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덕적 인식의 기원

도덕적 인식의 기원

프란츠 브렌타노 (지은이), 이을상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660원
20,2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400원 -10% 720원 12,240원 >

책 이미지

도덕적 인식의 기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덕적 인식의 기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 ISBN : 9791130429267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6-10-26

책 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법과 도덕에 대한 자연적 제재'라는 제목으로 행한 강연을 정리해 발간한 책이다. 철학의 무선입견성을 강조하고 경험에 입각해 인간 의식의 요소들과 이 요소들을 결합하는 방식을 규정했으며, 현대 가치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목차

편집자 서문 xi

1판 머리말 3
1. 법률에 대한 역사와 철학의 가치: 오스트리아에서 법학 개혁에 관한 새로운 제안 9
2. 우리의 주제: 빈 법률협회에서 행한 예링의 강연과의 관계 10
3. ‘자연법’이라는 표현의 이중적 의미 11
4. 예링과 일치하는 점: ‘자연법’과 ‘민족법’의 거부, 윤리 이전의 시대를 정치적으로 상정함 12
5. 예링과 대립하는 점: 자연적으로 인식되는 보편타당한 도덕법칙이 존재한다. 물음의 상대적 독립성 15
6. ‘자연적 제재’의 개념 16
7. 자연적 제재 개념을 철학자들이 오해한 부분 19
8. 습관적으로 발달해 온 감정적 충동 자체는 제재가 아니다 19
9. 희망과 공포라는 동기 자체도 아직 제재가 아니다 20
10. 더 높은 힘에 의해 의지가 명령된다는 생각도 자연적 제재가 아니다 21
11. 윤리적 제재는 논리적 법칙과 비슷한 명령이다 23
12. 미학적 관점. 그것은 논리학에서도, 윤리학에서도 옳은 것일 수 없다 24
13. 칸트의 정언명법은 활용할 수 없는 허구다 27
14. 심리학적 채비가 필요한 이유 30
15. 궁극 목적 없는 의욕은 없다 30
16. 어떤 목적이 올바른가는 윤리학의 주요 물음이다 31
17. 올바른 목적은 도달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최선의 것이다. 이 규정의 불분명함에 관하여 32
18. ‘선하다’는 개념의 기원에 관하여. 그것은 이른바 외적 지각의 영역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34
19. 모든 심리적인 것의 공통된 특징 36
20. 심리현상의 세 부류: 표상, 판단, 심정의 활동 37
21. 믿음과 부정, 사랑과 미움의 대립 45
22. 대립하는 심적 태도에서는 언제나 하나가 옳다면 다른 하나는 옳지 않다 45
23. 선의 개념 46
24. 좁은 의미의 선과 다른 것을 위해 선한 것의 구별 50
25. 사랑한다는 것이 언제나 사랑할 만한 가치가 있음을 증명하지 않는다 53
26. 맹목적 판단과 통찰적 판단 54
27. 마음에 들거나 들지 않는 영역에서 판단과의 유추적 구별: 선한 것의 기준 56
28. 선의 다의성: 이와 결합된 물음들 82
29. ‘더 선한 것’이란 더 강렬하게 사랑받을 가치가 있다고 이해될 수 있는가, 없는가? 82
30. 더 선하다는 개념의 올바른 규정 84
31. 어떤 것이 그 자체로 선호된다는 것을 우리는 언제 어떻게 아는가? 선악이 대립할 때인가, 어느 한쪽이 결여된 경우인가, 동일한 것에 덧붙여지는 경우인가? 85
32. 이 문제를 풀 수 없다면 90
33. 쾌락주의자들은 이 점에서 유리한 지점에 있는가? 94
34. 어느 한쪽의 결여가 우리가 우려하는 것보다 훨씬 덜 나쁜 이유는? 97
35. 실천적 최고선의 영역 97
36. 모든 고귀한 소질들의 조화로운 발전 103
37. 법적 한계에 대한 자연적 제재 104
38. 실증적 도덕법칙에 대한 자연적 제재 111
39. 자연적 제재가 갖는 힘 111
40. 윤리적 규칙의 올바른 상대성과 잘못된 상대성 112
41. 기존하는 특수 규정들은 어떻게 도출되었는가 115
42. 왜 다른 철학자들도 길을 우회해서 우리와 같은 목표에 도달하는가? 119
43. 일반적으로 만연해 있는 윤리적 진리는 어디서 유래한 것인가? 자신의 의식 과정에 대한 불명료성 120
44. 개별적으로 언급된 요인들이 미친 영향들의 흔적 123
45. 영향력을 행사하는 저급한 흐름들 128
46. 윤리적 발전과 유사 윤리적 발전의 구별에 즈음하여 우리는 오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131
47. 윤리 이전 시대에 이미 발전해 온 유사 윤리적 가치: 사회적 질서의 확립, 소질의 형성, 입법자로서 윤리학을 위한 규칙의 입안, 천편일률적인 공식주의의 예방 134
48. 이 측면에서 계속 행사되는 영광스러운 영향들 137
49. 다시금 법적정치적 연구의 개혁에 관하여 138

