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시 깊이 읽기

우리 시 깊이 읽기

권영민 (지은이)
푸른사상
35,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950원 -10% 0원
1,770원
30,1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45,000원 -10% 2250원 38,250원 >

책 이미지

우리 시 깊이 읽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시 깊이 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30819075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2-04-22

책 소개

한국 현대시의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면서 한국어의 시적 표현을 이해하게 해주는 한국시 강좌. 한국 시단을 대표하는 시인 35인의 시 142편을 엄선하여 한국 현대 시문학의 전체적인 경향을 조망한다. 시작품을 꼼꼼하고 깊이 있게 해설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시적 표현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목차

■ 책머리에 : 시의 깊이 읽기를 생각하며

제1부

김소월 _ 진달래꽃 / 산유화(山有花) / 초혼(招魂) / 옷과 밥과 자유
한용운 _ 님의 침묵 / 나룻배와 행인 / 당신을 보았습니다 / 꽃이 먼저 알아 / 오셔요
이상화 _ 나의 침실로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김동환 _ 국경의 밤 / 북청(北靑) 물장수 / 송화강(松花江) 뱃노래
주요한 _ 불놀이
심 훈 _ 그날이 오면 / 잘 있거라 나의 서울이여
박세영 _ 화문보(花紋褓)로 가린 이층 / 산제비
박팔양 _ 태양을 등진 거리 위에서 / 너무도 슬픈 사실
임 화 _ 우리 오빠와 화로 / 네거리의 순이
최남선 _ 해(海)에게서 소년(少年)에게 / 한강(漢江)을 흘리저어
이병기 _ 파초(芭蕉) / 풀벌레 / 야시(夜市) / 난초

제2부

정지용 _ 카페·프란스 / 바다 2 / 유리창 1 / 유선애상(流線哀傷) / 춘설(春雪) / 백록담(白鹿潭) / 비
김영랑 _ 모란이 피기까지는 / 달 / 연 1 / 거문고 / 북
김기림 _ 기상도(氣象圖) / 옥상 정원(屋上庭園) / 아스팔트 / 굴뚝 / 바다와 나비 / 주피터 추방(追放) / 이상 오감도(烏瞰圖) 시 제1호 / 오감도 시 제5호 / 오감도 시 제12호 / 오감도 시 제15호 / ·소·영·위·제·(·素·榮·爲·題·) / 자상(自像)
김광균 _ 외인촌(外人村) / 설야(雪夜) / 와사등(瓦斯燈) / 추일서정(秋日抒情)

제3부

유치환 _ 깃발 / 바위 / 울릉도 / 행복(幸福)
김광섭 _ 마음 / 성북동 비둘기 / 산 / 저녁에
신석정 _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 대숲에 서서 / 파도(波濤) / 나랑 함께
서정주 _ 화사(花蛇) / 귀촉도(歸蜀途) / 국화 옆에서 / 추천사(楸韆詞) / 꽃밭의 독백―사소단장(娑蘇斷章) / 동천(冬天) /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오장환 _ 정문(旌門) / 성씨보(姓氏譜) / 고향 앞에서 / 다시 미당리(美堂里)
백 석 _ 멧새 소리 / 칠월 백중 / 박각시 오는 저녁 / 국수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南新義州 柳洞 朴時逢方)
이육사 _ 노정기(路程記) / 절정(絶頂) / 광야(曠野) / 파초(芭蕉) / 청포도
이용악 _ 북쪽 / 국경(國境) / 낡은 집
노천명 _ 사슴 / 남(男)사당
모윤숙 _ 떠나는 카츄샤 / 야경(夜景)
윤동주 _ 쉽게 쓰여진 시(詩) / 길 / 십자가 / 또 다른 고향(故鄕) / 별 헤는 밤 / 간(肝)

