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려 후기 한문학과 지식인

고려 후기 한문학과 지식인

김승룡 (지은이)
지식을만드는지식
47,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7,800원 -0% 0원
1,430원
46,370원 >
47,800원 -0% 0원
0원
47,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0,400원 -10% 1520원 25,840원 >

책 이미지

고려 후기 한문학과 지식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려 후기 한문학과 지식인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30411460
· 쪽수 : 696쪽
· 출판일 : 2013-12-31

책 소개

고려 시대를 빛낸 한문학 작가를 꼽으라면 누가 떠오르는가? 이규보, 이제현, 이색이 전부인가? 고려 후기를 ‘신흥사대부’라는 이름으로 모두 설명할 수 있을까? 이 책은 고려 후기 한문학을 다양한 각도에서 탐구한다.

목차

머리말 | 다시 집어 든 화두, ‘고려’ ·········xv


제1부 고려 시대를 읽는 시각의 모색

1 가문: 고려 전기 인주 이씨 가문의 문한고 ······6
‘혈연’과 문학적 특질 ···············6
이자연계의 문한적 국면 ·············9
이자연(李子淵, 1003∼1061) ·········9
이정(李?, 1025∼1077) ··········17
이의(李?, ?∼?) ··············21
이자량(李資諒, ?∼1123) ··········24
이자현(李資玄, 1061∼1125) ········28
이자상계의 문한적 국면 ·············35
이예(李預, ?∼?) ··············35
이오(李?, ?∼1110) ············38
이지저(李之?, 1092∼1145) ········44
가문의 형성과 현세주의적 창작 경향 ·······49

2 국가: <동명왕편>의 서사시적 특질과 국가의식 ··51
하나의 의문, 시(詩)와 자주(自註)의 형식적 결합 ··51
서사시적 특질과 주(註)의 기능 ·········55
역사적 제재를 통한 집권 통치층에 대한 비판의식 표출 ··················70
사실(史實)의 진실성 강화와 숭고화 ·······85

3 민족: 고려 중기 민족 현실과 지식인 이규보의 모색 ·87
고려 중기 현실과 지식인 이규보 ·········87
<동명왕편>: 중국과 비견되는 고려의 문화전통 ·90
농민시: 현실 비판과 체제 안정의 사이에서 ····95
이규보를 다시 읽기 위한 화두, 자유에 대한 욕망 ·101

4 인문: 최자의 인문정신과 비평의식 ········108
≪보한집≫에 대한 정신사적 해명 ········108
인문화성(人文化成): 인정·인륜에 대한 긍정적 시선 ·················111
정즉의야(情卽意也): 정감의식에 대한 자각적 이해 ·127
‘동인시학(東人詩學)’의 계통적 연구 필요 ····137

5 고전: ≪보한집≫의 고전화 전략과 그 문화사적 의미 ·················143
‘보(補)’와 ‘한(閑)’의 의미 ············143
시학비평의 기준 ‘두보’ ·············147
고려시학의 이상형 ‘이규보’ ···········162
시학을 경유한 이질자 포용과 그 문화사적 의미 ··181

6 경계: ≪삼국유사≫, 그 경계의 사유들 ······190
다양하고 중층적인 텍스트, ≪삼국유사≫ ····190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단절과 포용 ·······191
세파의 질긴 인연 ·············192
함께와 넘어 ···············193
일상적 삶의 상징 ·············195
도화녀와 비형랑: 삶과 죽음 ··········197
아름다움을 탐하는 고대인 ········197
정절과 선택 ···············198
복사꽃, 복숭아나무, 도화녀 ·········199
복숭아[桃] 신앙 ··············200
자유를 갈망하는 욕망의 형상 ········202
박염촉의 죽음: 순교와 국가 ··········203
국가주의의 폭력 ············203
순교의 정치학 ·············204
죽음, 그 우울한 징조들 ···········205
흰 피의 전략 ··············206
김현과 호녀: 사랑과 욕망 ···········208
사랑과 진실 ···············208
고귀한 희생정신의 소유자 ‘호녀’ ·····209
자살, 사랑의 대가인가 ···········211
선택, 그리고 자유 ·············214
그리고 현재는? ··············217
끝없는 접면의 생성과 창조를 위해 ·······218

7 여성: 고려 후기 지식인의 아내 이야기 ······220
가족(아내)을 마주한 변명 ···········220
논의의 전제: 딸/아들, 젠더화 ··········225
무신집권기: 말 없는 가난한 아내 ········232
원간섭기: 헌신하는 어머니, 그리고 재배치 ····248
아내에 새겨진 세족의 욕망 ···········266

8 가난: 고려 후기 가난에 대한 몇 가지 시선 ·····269
가난의 세 가지 의미 ··············269
돈에 대한 두 가지 생각, 의천과 임춘 ·······272
한시 속 가난에 대한 시선들 ··········279
경제적 결핍 ···············280
상대적 불평등 ··············284
삶을 관조하는 프리즘 ···········293
지식인의 안락 ··············297
이념적 형상 전통이 된 ‘가난’ ··········304

