 보충하기 위한 새로운 조약 122
2. 개정 125
3. 당사국의 결정 127
4. 정치적 합의 130
5. 모호함, 해석 및 후속관행 131
Ⅲ. 결어 134

제4장 유엔기후체제의 변천

Ⅰ. 도입 138
Ⅱ. 의제설정 단계(1985-1990) 139
Ⅲ. 구성 단계: FCCC의 협상과 발효(1990-1995) 146
Ⅳ. 규제 단계: 교토의정서의 협상과 구체화(1995-2005) 150
Ⅴ. 두 번째 구성 단계: 미래의 기후체제에 대한 협상(2005-2016) 155
A. 발리행동계획 157
B. 코펜하겐 합의문 158
C. 칸쿤합의 160
D. 더반플랫폼과 도하개정 162
Ⅵ. 결어 165

제5장 기후변화 기본협약

Ⅰ. 도입 170
Ⅱ. 포괄적인 쟁점 171
A. 법적 구속력 171
B. 설계 173
C. 범주 174
D. 차등화 174
Ⅲ. 전문, 목적(제2조) 및 원칙(제3조) 178
A. 전문 178
B. 목적(제2조) 180
C. 원칙(제3조) 182
1. 배경 182
2. 공통의 그러나 차등화된 책임과 국가별 역량의 원칙 184
3. 사전주의원칙과 비용 효율성의 원칙 185
4. 지속가능한 발전 185
5. 지지적이고 개방적인 경제체제 186
Ⅳ. 의무(제4조에서 제6조 및 제12조) 187
A. 일반적 의무(제4조 제1항, 제5조, 제6조 및 제12조 제1항) 187
B. 완화(제4조 제1항 (b)호에서 (d)호 및 제4조 제2항) 189
1. 목표와 일정표 190
2. 포괄적 접근방법 192
3. 공동이행 193
C. 적응(제4조 제1항 (b)호, (e)호, 제4조 제8항 및 제9항) 194
D. 재정적 지원(제4조 제3항 및 제4항) 198
E. 기술이전(제4조 제5항) 201
F. 투명성(제4조 제1항 (a)호 및 제12조) 202
Ⅴ. 기관(제7조에서 제11조) 203
A. 당사국총회(제7조) 204
B. 사무국(제8조) 205
C. 과학 및 기술 자문 보조기구(제9조) 206
D. 이행을 위한 보조기구(제10조) 207
E. 재정 메커니즘(제11조 및 제21조 제3항) 208
Ⅵ. 이행과 의무준수 메커니즘(제7조 제2항 및 제12조에서 제14조) 212
A. 개관 212
B. 보고(제12조) 213
C. 국제적 검토(제7조 제2항) 216
D. 이행 관련 문제해결을 위한 다자간 협의절차(제13조) 219
E. 분쟁해결(제14조) 221
Ⅶ. 최종조항(제15조에서 제25조) 222
A. 협약의 개정, 부속서 및 의정서(제15조에서 제17조) 222
B. 투표권, 서명 및 비준(제18조, 제20조 및 제22조) 223
C. 발효(제23조) 224
D. 유보 및 탈퇴(제24조 및 제25조) 225
Ⅷ. 결어 225

제6장 교토의정서

Ⅰ. 도입 230
Ⅱ. 포괄적인 쟁점 232
A. 법적 구속력 232
B. 설계 234
C. 범위 235
D. 차등화 238
1. 부속서I 국가와 비부속서I 국가 간의 차등화 240
2. 부속서I 국가 내에서의 차등화 241
3. 개발도상국을 위한 자발적 의무 241
Ⅲ. 전문과 정의(제1조) 243
Ⅳ. 의무(제2조, 제3조, 제5조, 제7조, 제8조, 제10조 및 제11조) 244
A. 일반적 의무 244
B. 부속서I과 부속서II 국가들을 위한 구체적 의무 245
1. 정책 및 조치(제2조) 245
2. 감축목표 및 의무기간(제3조) 246
a) 법적 성격 247
b) 차등화된 목표 247
c) 집단적 목표 250
d) 기준연도 251
e) 할당배출권 251
f) 흡수원 252
g) 다년도의 의무기간 254
h) 이월 255
I) 공동실시 256
3. 재정적 지원(제11조) 256
Ⅴ. 메커니즘(제6조, 제12조 및 제17조) 257
A. 공동이행(제6조) 259
B. 청정개발체제(제12조) 262
1. 부가성 264
2. 지속가능한 발전 265
3. 프로젝트의 자격요건 267
4. 프로젝트의 종류 270
a) 일방적 CDM 270
b) 프로그램 CDM 270
c) 기타 프로젝트 271
5. CDM 프로젝트의 지리학적 배분의 형평성 271
6. 수익금의 배분 272
C. 배출권거래(제17조) 273
D. 전망 276

