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00853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4-09-12
책 소개
목차
옮긴이 서문
감사의 글
서론
1부 사이버공간의 자유화 vs 통제
01 자유화 기술
02 자유화 vs 통제: 사이버공간의 미래
03 사이버공간 통제의 국제 메커니즘
04 인터넷 통제, 어디까지 왔는가?
2부 중국의 자유화 기술
05 중국 인터넷 이용자들의 자유를 위한 투쟁
06 중국의 네트워크화된 권위주의
3부 중동의 자유화 기술
07 자유화 기술로서 우샤히디
08 이집트와 튀니지: 디지털 미디어의 역할
09 아랍 국가에서 인터넷 검열 우회하기
10 소셜 미디어, 저항 그리고 이란의 그린 무브먼트
4부 정책 권고안
11 국가 정책을 위한 도전 과제들
미주
찾아보기
책속에서
2001년 대통령을 실각시킨 필리핀 시민혁명의 1등 공신은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였다. 필리핀 시민들이 문자메시지를 전송, 거리로 집결해 시위를 벌였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의 오렌지혁명과 레바논의 백향목혁명도 생각해 보자! 시민들은 인터넷 채팅과 문자메시지를 통해 권위주의 정부에 대한 대규모 대중 시위를 벌였다. 바레인 왕실의 거대한 궁들의 모습이 담긴 위성사진도 인터넷으로 유포되어 그 공화국의 빈익빈 부익부, 즉 부의 독점 현상을 세상에 알려 주는 매체 역할을 했다. 수십만 건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중국 샤면시 화학 공장이 가지는 환경적 유해성이 알려지기도 했다. 나이지리아에서의 2007년 선거 부정에 관한 자료들도 있다. 그리고 저자가 ICT를 “자유화 기술(Liberation Technology)”이라 명명한 가장 큰 동기는 바로 이러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한다. 시민들에게 ICT는 권위주의적 정부에 맞서 대항하고 견제하며, 책임을 질 줄 알게 하는 정부를 만드는 수단이자, 더 나아가 독재정치에서부터 사회를 자유화시킬 수 있는 무기라는 것을 보여 주고 있기 때문이다.
_ <서론> 중에서
정보화된 권위주의(Networked Authoritarianism)는 권위주의 정부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이 가져온 변화를 수용하고 따를 때 형성된다. 이는 전체주의 체제의 틀은 유지하되, 그 안에서 웹사이트와 SNS를 기반으로 국가 이슈들에 대한 국민 담론이 가능한 체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사회에서는 정부도 온라인 포스팅 내용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국민들도 사회문제나 부조리에 대한 온라인에서의 지지 호소 및 정부 정책에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인터넷이나 모바일 접근이 가능한 이용자들은 전통적 권위주의에서는 상상할 수도 없었던 자유로움 속에서 의견을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화는 권위주의라는 테두리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 체제에서는 개인권과 자유는 보장되지 않으며, 중국공산당이 위험인물로 지명한 대상은 감옥에 수감되고, 진정한 자유 경쟁과 공정 선거는 허용되지 않는다. 당연히 사법권도 공산당에 귀속된다.
_ <06 중국의 네트워크화된 권위주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