부록
I. 윤리 원칙의 선천적 특징에 관하여 143
II. 심정의 결단과 최고 도덕법칙의 형성에 관하여 149
III. 파생적 도덕법칙의 상대성 이론에 대하여 156
IV. 처벌 동기와 처벌 기준 161
V. 에피쿠로스와 전쟁 170
VI. 윤리에 대한 젊은 벤저민 프랭클린의 공격 175
VII. 모든 부수적 존재의 제1원인이 갖는 도덕적 완전성에 관하여 185
VIII. 행복과 불행 194
IX. 사랑과 미움에 관하여 201

찾아보기 245

해설 257
지은이에 대해 284
옮긴이에 대해 286

저자소개

프란츠 브렌타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술심리학 또는 지향성이론을 세운 것으로 평가받는다. 1864년에 로마 가톨릭 사제로 임명되었고, 1866년에는 철학 사강사(무임금 강사)가 되었으며, 1872년에는 뷔르츠부르크대학의 교수로 취임했다. 교황의 무오류성의 교리(1870)로 인해 종교적 의심이 깊어진 그는 1873년에 교직과 사제직을 사직하고 저술 활동에 몰두하여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경험적 관점에서 본 심리학(Psychologie vom empirischen Standpunkte)≫(1874)을 출간했다. 이 책에서 그는 영혼과학이라 할 수 있는 체계적 심리학을 제시해 ‘내재적 객관성’에 대한 스콜라 철학이론을 현대화했다. 1874년에 브렌타노는 빈대학교의 교수로 임명되었고, 1895년까지 머무는 동안 학생들 사이에서 폭넓은 인기를 누렸는데, 그중에서 지크문트 프로이트, 심리학자 카를 슈툼프, 철학자 에드문트 후설, 현대 체코슬로바키아를 세운 토마시 마사리크 등이 그의 제자들이다.
펼치기
이을상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정훈장교로 3년 근무했다(육군 중위 예편). 1993년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동아대, 부경대, 동의대, 동서대 등에서 강의했고, 현재는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전임 연구원으로 있다. 특히 막스 셸러의 저서 번역 작업에 노력해 왔고, 생명윤리학 분야와 진화 윤리학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가치와 인격》(박사 학위 논문, 서광사, 1996), 《인간과 현대적 삶》(공저, 철학과 현실사, 2003), 《죽음과 윤리》(백산서당, 2006), 《인격》(공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현대의 철학적 인간학》(O. F. 볼노 외, 문원, 1994), 《윤리학에 있어서 형식주의와 실질적 가치윤리학》(M. 셸러, 서광사, 1998), 《공리주의》(J. S. 밀, 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지식의 형태와 사회》(M. 셸러, 한길사, 2007) 등이 있고, 그 밖에도 다수의 논문과 기고문들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많은 철학자들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사상가들이 호감이 일어나는 방식을 오직 저급한 부류의 현상에서만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이 저급한 부류의 호감과 비호감에만 주의하고, 더 높은 방식에서 나타나는 호감과 비호감에는 완전히 눈을 감아 버렸다. 예를 들어 흄이 한 말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더 높은 부류의 감정이 있다는 사실을 아예 예감조차 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좋고 나쁨의 개념과 쾌적하고 불쾌한 것의 개념을 좀 더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일찍이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선과 쾌를 구별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좋은 것’, ‘누군가에 대해 좋은 것’과 ‘그 자체로 쾌적한 것’, ‘누군가에 대해 쾌적한 것’을 구별했다. 쾌적하다는 말은 쾌락과 결부된 것이고, 우리가 쾌락을 갖고 있다는 말이다. 쾌적하다는 것과 어떤 사람이 하는 활동의 결합은 본래 합목적적으로 정돈된다. 그것은 마치 신체 기관에 정돈되어 있는 것과 같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29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