9 미학: 권근의 <악기> 재구성과 악리 해석 ····310
≪예기천견록≫ 편찬 ·············310
<악기> 절차고정(節次考定)과 존경융통(尊經融通) ················320
심성(心性)과 천인일리(天人一理) ·······336
사상과 문학의 고리, 미학사유 ·········350


제2부 연구사적 성찰과 방법적 원간섭기

1 고려 후기 작가 연구의 현황과 과제 ·······359
고려 한문학의 가능성 ·············359
작가 연구의 연대기적 성찰 ···········364
문제 도출과 해결 방안 모색 ··········389
다시 새롭게 시작하면서 ············400

2 원간섭기 고려 한시사 이해를 위한 전제 ·····404
방법적 ‘원간섭기’ ···············404
실리적 대원 태도와 문명의식 ··········411
새로운 지식인상 모색 ·············423
곤궁을 지키는 내성적 지식인 ········424
정치적 전범이 되는 군자형 지식인 ······426
중행(中行)하는 청렴한 지식인 ·······428
세상을 고민하는 영웅적 지식인 ·······429
한시 주제의 몇 가지 국면 ···········432
제 몫과 오도를 추구하는 삶 ·········434
동지적 연대를 통한 예제(禮制)의 실현 ····437
애상과 달관의 정조로 채색된 시물(時物) ···444
새로운 담론의 필요성 ·············450

3 이장용의 오도의식과 애상적 시 세계 ·······453
13세기 후반 정치공간과 이장용 ·········453
대원자세의 현실적 성격 ············455
오도의식과 문교기획 ·············461
애상의 정감: 선경과 현실의 갈등 ········475
현실과 명분의 경계에 선 지식인 ········486

4 이승휴의 ≪빈왕록≫과 자성적 현실 인식 ·····488
원과의 강화에 대한 재평가 ···········488
≪빈왕록≫의 동국의식과 대원관 ········490
≪제왕운기≫의 교열과 비평 ··········501
자성적 우민의식 ···············514
실(實)의 취향과 현실적 태도 ··········525

5 천책의 백련결사와 연사시의 정감 ········531
천책과 백련결사(白蓮結社) ··········531
왕정복귀와 현실적 대원자세 ··········535
연사시(蓮社詩)의 창작과 정감 ·········552
현실 초극의 염원 ···············571

6 고려 후기 청주 곽씨 가문의 시 세계 ·······575
시각으로서의 ‘세족’ ··············575
곽예의 시 세계 ················580
완곡한 현실비판의 시선 ··········581
생명의 경계 추구 ·············588
곽운의 시 세계: 귀거래(歸去來)의 심회와 청(淸)의 희구 ················595
세족적 신흥사대부의 가능성 ··········605

부록 | 원간섭기 고려 한시·산문 일람표 ······609
참고문헌 ····················639
찾아보기 ····················663

지은이에 대해 ··················692

저자소개

김승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신으로 고려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한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있다. 지식인·동아시아학·지역학 등을 시야에 두고 고전을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 『옛글에서 다시 찾은 사람의 향기』·『고려 후기 한문학과 지식인』·『남명학파의 지역적 전개』(공저)·『이재난고를 통해 본 호남의 역사와 문화』(공저)·『진주 마진마을과 재령이씨가 고문서』(공저)·『고전치유학을 위하여』·『소호당 김택영과 송도인의 발견』·『지역고전학의 시각』 등이 있고, 역서로 『송도인물지』·『악기집석』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고려 후기 한문학사는 이 계보 안에 포함될 수 있는 이들, 즉 신흥사대부로 불릴 수 있는 이들을 중심으로 엮이고 재구성되었다. 이는 고려 후기 작가 연구의 대강을 훑어봐도 금세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이다. 거칠게 말하면 ‘이규보?이제현?이색’으로 이어지는 계보가 고려 후기 한문학사를 대체하고 있다. 그런데 한 가지 의문이 스멀거린다. 과연 그럴까? 이들 외에 다른 이들은 없었던 것일까?
-머리말, xx쪽


당시 고려 지식인은 더 이상 지방 중소지주 출신이 아니었다. 이미 중앙귀족화한 세족을 꿈꾸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여말선초 지식인을 거론할 때 이로부터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 더 이상 세족과 견주면서 사대부로서 가졌을 상상의 건전성에 집착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한문학의 본령이라는 시기를 포함한 조선 시대와 거의 비슷한 시간 폭을 갖는 고려 시대는 ‘현존’ 자료가 소슬한 탓에, 연구자들은 항용 자료의 한계를 탓하고 마는 것이다. … 그런데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굳이 양으로 못 미친다 해도 질로는) 조선에 비할 만한 자료가 존재한다고 믿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혹시 지금 어디선가 고려의 문학 자료가 자신을 꺼내 다듬어 주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78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