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주자 시선

주자 시선

주희 (지은이), 심우영 (옮긴이)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1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620원 -5% 0원
990원
17,6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8,62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200원 -10% 660원 11,220원 >

책 이미지

주자 시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주자 시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30458007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4-08-29

책 소개

성리학을 집대성하고 사서오경을 확립해 공자 다음가는 성인으로 추앙받는 주희. 그러나 그가 산수시의 대가라는 점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조선시대 사림에게 큰 영향을 준 '무이도가'를 비롯해 주자의 산수시 23편 45수를 실었다.

목차

구곡도가(九曲櫂歌) 10수 3
서시 9
일곡 11
이곡 14
삼곡 18
오곡 20
육곡 22
칠곡 24
팔곡 26
구곡 28
추진정 30
충우관 32
방지 35
청허당(일명 무이정사 관묘당에서 묵다) 39
제1수 39
제2수 41
오공제 시의 각운자를 써서 짓다 42
천주봉 46
승진관 48
승진동 50
선학암 52
대소장봉 54
무이정사 잡영(武夷精舍雜詠) 12수 56
무이정사를 여러 가지로 읊고 서문을 아우름 56
정사 61
인지당 63
은구실 65
지숙료 67
석문오 69
관선재 71
한서관 73
만대정 75
철적정 79
차 끓이는 부엌 81
고깃배 83
오공제 <정사> 시의 각운자를 쓰다 85
무이정사를 둘러보다 87
대은병(일명 무이산에서 유람하다 요초 줍기를 서로 기약하면서, 운자를 나누어 집어 요 자를 얻었다) 91
앙고당에서 유공보를 추모하며 95
영봉(일명 무이산을 지나며 짓다) 97
악경을 위해 곡을 하다 99
도수갱에서 짓다 102
종정인 중기와 태사인 경인과 함께 산을 유람하는데, 문숙과 무실 또한 이르러 기뻐하다 105
앞의 각운자를 써서 중기와 이별하다 110
유자징이 멀리서 양구를 보냈는데, 또한 인을 품고 의를 돕는 말이 있었다. 두 수의 절구를 지어 사례하며, 천 리 먼 곳에 하찮은 것을 보낸다 115
산을 나와 도중에 즉석에서 시를 짓다 118