제4부

박목월 _ 나그네 / 산도화(山桃花) 1 / 난(蘭) / 적막한 식욕 / 이별가(離別歌) / 기계(杞溪) 장날
박두진 _ 향현(香峴) / 도봉(道峯) / 해 / 꽃과 항구(港口) / 하지절(夏至節) / 고산식물(高山植物) / 천태산(天台山) 상대(上臺)
조지훈 _ 봉황수(鳳凰愁) / 낙화(落花) / 완화삼(玩花衫) / 승무(僧舞) / 산상(山上)의 노래 / 추일 단장(秋日斷章)
김현승 _ 가을의 기도 / 절대 고독 / 눈물
김수영 _ 달나라의 장난 / 폭포 / 푸른 하늘을 / 풀
김춘수 _ 꽃 /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박재삼 _ 울음이 타는 가을 강 / 추억(追憶)에서 / 수정가(水晶歌)
조오현 _ 할미꽃 / 산창(山窓)을 열면 / 무설설(無說說) 1 / 아득한 성자 / 신사와 갈매기

■ 찾아보기

저자소개

권영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보령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도쿄대학교 한국문학 객원교수,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 한국문학 겸임교수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중국 산둥대학교 석좌교수, 대한민국예술원 종신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한국현대문학사 1,2』, 『서사 양식과 담론의 근대성』, 『정지용 시 126편 다시 읽기』, 『문학사와 문학 비평』, 『오감도의 탄생』, 『한국계급문학운동연구』, 『이상 연구』, 『한국문학이란 무엇인가』, 『분석과 해석』 등이 있다. 만해대상학술상,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 세종문화상, 민세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시에서 시적 화자가 가정하고 있는 이별의 상황은 슬픔의 장면이 될 수가 없다. 오히려 자기 사랑의 깊이와 진정성과 순결함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모든 것을 임에게 보여줄 수 있는 황홀한 순간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적 화자는 이별의 상황을 가정해보며, 그 비극적인 순간을 눈물의 언어 대신에 사랑의 아름다움으로 꾸며낸다. 이 작품의 마지막 구절에서 시적 화자는 진달래꽃으로 표상되고 있는 바로 그 사랑의 모든 것을 다 드러내어 보였기 때문에, 죽어도 눈물을 흘리지 않으리라고 말하고 있다. 이별의 슬픔이 내면화하고 그 대신에 사랑의 진실이 자리 잡게 되는 것, 그것이 바로 가장 빛나는 시적 성취라고 할 수 있다. 이별의 순간에 펼쳐놓는 이 아름다운 사랑의 확인법을 누구도 놓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진달래꽃」은 이별의 노래가 아니다. 이별의 아픔과 슬픔을 훨씬 뛰어넘는 아름다운 사랑의 노래이다. 임을 향한 크고 깊은 사랑, 깨끗하고 정결한 사랑이 가득 담겨 있지 않은가?


「님의 침묵」은 시집 『님의 침묵』(1926)의 표제작~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별 헤는 밤」은 1941년 11월 5일에 쓴 작품이다. 1948년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 수록되었다. 윤동주가 연희전문학교 졸업을 앞두고 쓴 작품으로 일제 말기 고통스러운 현실 속에서 아름다운 고향의 정경과 어머니의 모습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서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가을밤을 배경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것들에 대한 그리움을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글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는 점이 시적 진술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시의 전반부에서는 밤하늘의 별을 보며 유년 시절을 회상하고 여러 상념에 젖어드는 심정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후반부에서는 현실적인 고뇌와 함께 자아 성찰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부분적으로 산문적인 리듬을 구사하여 호흡의 변화를 가져오게 만드는 새로운 시도도 보여준다.
이 시의 텍스트는 산문적인 진술로 이루어져 있는 5연을 경계로 하여 1~5연의 전반부와 6~10연의 후반부로 시상의 흐름을 구분해볼 수 있다. 윤동주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하늘과 별이라는 소재는 이 시에서도 마찬가지로 스스로를 돌아보는 성찰적 공간과 순수한 이상에의 동경을 표현하고 있으며,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819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