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인간관계 > 인간관계
· ISBN : 9791130690421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2-05-12
책 소개
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단호하게 앞을 향해서만 변화하는 자연처럼
Prologue┃ 뭐가 두려운 게 있으세요? 이제 당신답게 사세요
Chapter 1
내 인간관계는
왜 이렇게 힘들까?
나는 왜 만날 이용만 당할까?
낯선 곳에서의 내가 버겁고 힘들다면
작은 결정도 내 마음대로 못 할 때
희생하고 남는 건 상처뿐인 관계
그저 감정에 솔직했을 뿐인데
‘나는 옳다’는 생각이 지나칠 때
마음 터놓을 사람이 없다면
성실한 사람들이 쉽게 빠지는 함정
Chapter 2
상처받은 사람은 많은데
상처 준 사람은 없는 이유
나 자신보다 어려운 존재는 없다
가까워지기 힘든 사람은 반드시 있다
세상에 상처받았다고 심각할 필요 없다
살다 보면 오해받는 일도, 오해하는 일도 생긴다
“진심이었어”라는 말의 비밀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보다 낫지 않다
관계를 편하게 하는 딱 한 끗
나쁜 매너는 모든 것을 졸렬하게 만든다
멈추었다 싶을 때, 변화가 필요한 순간
Chapter 3
자유로운 나로 살기 위한
까칠한 인간관계 처방전
나는 까칠하게 살기로 했다
첫 번째 처방 | 멈추고, 조절하고, 벗어나라
두 번째 처방 | 지나간 일의 무게로부터 가벼워질 것
세 번째 처방 | 까칠함과 무례함의 적정선을 지킬 것
네 번째 처방 | 거절은 부드럽지만 단호하게
다섯 번째 처방 | 인간관계에도 가지치기가 필요하다
여섯 번째 처방 | 굳이 나까지 나설 필요는 없다
일곱 번째 처방 | 그래도 나는 사람을 믿기로 했다
Chapter 4
누구에게도 휘둘리지 않는
내가 되기 위하여
못난 나와도 마주하는 용기
그렇게까지 애쓸 필요 없다
그동안 미워했던 나와 화해하기
상대방의 눈으로 보면 보이는 것들
내 마음에 창을 내어주는 일
행복이 강박이 되지 않기를
기분에도 관리가 필요하다
세상 그 어떤 일도 당연한 것은 없다
인생이란 말하는 대로 되어간다
뜻을 못 이루어도 좌절 없이 태연하게
Epilogue┃ 다른 사람을 사랑하기 위해서 우리 자신을 사랑하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내게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 역시 그냥 삶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받아들이려 애쓰는 것이다. 이때 ‘왜 하필 나한테?’라며 의미를 찾기 시작하면 골치 아파진다. 인생의 모든 문제는 일반적이면서 특수하다. 내게 생긴 문제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다 겪을 수 있는 문제라는 뜻이다. 정신의학자 융은 일반적인 문제를 일반적으로 볼 수 있을 때는 나의 콤플렉스가 영향을 미치지 않을 때라는 것을 입증해 보였다. (중략)
최근의 뇌 연구에 따르면, 감정과 생각은 서로 도저히 떼어놓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그것은 곧 생각이 감정에 영향을 주고 감정 역시 생각에 똑같이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말은 내가 느끼는 감정이 크고 강할수록 생각 역시 똑같은 무게로 그 감정의 지배를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감정이 소용돌이칠 때는 아무런 결정을 내리지 않거나 적어도 일정한 시간 동안 그 결정을 뒤로 미뤄두는 것도 현명한 태도다.
_ 나 자신보다 어려운 존재는 없다 中
실제로 인생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들은 그 상황을 내가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의 감각은 우리가 의식하든 의식하지 않든 죽는 날까지 작동한다. 그러면서 우리의 생각과 행동, 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그 생각과 행동, 감정은 우리의 감각에 영향을 미친다. 그것은 곧 아무리 좋은 평판을 듣는 사람을 만나더라도 그때 내 기분이 안 좋으면 그가 좋게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걸 뜻한다. (중략)
그렇게 생각하면 남들이 나에 대해서 무례를 저지른다고 해서 꼭 화를 낼 일만은 아니라는 등식이 성립한다. 살다 보면 내가 상대방을 오해할 수도 있고 또 그 반대의 경우도 생기기 마련이다. 나는 A의 태도가 마음에 들어서 그를 칭찬했지만 그 자리에 있던 다른 사람은 내가 A에게 아부를 한다고 여길 수도 있는 것처럼 말이다. 요컨대, 인간관계에서 꼭 마음에 새겨둬야 할 원칙이란 내가 기억하고 있는 것들이 꼭 진실이고 팩트가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_ 살다 보면 오해받는 일도, 오해하는 일도 생긴다 中
그들을 보면서도 인간관계에는 가지치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실감한다. 불필요한 인간관계에 시간과 몸과 돈을 투자하다가 뒤늦게 후회하지 말고 그 대신 나와 늘 스물네 시간을 함께 하는 나 스스로에게 모든 것을 투자하는 것이 차라리 낫겠다는 생각마저 들 때도 있다.
백이면 백 사람 다 잘할 수는 없다. 평생을 같이 가는 사람은 한두 사람뿐이다. 이 세상에 내가 원하는 것을 다 해주는 사람도 없고 내 마음에 드는 사람도 없고 나를 이해해 주는 사람도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한 사람만 있다면 성공한 셈이고, 그 사람도 항상 그렇지는 못하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나도 내가 항상 마음에 안 들고 내가 원하는 대로 안 되는데 그걸 왜 남에게 바라는가. (중략)
내가 어떤 선택을 하든 반드시 버리는 쪽이 있기 마련이다. 버리는 것에 대한 마음까지 수용하는 것이 선택이다. 두 마음을 다 가지려는 것이 문제다. 그냥 편안하게 하고 싶은 말을 할 수 있고, 상대방의 피드백에 따라서 나의 상태를 컨트롤할 수 있는 관계가 아니라면 거리를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것이 건강한 까칠함이다.
_ 인간관계에도 가지치기가 필요하다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