Ⅵ. 보고·검토·의무준수(제5조, 제7조, 제8조 및 제18조) 277
A. 보고 및 검증(제5조, 제7조 및 제8조) 277
B. 의무준수 절차와 메커니즘 280
1. 맥락과 목적 280
2. 촉발장치 281
3. 의무준수위원회와 그 절차 282
a) 촉진분과 282
b) 집행분과 283
4. 전망 286
Ⅶ. 기관(제13조, 제14조 및 제15조) 287
Ⅷ. 다자간 협의절차(제16조) 287
Ⅸ. 최종조항(제19조에서 제28조) 288
Ⅹ. 교토의정서의 제2차 의무기간과 그 이후의 의무기간 289
ⅩⅠ. 결어 295

제7장 파리협정

Ⅰ. 도입 300
Ⅱ. 포괄적인 쟁점 302
A. 법적 구속력 302
1. 2015년 협정의 법적 형식 302
2. 2015년 파리협정 내 조항들의 법적 성격 305
B. 설계 307
C. 범위 309
D. 차등화 314
1. 파리협정의 CBDRRC 원칙 317
2. 파리협정에서의 CBDRRC 원칙의 실현 319
a) 완화의 차등화 319
b) 투명성의 차등화 322
c) 재정의 차등화 323
Ⅲ. 전문 325
Ⅳ. 목적(제2조 및 제4조 제1항) 328
Ⅴ. 완화(제4조) 331
A. 국가별 기여방안 관련 의무 331
B. NDC의 등록 335
C. NDC의 진전 336
D. 목표 사이클 338
Ⅵ. 시장기반 접근(제6조) 339
Ⅶ. 적응 341
Ⅷ. 손실과 피해(제8조) 343
Ⅸ. 지원(제9조, 제10조 및 제11조) 345
A. 재정 345
1. 재원 공약 346
2. 공여자 풀 346
3. 재원조성의 목표 347
B. 기술 347
C. 역량강화 348
Ⅹ. 감독 시스템(제13조, 제14조 및 제15조) 348
A. 투명성(제13조) 348
B. 전지구적 이행점검(제14조) 351
C. 이행과 의무준수 메커니즘(제15조) 354
ⅩⅠ. 각종 기관(제16조에서 제19조) 355
ⅩⅡ. 최종조항(제20조에서 제28조) 356
ⅩⅢ. 추후 행보 357
ⅩⅣ. 결어 359

제8장 유엔기후체제 이외의 기후 거버넌스

Ⅰ. 도입 372
Ⅱ. 다층적 기후 거버넌스 375
Ⅲ. 공공 그리고 민간 기후 거버넌스 381
Ⅳ. 여타의 다자기구들에 의한 기후 거버넌스 383
A. 항공기와 선박에 의한 배출(Bunker Emissions) 386
1. 국제해사기구(IMO) 386
2.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389
B. 오존파괴물질 393
C. 블랙카본 및 그 이외의 단명성 기후변화 강화물 397
D.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399
E. 비공식 정치포럼 400
1. 에너지 및 기후에 관한 주요경제국포럼(MEF) 401
2. G-8/G-20 402
3. 양자 간 이니셔티브 403
Ⅴ. 국가하부적 기후 거버넌스 404
Ⅵ. 사법 거버넌스 407
A. 소송 기능 410
B. 법의 연원 413
C. 재판소 414
D. 평가 416
Ⅶ. 탄소시장의 거버넌스 417
Ⅷ. 다중심적 거버넌스와 유엔기후변화체제 419
Ⅸ. 결어 422

