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는 소금쟁이다

나는 소금쟁이다

조계숙 (지은이)
푸른사상
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7,200원 -10% 2,500원
400원
9,300원 >
7,2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720원
8,9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나는 소금쟁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는 소금쟁이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30806150
· 쪽수 : 136쪽
· 출판일 : 2016-03-17

책 소개

푸른사상 시선 63권. 중력에 맞서는 소금쟁이의 부력으로 반복적 일상을 박차고 날아올라 좀 더 고양된 삶의 차원과 또 다른 미래의 비전을 일구어내고자 한다.

목차

시인의 말

제1부
분실물 보관소 / 네버엔딩 스토리 / 사막에서 사막으로 / 섬에서 섬으로 / 웰메이드 드라마 / 뫼비우스 / 파이터의 포즈 / 네모난 꿈 / 개와 늑대의 시간 / 겨울 거울 / 오체투지 / 시인의 마을 / 초인의 마을 / 풍요로운 폐허 / 에그타르트

제2부
장마 / 나는 소금쟁이다 / 바위 / 정박과 출항 / 주머니 안의 생선 / 아름다운 속도 / 좁은 문 / 앙부일구 / 블랙홀 / 도시의 꿈 / 물결치는 손 / 수직의 시간 / 모래시계 / 꽃잎은 수직으로 낙하하지 않는다 / 복원

제3부
시 / 묵언 수행 / 습관의 거리 / 겨울 호수 / 오래된 독서 / 일상의 궤도 / 아홉 번이나 / 겨울의 그물 / 밤, 길 찾기 / 비상의 근육질 / 떠난 것을 찾아서 / 몸의 뿌리 / 처음 가는 길 / 별똥별, 떠돌던 사랑에게 / 흙의 언어

제4부
꽃 섬 / 작고도 장한 / 온몸의 풍경 / 겨울로 가는 나무 / 습격 / 바다가 갈라지다 / 조용히 / 타자가 아니다 / 물음표의 물구나무 / 바람 부는 날 / 타닥, 탁 탁 / 씨앗의 길 / 저녁 산 / 꽃이 지면 꽃향기는 어디로 가나 / 너도 나도

작품 해설:기원의 상상력, 심미적 삶의 충동―이찬

저자소개

조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진대학교 한국어문학부 강의교수로 있다. 공저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3.추리물』,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4.코미디』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조계숙의 시집 『나는 소금쟁이다』는 생의 매 순간마다 우리 몸에 들러붙는 각양각색의 페르소나(persona)들을 발가벗겨 드러내려는 열망으로 빼곡하게 에둘러져 있다. 이는 우리 모두를 그럴싸한 낯빛으로 치장하도록 강제하는 상징적 질서의 가공할 위력을 반증하는 것일뿐더러 의미들 속의 무의미이자 공백으로서의 진리, 그 헛되고 헛된 생의 바탕을 회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응시하려는 시인의 충실성의 벡터를 암시한다. 시인은 현대 도시인들의 삶에 깃든 안락과 풍요와 편리의 충동과 더불어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기꺼이 뒤집어쓸 수밖에 없을 무수한 가면들과 미장센(mise-en-sc?ne)의 효과들을 거죽 위로 끌어올리고자 한다.
기원적 시공간에 대한 추적의 모티프들이 시집 마디마디의 구석진 모서리들에서 피어오르는 까닭은 고정화된 삶의 패턴과 관성에서 훌쩍 날아오르고 싶은 시인의 간절한 바람에서 오는 것인지도 모른다. 아니, 현재적 시간에서 겪어내고 있는 삶의 여러 난맥상들에 휘둘려 초라해지거나 비루해지지 않으려는 그의 순정한 마음결에서 온다. 곧 지금 당장의 이해관계에 얽매여 비속한 것들에 몸담기보다는 좀더 고결한 차원에서 그것들과 싸워 이겨내려는 내면적 투쟁으로부터 빚어진다.
조계숙은 자신의 시 쓰기를 제 영혼의 심부에서 튕겨 오르는 개인적 고유성의 산물이기보다는 모든 음성과 음성언어, 나아가 모든 종류의 언어 내부에 이미 기입되어 있는 어떤 문자적 표기, 곧 원초적 에크리튀르에서 비롯한다고 느끼고 있는 것 같다. 이는 시인이 세계 삼라만상에서 일어나는 시공간적 분기의 운동, 곧 모든 사물과 생명이 태어나고 죽고 변해가는 그 사건적 표기와 흔적들을 마치 “자연의 책”이라는 원초적 에크리튀르가 써내려가는 것처럼 그려낸 장면에서 가장 명징하게 드러난다. 결국 “자연의 책”이라는 시어는 원초적 에크리튀르의 다른 표현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시인이 자신의 시쓰기를 내밀한 개성의 산물이기보다는 원초적 에크리튀르에서 뿜어져 나온 것으로 본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이 시집의 곳곳의 마디마디에는 시인 자신의 “시”를 비롯한 글쓰기 작업을 세계 스스로가 펼쳐내는 ‘시공간적 분기의 운동’을 옮겨 적는 것처럼 소묘한 문양들이 산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니, “시”를 원초적 에크리튀르의 영매이자 신탁(神託)의 표기에 가까운 이미지로 그려낸 장면들이 흩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찬(문학평론가)의 해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