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오십의 주역공부](/img_thumb2/9791130623498.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30623498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2-06-2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오십, 진정한 어른을 만나고 싶은 당신에게
1장 새로운 나로 바로 선다는 것
: 인생이 안 풀린다고 느낄 때 괘를 알면 내가 보인다
이 시련 또한 지나간다 | 택수곤(澤水困)
때로는 행동하지 않는 게 득이다 | 중산간(重山艮)
삶이 너무 무거우면 잠시 멈추고 돌아보라 | 지뢰복(地雷復)
옳지 않은 이로움을 욕심내는 건 위험하다 | 천뢰무망(天雷无妄)
때를 기다리며 매일 정진하라 | 수뢰둔(水雷屯)
미련도 간섭도 모두 버려라 | 수뢰둔(水雷屯)
강한 자일수록 몸가짐을 바르게 한다 | 뇌천대장(雷天大壯)
노력하는 사람은 시련조차 이긴다 | 중지곤(重地坤)
간절한 마음으로 본다는 것 | 풍지관(風地觀)
순리대로 살면 바라던 삶이 온다 | 천뢰무망(天雷无妄)
평생 한 번은 자신만의 기회가 온다 | 뇌화풍(雷火豊)
2장 정해진 운명을 넘어선다는 것
: 흔들리지 않는 중심을 잡고 싶을 때 괘를 알면 사람이 보인다
운명을 따른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 | 중뇌진(重雷震)
지혜로운 사람과 함께하라 | 지화명이(地火明夷)
평생 따르고 싶은 스승이 있다는 것 | 지수사(地水師)
자신을 낮추어 행하면 해결된다 | 천택리(天澤履)
작은 것을 주어야 큰 것을 얻을 수 있다 | 지천태(地天泰)
뒷담화를 삼가라 | 화뢰서합(火雷噬嗑)
이별은 새로운 시작이다 | 중화리(重火離)
진심을 다하면 통한다 | 택산함(澤山咸)
버리고 나눌수록 홀가분해진다 | 산택손(山澤損)
해결하고 싶으면 평화부터 찾아라 | 뇌수해(雷水解)
크게 생각하라 | 화천대유(火天大有)
살아갈 날들을 위해 대비한다 | 뇌지예(雷地豫)
3장 살아갈 인생의 이치를 깨닫는다는 것
: 어제와 다른 내일을 만들고 싶을 때 괘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위를 덜어내고 아래에 보태라 | 풍뢰익(風雷益)
사람과 자연이 조화로운 곳이 명당이다 | 수풍정(水風井)
자연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라 | 중감수(重坎水)
과감하게 행동하여 주저함이 없어라 | 택화혁(澤火革)
품격 없이는 운도 없다 | 천뢰무망(天雷无妄)
리더는 함부로 행동하지 않는다 | 중천건(重天乾)
쉼 없이 굳세어라 | 중천건(重天乾)
조화를 이루면 아름답다 | 중곤지(重坤地)
끊임없이 지혜를 구하면 늙지 않는다 | 산수몽(山水蒙)
죽을 때까지 공부해야 하는 이유 | 산수몽(山水蒙)
크게 지나침은 바로 잡아라 | 택풍대과(澤風大過)
에필로그 | 《주역》을 새롭게 읽어야 할 때
추천사
부록 《주역사전》 깊이 읽기
우주의 원리를 담은 최고의 경전, 《주역》 | 《주역》 64괘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다산은 요즘 말로 하면 ‘인생 꼬인 엄친아’였다. 가문으로 보나 개인으로 보나 그는 당대에 가장 전도유망한 청년이었다. 정약용의 집안은 이른바 팔대옥당(八代玉堂)이라 불린 명문가였다. 이 집안은 학문이 높은 사람만 될 수 있다는 홍문관 관리를 8대 연속으로 배출해서 그렇게 불렸다.
다산은 스물두 살에 소과(小科) 시험인 생원시에 합격하고 스물여덟에는 대과인 문과에 급제했다. 20대에 대과까지 합격하는 경우는 흔치 않았다. 오늘로 치면 국방부 국장인 병조참의, 대통령 비서를 역임하며 성공 가도를 달렸다고 보면 된다. 여기에 정조 임금의 신임까지 얻었으니, 요즘 시대로 말할 것 같으면 엄친아, 또는 모든 면에서 뛰어난 사기 캐릭터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일찍이 너무 잘 나간 탓일까? 서른아홉 살 때부터 다산의 인생이 꼬이기 시작했다. 그를 총애하던 정조 임금이 갑자기 승하한 게 발단이었다. 얼마 뒤 순조 1년 2월 8일(1801년 3월 21일)에 의금부 관리들이 다산을 체포하러 들이닥친다. 천주교 신자로서 활동한 이력이 죄가 되었다. 그런데 이는 다산에게 죄를 뒤집어씌우기 위한 허울 좋은 명분에 불과했다. 본질은 정치적으로 탄압하고자 했다. 다산과 둘째 형인 정약전은 유배를 떠나고 셋째 형인 정약종과 매형인 이승훈은 사형을 당했다. 명문가로 이름이 드높았던 집안이 하루아침에 풍비박산이 난 셈이다.
_ 〈1장 새로운 나로 바로 선다는 것〉
나이가 들수록 스승을 만나기 어렵다. 특히 50대는 세상을 안다는 착각, 나이와 함께 확고해진 자의식 때문에 남의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섯 살 아이나 50대 어른이나 똑같이 눈뜨면 새로운 날을 맞는다. 연륜에 맞게 우아하게 살고 싶지만 크고 작은 실수와 시행착오를 피할 수 없다. 그럴 때는 가르침을 원하고 마땅한 스승을 찾으려는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자. 그리고 나 역시 누군가의 스승이 될 수 있는지 돌아봐야 한다.
_ 〈2장 정해진 운명을 넘어선다는 것〉
운명 상담 중에도 ‘제가 성공할 수 있을까요?’ 또는 ‘우리 아이가 성공할 수 있을까요?’ 하는 질문은 ‘돈을 많이 벌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 다음으로 자주 등장한다. 이 질문의 의도를 살펴보면 보통 사람들은 성공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이 따로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성공 여부를 묻는 사람에게 항상 덧붙이는 말이 있다. 그건 바로 ‘누구에게나 성공하는 자신만의 자리는 있다’라는 것이다. 모든 사람에게는 저마다의 강점이 있고 그 강점을 잘 살리면 성공의 가능성이 열린다. 내 팔자가 좋지 않아서, 사주나 운명에 성공할 운이 없어서 잘되지 못한다는 건 핑계일 뿐이다.
아무리 부족한 사람도 그 사람만의 강점이 있다. 자신의 강점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주어진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다. 성공하는 사람의 운명과 그렇지 못하는 사람의 운명이 따로 있는 게 아니다.
_ 〈3장 살아갈 인생의 이치를 깨닫는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