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카이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적은 저장성 우씽현, 1926년 7월 안후이성 우후에서 태어났다.
미국 오거스티나 대학 명예법학박사, 일본 소카대학과 간사이대학 명예박사.
1948년 11월 진링대학 역사학과를 졸업. 같은 해 중원해방구의 중원대학 정치연구실에서 학업을 계속한 뒤, 1949년 7월 우한으로 내려가 교육학원 역사학과에서 교편을 잡기 시작했다. 1951년 9월부터 화중대학에서 역사학과 교수와 총장을 역임했다.
'중국신해혁명사연구회', '화중사범대학역사연구소 : 현 중국근대사' 를 설립하여 현재까지도 이끌고 있다. 그는 중국근대사 학계의 권위자로 신해혁명 연구, 중국자산계급상회사 연구, 난징대학살역사문헌 연구 등에서 뛰어난 학술적 성과를 거둬, 현재 중국 '국무원학위위원회' 역사학과 평의위원으로 있다.
펼치기
배규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8년 문학박사 학위(〈임란기 불가문학 연구〉)를 받은 이래, 한국학 및 불가 한문학 연구에 전력하고 있다. 한자와 불교를 공통 범주로 한 ‘동아시아 문학론’ 수립을 학문적 목표로 삼아, 그간 한국학대학원 부설 청계서당(淸溪書堂) 및 국사편찬위원회 초서 과정을 수료했으며, 수당(守堂) 조기대(趙基大) 선생께 사사했다.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에서 지난 10여 년간 외국인을 대상으로 국어 및 한자 강의를 진행했으며, (사)한국한자한문능력개발원의 한자능력검정시험 출제 및 검토 위원으로 재임 중이다. 2002년부터 2008년까지 학술진흥재단의 고전 번역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2000년부터는 국사편찬위원회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고·순종>> 교열 및 교감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 경희대(학진연구교수), 동국대(학진연구교수), 북경 대외경제무역대학(KF객원교수)을 거쳐 현재 중국 북경공업대학 한국어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중국 학생들에게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강의하고 있다. 편역자는 해외에서 우리의 말과 문화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와 전파라는 새로운 뜻을 세우고 활동 중이다. 주로 논저로는 <<불가 잡체시 연구>>, <<불가 시문학론>>, <<조선조 불가문학 연구>>, <<사명당>>, <<한자로 배우는 한국어>>, <<요모조모 한국 읽기>>, <<외국인을 위한 한국 고전문학사>>, <<속담으로 배우는 한국 문화 300>> 등이 있고, 역저로는 <<역주 선가귀감>>, <<한글세대를 위한 명심보감>>, <<사명당집>>, <<허정집>>, <<허응당집>>, <<청허당집>>, <<무의자 시집>>, <<선가귀감>>, <<역주 창랑시화>>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