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30688817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5-02-0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_4가지 축으로 보면 에너지 패권 지형이 단숨에 읽힌다
1부. 석유 전쟁
1장_인류 문명을 바꾼 석탄
제1차 산업혁명과 석탄 | 석탄을 확보하라 | 여전히 많이 쓰이는 석탄
2장_세계정세를 좌우한 석유의 시대
제2차 산업혁명과 석유 | 석유 시대의 서막을 연 미국 | 석유산업의 또 다른 태동지 | 세계 석유 중심지로 우뚝 선 중동 | 제1·2차 세계대전과 석유 | 석유로 부침하는 미국 경제 | 석유의 무기화 | 석유로 인한 소비에트연방의 부흥과 몰락 | 영국의 영광을 되살린 북해 유전 | 석유와 중동 분쟁 | 급속 성장한 중국의 에너지 확보 노력
3장_잠재력 많은 비전통 석유
캐나다의 오일샌드 | 세계 최대 석유 보유국 베네수엘라 | 비전통 석유의 잠재력
2부. 천연가스 전쟁
4장_에너지 다양화 시대
각광받는 천연가스 | 원자력 활용 시대 | 풍력과 태양광으로 전기를 만들다
5장_천연가스로 재편되는 에너지 패권 판도
러시아의 영광을 되살린 천연가스와 석유 | 미국을 에너지 강국으로 부활시킨 셰일혁명 | 러시아 가스에 의존한 독일의 탈원전 | 우크라이나 전쟁과 유럽 가스관 | 천연가스도 풍부한 중동
3부. 탄소 전쟁
6장_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 에너지
인류를 위협하는 기후변화 | 재생에너지의 확대와 한계 | 원자력은 확대될 것인가? | 저탄소 에너지가 대세가 될 것인가? | 미래 에너지로서의 수소 | 바이오에너지는 친환경일까?
7장_오락가락하는 미국의 에너지 정책
세계에서 가장 에너지 소비가 많은 나라 | 트럼프 2기 에너지 정책
8장_탄소 감축을 주도하는 유럽
유럽은 왜 탄소 배출이 줄어드는가? | 탄소 감축에 목소리를 높이는 유럽
9장_탄소가 늘어만 가는 중국과 인도
중국의 화석에너지 소비는 줄지 않는다 | 빠르게 늘어나는 인도의 석탄 소비
10장_기후 위기 시대의 에너지 지정학
화석에너지는 줄어드는가? | 온실가스 넷제로와 탄소중립 | 에너지 패권의 향방
4부. 생존 전쟁
11장_한국 에너지 현황과 전망
에너지 소비 현황 | 의존도가 가장 높은 석유 | 시장이 변화하는 천연가스 | 소비가 감소하는 석탄 | 한계가 명확한 재생에너지 | 영향력이 확대되는 원자력
12장_한국 자원 개발 역사
국내 석유·가스 개발사 | 해외 자원 개발사 | 우리나라 석유·가스 개발 현주소
13장_21세기 우리의 생존 전략
에너지에 대한 인식 전환 | 에너지산업 구조 개혁 | 에너지 공급원 확보 | 탄소 감축을 실현하려면 |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모두 확대해야 한다 | 트럼프 2.0 시대 대응 전략
나오며_에너지 지정학 시대, 인식을 전환해야 미래를 지배할 힘이 보인다
참고 자료
참고 문헌
사진 출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석유가 국가 수출액의 90퍼센트를 차지해 주수입원이었던 베 네수엘라가 석유 생산에서 나오는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조치를 최초로 시행했다. 베네수엘라 정부는 석유회사와 산유국이 이익을 반분하도록 하는 50대 50 정책을 주장하면서, 산유국 정부가 지분의 50퍼센트를 소유하게 하는 석유법 개정안을 1943년에 통과시켰다. … 이에 따라 베네수엘라 정부의 총소득은 1942년 대비 1948년에 무려 여섯 배가 증가하기에 이른다.
(1부. 석유전쟁)
땅속에 매장되어 있는 석유는 계속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한정되어 있다. 2010년 이후 미국의 셰일혁명에도 불구하고 석유 확인매장량 증가 추세는 눈에 띄게 완화되었다. 수요는 꾸준히 증가 하는데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 수급 불균형으로 유가가 오를 수밖에 없다. 아직은 캐나다의 오일샌드가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지만, 고유가 시대가 되면 오일샌드 개발이 활성화될 것이다.
(1부. 석유전쟁)
1970년대 1·2차 석유파동이 일어나 전 세계가 에너지난에 시달리고 극심한 경기 침체를 경험했다는 사실을 언급한 바 있다. 에너지 수입국들은 중동 산유국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 있는 석유에만 의존해서는 안 되겠다는 경각심을 지니게 되었다. 석유 대신 난방· 취사·동력·발전용 연료로 천연가스 사용이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유전 못지않게 가스전 탐사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이에 더해 선진국을 중심으로 원자력발전소 건설붐이 일어났으며, 태양광·풍력·바이오연료 등 재생에너지에 관한 연구와 개발 역시 활발히 진행됐다.
(2부. 천연가스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