제9장 국제기후변화법과 기타 국제법

Ⅰ. 도입 426
Ⅱ. 기후변화와 인권 427
A. 소개 427
B. 기후변화에 대한 인권적 접근방식의 특징 429
C. 기후변화에 대한 인권적 접근방식의 장점과 단점 431
D. 어떠한 인권이 기후변화로 인해 영향을 받는가? 433
1.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존하는 권리의범위 확장하기 434
2. 건강하고 깨끗한 환경에 대한 권리 436
E. 의무의 속성 438
1. 의무의 종류 438
2. 의무부담자 441
3. 의무의 수혜자 442
F. 대응조치가 인권에 미치는 영향 443
G. 유엔기후체제의 인권 445
Ⅲ. 기후변화, 이주 그리고 실향민 449
A. 서문 449
B. 현존하는 국제적 보호체계 452
1. 국내 실향민 452
2. 국경을 넘는 실향민 456
a) 국제난민법 456
b) 국제인권법 458
c) 무국적자 관련 법 461
C. 보호장치의 공백 보완하기 462
D. 유엔기후체제 내의 기후변화 실향 및 이주 465
Ⅳ. 기후변화와 무역 469
A. 세계무역기구 470
B. GATT상의 원칙 473
1. 무역규범 474
2. 예외 475
3. 분쟁해결절차 477
4. 무역규정과 기후보호조치의 관계 478
a) 일방적 조치 또는 다자적 조치인지 여부 478
b) 직·간접적 무역제한 481
c) ‘동종성’ 기준의 역할 483
d) ‘동종성’ 평가의 요건 484
e) 공정 및 생산방식과 ‘동종성’ 485
5. 무역관련 기후조치 487
a) 국경세조정 488
b) 보조금 490
C. 유엔기후체제에서의 무역 495

제10장 결 론

Ⅰ. 국제기후변화법제의 진화: 요약 502
Ⅱ. 국제기후변화법제의 특색 507
Ⅲ. 국제기후변화법제의 효과성 511
Ⅳ. 미래에 대한 전망 515

역자 일러두기

저자소개

박덕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법학사, 법학석사, 법학박사 대한민국 교육부 국비유학시험 합격 영국 캠브리지대학교(LL.M), 에딘버러대학교 박사과정 마침 (현)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기후변화와 국제법 연구센터 소장 대한국제법학회 회장, 한국국제경제법학회 회장, 한국환경법학회 부회장 역임 (현)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국회 입법자문위원 주요저서 및 논문 국제환경법(제2판)(공동), 파리협정의 이해(공동), 기후변화와 국제법(공역) 국제법 기본조약집(제4판), 국제경제법 기본조약집(제2판) Essential Documents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Legal Issues on Climate Change and International Trade Law(Springer) 국제경제법(신판), 국제환경법, 국제투자법, 미국법과 법률영어 등 저서와 논문 다수
펼치기
이서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법학석사, 법학박사 서울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시간강사 (현)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전임연구원 한국연구재단 Global Ph.D. Fellowship 수혜자 홍진기법률연구재단 박사학위논문작성지원 수혜자
펼치기
이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법학석사 독일 뮌헨대학교 법과대학 법학박사(Dr. iur.) (현) 연세대학교 SSK 기후변화와 국제법 연구센터 연구교수 독일 막스플랑크 지식재산권법과 경쟁법 연구소 연구원(Research associate)
펼치기
최규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사회학석사(M.A.)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베를린 사회과학대학원 사회학박사(Dr. phil.) (현) 연세대학교 SSK 기후변화와 국제법 연구센터 연구교수 독일 연구협회의 정부지원 Excellence Initiative 박사과정 장학생 카롤린 폰 훔볼트 박사과정 장학생 독일 정치사회학회 회원
펼치기
최재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최재철은 서울대 불문과를 졸업하고 1981년 외무고시를 통해 외교부에 입부하여 환경과학과장과 심의관, 국제경제국장, 주모로코대사, 주OECD 차석대사, 기후변화대사, 주덴마크 대사 등을 역임하고 2019년 7월 1일 퇴직하였다. 외교 일선에서 근무하는 동안 기후변화협약과 파리협정, 생물다양성협약과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런던협약, 몬트리올 의정서 등 여러 국제환경협약의 체결과 이행 협상 회의에 셀 수 없이 참가한 환경외교 전문가이다. 일본, 중국, 러시아 등 동북아 국가들과의 양자 및 다자차원의 환경협력을 위한 기반 조성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동북아 환경공동체를 꿈꾸고 있다. 또한 2013년부터 2019년 11월까지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국제박람회기구(BIE) 집행위원장(3선)을 지냈으며 2019년 11월에 BIE 총회의장에 선출되어 활동 중이다. 2020년 현재 기후변화센터(재단법인) 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고 국립외교원, 서울대, 인하대 및 연세대 등에서 기후변화와 국제환경문제에 관한 강의를 하면서 환경외교 후진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펼치기
최재철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