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고전漢詩
· ISBN : 9791130467399
· 쪽수 : 156쪽
· 출판일 : 2015-09-10
책 소개
목차
매(梅) 노스님의 제자인 인(印) 스님에게 드리다
징원(澄遠) 스님이 선어(禪語)를 구하기에
광산뇌징(匡山?澄) 스님이 법어를 구하기에
용성(龍城)의 부백(府伯) 영 공(令公)이 안부 편지와 여덟 가지 물건을 보냈기에 황률로 사례하며
성성정매(惺惺貞邁) 스님의 편지에 답하다
능가산(楞迦山)에 있으면서 모양(牟陽)태수 김창일(金昌一)의 운을 빌려
취두산(鷲頭山) 청량대(淸?臺)에서 모양태수(牟陽太守)를 맞이하며
호구청규(虎丘淸規)의 선화(禪話)가 담긴 편지
인(仁) 스님의 부도(浮屠)를 조롱하며
삼(三) 스님 만사(挽詞)
≪남화경(南華經)≫을 읽다 광산목백(光山牧伯) 박경신(朴慶新)의 시에 차운해
충원태수(忠原太守) 송흥주(宋興周)에게 드리다
관생(觀生) 도사의 운을 빌려
부령(扶寧) 임 공의 <궂은비에 서로 묻다(苦雨相問)>라는 시에 차운해
몰현(沒絃) 스님이 마침 법어를 구하기에
소요(逍遙) 스님의 <≪능엄경≫을 읽다(讀楞嚴)> 시에 차운해
옛날 것을 본떠
소요(逍遙) 스님의 시에 차운해
선롱(禪弄) 2수
방편전(方便戰)에 대한 이해
상사(上舍) 김(金) 모의 시에 차운해
찰방(察訪) 조(趙) 모의 시에 차운해
금강산(金剛山) 미륵봉(彌勒峯) 향로암(香爐庵)에서 청허대사(淸虛大師)를 참배하고 2수
꿈에 한 문사(文士)를 보고서
시름을 달래며
사인(舍人) 심(沈) 모가 산으로 돌아옴을 사양치 않다
이른 봄 행차 2수
뇌묵당(雷默堂) 노스님께서 집에서 장난으로 염(鹽) 자 운으로 지으신 시에 차운하며
≪불조통재(佛祖通載)≫를 읽고 느낌이 있어
한중잡영(閑中雜詠) 3수
우연히 읊다
우연히 짓다
정좌(靜坐)의 뜻
행각승(行脚僧) 무지(無知)에게 드리다 2수
답장이 없는 사람을 조롱하며
의심하지 말게나
선사(禪師)를 만나고서
담(湛) 노스님께 드리다
임(任) 거사가 찾아와서
4월 초파일 낮에 눈이 내리다
뇌묵(雷默) 스님께서 꿈에 글 한 편을 주셨는데 정녕코 잊을 수 없어서
새소리를 듣고 장난삼아
술 취한 사람을 조롱하며
산속 가을 흥취
운상원(雲上院) 가을밤에
종경광조(宗鏡廣照) 스님에게 드리다
뇌은(雷隱) 스님
서암환성(瑞?喚醒) 스님
법민(海敏) 스님이 ≪제왕세기(帝王世紀)≫를 쓰려고 하기에 여기에 써서 드리다
방주(芳洲) 스님이 선어(禪語)를 구하기에
장용진조(藏用眞照) 스님의 말
정매(貞邁) 스님이 선화(禪話)를 구하기에 장난삼아 짓다
무하성주(無瑕性珠) 스님이 쓴 시축(詩軸)
월담관조(月潭觀照) 스님에게 선화(禪話)를 드리다
장난삼아 누군가에게 선(禪)을 말하다
대방귀본(大方歸本) 스님
지백영준(知白令遵)이 선어(禪語)를 구하기에
초대를 받아 간 자리에서 다른 사람의 시에 차운해
누군가에게 드리다
종일토록 호남(湖南) 지방을 다니며
장난삼아 속객(俗客)에게 드리다
유감
연곡사(燕谷寺) 모임에서
세모(歲暮)에 답하다 2수
간전(看箭) 스님이 오직 호(號) 하나만을 구하기에
용문(龍門)에서 한가로이 살면서
석상(石霜) 스님의 초운(楚雲) 선화(禪話)
고시(古詩)를 본떠서
충원태수(忠原太守) 송(宋) 공에게 드리다
임종게(臨終偈)
황령암(黃嶺庵) 유증명(鍮甑銘) 2수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에서
·종일 맑고 한가롭게 집에 머물며
무심히 경계 대하니 바로 선나(禪那)로고.
호미로 김매는 것 일삼지 않아도
주인 밭에는 잡초가 많지 않다네.
一日淸閑自在家
無心對境是禪那
不向鋤頭爲事業
主人田地草無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