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터넷 자유 투쟁

인터넷 자유 투쟁 (큰글씨책)

레베카 매키넌 (지은이), 김양욱, 최형우 (옮긴이)
커뮤니케이션북스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10% 0원
1,9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터넷 자유 투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터넷 자유 투쟁 (큰글씨책)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07289
· 쪽수 : 422쪽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디지털 시대, 자유와 민주주의를 보장하는 것은 무엇인가? 디지털 코먼스다. 어떻게 실현하나? 네트워크에선 모든 사람이 평등하고 모든 자원을 자유롭게 공유해야 한다. 디지털 코먼스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네티즌 중심의 인터넷 사회를 건설할 때 가능하다.

저자소개

레베카 매키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 아메리카 재단(New America Foundation)의 선임 연구원으로 인터넷 정책, 인권,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3년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인터뉴스(Internews)와 제휴해 ‘랭킹 디지털 라이츠’라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서 매키넌은 표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 영역에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정보통신(IT) 기업들을 평가, 비교해 궁극적으로 순위를 매기는 진지한 연구방법을 연구 파트너들과 함께 개발하고 있다. 2010~2012년에 뉴 아메리카 재단에서 버나드 L. 슈워츠 장학금을 받아 첫 번째 책인『인터넷 자유 투쟁(Consent of the Networked: The Worldwide Struggle for Internet Freedom, Basic Books, 2012)』의 집필을 마무리했다. 이 책은 2013년 골드스미스 북 어워즈(Goldsmith Book Prize)를 수상했다. 중국어에 능통해 CNN 베이징 지사에서 9년 동안 기자로 근무했고, 1998~2001년에는 베이징 지사장을 맡기도 했다. 2001~2003년에는 CNN 도쿄 지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2004~2006년 하버드대학교의 버크만 인터넷과 사회 센터(Berkman Center of Internet and Society)에서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동료 에단 주커만과 함께 국제적인 시민 미디어 네트워크 조직인 ‘글로벌 보이스 온라인(Global Voices Online)’을 설립하고, 중국의 인터넷에 관한 연구와 저술을 지속했다. 2012년에는 컬럼비아대학교 언론대학원의 허스트 언론인으로 임명되었다. 컬럼비아 저널리즘 리뷰로부터 ‘지난 40년 동안 미디어 산업을 변화시킨 여성 40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펼치기
김양욱 (옮긴이)    정보 더보기
런던대학 소아스와 런던시티대학교에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 글로벌 미디어를 전공했다. 국립영상제작소, 데이콤, GS홈쇼핑을 거쳐 티알엔에서 미디어콘텐츠사업부장을 역임했다. 『인터넷 자유 투쟁』(공역), 『분노와 희망의 네트워크』, 『옥스퍼드 초엘리트』(공역)를 번역했다.
펼치기
최형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런던정치경제대학과 유니버시티칼리지 런던에서 국제관계사와 이민학을 전공했다. 옮긴 책으로 『인터넷 자유 투쟁』(공역)이 있다. 현재는 런던 소재 팬아시아 자산운용에서 투자 업무를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개인 정보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이 둔감해질수록 감시 권력의 영향력이 커진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안전과 안락을 이유로 감시 권력에 순종해 자유와 권리를 양보한다면 사이버 공간에서 현재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일정한 자유도 위협받을 것이다. 불과 한 세대 전 우리 국민들이 권위주의 정권으로부터 자유를 얻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련을 겪었는지 돌이켜본다면 인터넷 시대에 사는 우리들이 사이버 공간을 자유와 창의가 넘쳐나는 공간으로 지켜 가는 것은 의무이자 책임이라 할 수 있다.
_ <역자 서문> 중에서


이집트혁명의 영웅이자 구글 이집트의 젊은 이사인 와엘 고님은 페이스북 저항 단체를 만들어 운영하며 카이로 타흐리르광장 시위의 물꼬를 트는 핵심 역할을 했다. 그는 시엔엔과 가진 인터뷰에서 “우리가 한 사회를 해방시키기 원한다면 단지 그들에게 인터넷을 주면 된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무바라크 정권 이후 인터넷이 이집트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고 새로운 민주국가를 건설하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인터넷이 독재자를 권좌에서 끌어내리는 데 힘 있는 역할을 했고, 책임감 있는 활동가들의 손에 맡겨져 10년 동안 더 나은 시민운동을 펼쳤던 것은 확실했다.
_ <서론 혁명 이후>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