해설 121
지은이에 대해 126
옮긴이에 대해 150

저자소개

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자의 이름은 주희(朱熹, 1130∼1200)이며, 자는 원회(元晦) 또는 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 시호는 ‘문(文)’이어서 ‘주문공(朱文公)’이라 부른다. 원적은 흡주(翕州) 무원[婺源, 지금의 장시성(江西省) 우위안시]인데, 흡주가 남송 때 휘주(徽州)로 개칭되었고, 휘주(지금의 안후이성) 아래쪽에 신안강(新安江)이 흘러서 그의 본관을 ‘신안’이라고 한다. 주자는 공자와 맹자 이후로 중국 역대 최고 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북송 5자[주돈이, 정호, 정이, 장재, 소옹(邵雍)]의 유가 학문을 집대성하면서, 주돈이의 ‘태극(太極)’을 정호의 ‘천리(天理)’와 같은 것으로 보고, 정이의 ‘성즉리(性卽理)’ 사상을 발전시켜 성리학을 완성했다. 또 중국 유가 경전을 정리해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중용(中庸)≫을 4서로, ≪시경(詩經)≫, ≪상서(尙書)≫,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5경으로 분류했다. 19세 때 진사에 급제한 이후, 고종(高宗), 효종(孝宗), 광종(光宗), 영종(寧宗) 등 네 임금이 차례로 바뀌는 동안 실제로 벼슬을 한 기간은 지방 관리로 8년 여, 황제에게 조언과 강의를 하는 벼슬인 궁중 시강으로 46일, 도합 9년이 채 되지 않는다. 그는 관직 생활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간을 무이산과 부근의 숭안, 건양 등지에서 보냈다. 주자는 강경한 성격과 단호한 태도로 인해 여러 사람들로부터 오해를 받았는데, 결국 당시 실세인 한탁주(韓侂冑)의 의도적인 배척과 호굉이 작성하고 심계조(沈繼祖)가 올린 탄핵문에 의해 1196년 시강과 사당 관리직에서 해임되었으며, 1198년에는 ‘위학(僞學)’으로 내몰려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일절 금지되었다. 물론 ‘위학’ 규정에 따라 벼슬도 하지 못했다. 그는 향년 71세의 나이로 1200년 음력 3월 9일에 건양 고정(孤亭) 마을의 창주정사(滄州精舍)에서 숨을 거두었다. 사후인 1208년에 시호를 받았고, 정치적인 탄압 때문에 1221년이 되어서야 겨우 행장(行狀), 즉 전기가 나올 수 있었다. 그의 사위인 황간(黃榦, 1152∼1221)이 썼다. 1227년에는 ‘태사(太師)’라는 칭호를 받아 ‘신국공(信國公)’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이듬해 ‘휘국공(徽國公)’으로 개봉(改封)되었다. 그가 편찬한 책은 80여 종, 남아 있는 편지글은 2000여 편, 대화록은 140편에 달하며, 총 자수로는 2천만 자나 된다. 주요 저서로는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注)≫, ≪초사집주(楚辭集注)≫, ≪시집전(詩集傳)≫,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등이 있으며, 그의 제자들이 편찬한 ≪주자어류(朱子語類)≫, ≪문공가례(文公家禮)≫, ≪주회암집(朱晦庵集)≫ 등이 있다. 그리고 여조겸과 공동 편찬한 ≪근사록(近思錄)≫은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頤), 장재(張載)의 글과 말에서 622개 항목을 가려 뽑아 14개의 주제별로 분류 정리한 책으로, 이후 성리학자들이 가장 중시하는 문헌 중 하나가 되었다. 주자는 경학, 사학, 문학, 불학(佛學)뿐만 아니라 ‘이(理)’가 물질세계의 근원에 존재한다는 차원에서 심지어는 자연과학 서적까지도 고증을 거치고 훈고를 행해 올바른 주석을 달았다.
펼치기
심우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 출신으로 부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중문학과에서 문학학사를 취득한 후, 교환학생 자격으로 대만 국립정치대학에 유학해 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상명대학교 중국어문학과 전임교수로 33년간 재직하면서, 부총장, 어문대학장, 학생처장 및 한중문화정보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한국중문학회 회장 및 한국중어중문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캐나다 UBC에 방문 학자로 1년간 다녀왔다. 저서로는 《중국 시가 감상》, 《학생들과 함께 떠난 중국 시가 여행》, 《중국명산명시감상》 외 다수가 있으며, 완적 관련 논문으로는 〈육조 은일시 연구〉, 〈영회시 82수에 나타난 자연물의 상징 양상〉, 〈완적의 처세 태도에 대한 재검토〉, 〈완적의 이상경계〉, 〈죽림칠현의 은일관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시

무이산 산 위에는 신선이 있고
산 아래 찬 물결은 굽이굽이 맑네.
그중에 절경을 알고자 하니
뱃노래 두세 마디 한가롭게 들리는구나.

序詩
武夷山上有仙靈
山下寒流曲曲淸
欲識個中奇絶處
櫂歌閒聽兩三聲


육곡

육곡에는 창병봉이 짙푸른 물굽이를 두르고
오두막에는 종일토록 사립문이 닫혀 있네.
나그네가 와서 노를 저으니 바위꽃 떨어지나
원숭이와 새는 놀라지 않고 봄 정취만 한가롭네.

六曲
六曲蒼屛繞碧灣
茆茨終日掩柴關
客來倚棹巖花落
猿鳥不驚春意閑


천주봉

우뚝 하늘로 솟은 기둥 하나
중추가 되어 운행하며 동쪽을 떠받드네.
단지 천지가 크다고만 말하지
사극(四極)을 세운 공을 누가 알겠는가?

天柱峰
屹然天一柱
雄鎭斡維東
只說乾坤大
誰知立極功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28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