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여자들을 위한 심리학](/img_thumb2/9791130640709.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30640709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1-09-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여자라서 겪어야 하는 일들에 마음이 자주 지치는 당신에게
1부 나를 의심하지 않기로 했다
chapter 1 결혼을 꼭 해야 하는 건가요
매일 숙제하듯 살아왔다면
인생은 패키지가 아니다
chapter 2 직장 상사에게 실망했어요
평면이 아닌 입체로 바라보기
타인의 진심에 매달리지 마라
chapter 3 친구들과 대화가 안 통해요
당신이 친구와 멀어진 진짜 이유
관계를 유지하는 적당한 거리
Chapter 4 거절을 못 하겠어요
갈등을 두려워하는 사람들
내 감정은 나의 것, 네 감정은 너의 것
chapter 5 친구가 낯설어요
불편한 것은 불편한 것이다
관계에 임시 보관함이 필요한 이유
chapter 6 착한 아이 콤플렉스에서 벗어나고 싶어요
가족이 상처를 준다면
착한 사람의 딜레마
내 몫의 거절 분량을 채울 것
2부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나만의 온도를 찾아가는 법
chapter 7 남동생과 차별하는 엄마가 미워요
무조건적인 관계는 없다, 그것이 엄마일지라도
엄마의 시대와 딸의 시대가 만났을 때
자신이 할 수 있는 것들
chapter 8 일상이 불편해졌어요
이전으로 돌아가지 못해도 괜찮아
내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법
chapter 9 내 안에 내가 너무도 많아요
달팽이가 되어버린 이유
자신만의 생각을 이어갈 것
구구절절 해명하지 마라
초자아 다독이기
chapter 10 꾸밀 때 눈치가 보여요
꾸밈에 대한 이중적인 생각들
코르셋에서 탈코르셋으로
혼란을 반가워하자
수치심을 대하는 방법
chapter 11 남자친구가 저를 질투해요
관계를 결정하는 여러 가지 조건
나의 기분을 존중할 것
chapter 12 친구 같은 아빠에게 자꾸 불만이 생겨요
나는 정말 불만투성이인가?
성평등은 지금, 기본값인가?
참고한 자료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자신의 말과 행동을 곱씹으며 “내가 뭐라고 그 자리에서 앞뒤 안 가리고 욱했지?” 또는 “그 상황에서 왜 바보처럼 아무 말도 못했지?”라며 자신을 몰아붙일 때가 있습니다. 이는 아이에게 어떤 속상한 사정이 있었는지는 살피지 않은 채 “그런다고 친구를 때리면 쓰니?”, “왜 너는 바보같이 맞고만 있었어?”라며 야단치는 어른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 어른이 아이를 대하는 것처럼 우리는 우리 자신을 쉽게 비난하고 의심합니다.
이 책이 그런 자기 의심을 자신에 대한 호기심과 이해로 바꾸고, 온전한 나로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살아갈지에 대한 실용적인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면 더없이 기쁠 것 같습니다.
<들어가는 말 ‘여자라서 겪어야 하는 일들에 마음이 자주 지치는 당신에게>
결혼을 하기로 결정했다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들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가장 먼저, 상대가 나의 가치관을 허락해주는 사람이 아닌 나와 한 팀이 될 수 있는 사람인지 확인하세요. 그리고 팀 안에 다른 사람(부모님, 친구들, 익명의 타인 등)을 넣지 않을 만한 사람인지 곰곰이 생각해봐야 합니다. 다른 말로 하면, 성인으로서 자신이 새로 구성할 가족과의 유대를 가장 우선적으로 생각하는지, 그리고 자신의 과거 양육자와 적절한 분리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양육자와 적절히 분리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상대가 부모의 행동에 지나치게 불안해하거나 책임감을 느끼는지, 그리고 그것을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배우자인 나에게 무언가를 요구하거나 책임을 전가하는지를 알아보면 됩니다.
<1장 ‘인생은 패키지가 아니다’>
타인을 한마디로만 표현하려고 하면 그때그때 인상이 확확 달라집니다. 그렇기에 사람을 볼 때는 “전체가 아닌 부분으로 보라.”고 말해주는 편입니다. 그 사람의 매력적인 부분, 미성숙한 부분을 각각 보고, 자신이 타인의 모습 중 어느 부분과 협력할 것인지를 결정하면 됩니다. 나의 전체를 모두 내어주지 않아도 됩니다. 나의 부분과 타인의 부분이 협력했을 때 서로 대충 맞으면 그걸로 족합니다. 그 사람 전체와 나의 전체가 모두 맞는 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니 말입니다.
인간관계를 앞으로 계속 이어나갈지, 이쯤에서 멈출지를 알기 위해서 이 방법을 사용하면 도움이 될 겁니다. 모임에서 취미를 공유하면서 만난 사람과는 취미를 중점적으로 공유하면 됩니다. 그 밖의 다른 부분들이 심하게 이상하지만 않으면, 취미 공유라는 목적만을 위해 만나면 그뿐이지요.
<2장 ‘타인의 진심에 매달리지 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