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연극사/연극.희극론/연극비평
· ISBN : 9791130821948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4-12-05
책 소개
목차
■ 책머리에
■ 서론 : 프로극의 발생으로부터 21세기 현황까지
제1부 분단 이전의 프롤레타리아 연극
제1장 프롤레타리아 연극의 출발
제2장 해방 직후의 프로연극운동
제2부 분단 초기의 북한 연극
제3장 희곡으로 본 분단 초기 북한의 실상
제4장 분단 직후 북한의 연극
제5장 한국전쟁과 연극의 변화
제3부 김일성 우상화 수단으로서의 연극
제6장 1970년대 연극의 혁명
제7장 혁명가극 시대의 개막
제8장 연극예술 시책과 드라마투르기
제9장 <성황당>식 연극 방식의 새로운 시도
제4부 급변하는 정세 속 북한 연극의 과제
제10장 1990년대의 정치적 급변과 주체연극의 행로
제11장 21세기의 북한 연극
■ 결론 북한 연극은 회복할 수 있을 것인가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남북한을 통틀어서 2024년 가을에 드디어 남한 쪽에서 오랜만에 북한 연극 통사가 출간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 책이 나오는 데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왜냐하면 어느 분야든 역사 서술에는 풍부한 사료가 기본이고 저자는 자유로운 환경에서 사실을 기술할 수가 있어야 하는데, 지난 시절 남북한 양측 모두는 그 두 가지를 충족할 수 없는 악환경에 처해 있었기 때문이다. 우선 당사국인 북한에서 건국 80년이 가까워 오는데도 제대로 된 연극사가 나올 수가 없었던 것은 아무래도 역사 서술의 두 가지 기본 조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서일 것 같다.
한편 남한에서도 남북의 경직된 대치 상황에서 1980년대 중반까지는 북한 서적만 소지해도 불온문서로 취급되어 엄한 법에 저촉되었기 때문에 북한 연구는 생각도 못 했었다. 그런데 단 한 번 1970년대 중반에 정부의 지원을 받는 사단법인 북한연구소(소장 김창순)가 각 분야 학자들을 동원, 처음으로 북한의 전 분야 연구를 시도함으로써 북한정치론, 북한경제론, 북한국방론, 북한외교론, 북한문화론 등의 책자를 처음 발간한 적이 있었다. 그때 필자는 공연예술에 관한 테마를 의뢰받아서 「북한의 무대예술」이란 논문을 발표하여 북한 연극 연구의 단초를 제시했었다. 그로부터 10여 년이 흐른 뒤에 남한은 개방사회가 되어 북한의 사료들을 자유롭게 관람하고 연구도 할 수가 있게 되었다. 필자는 북한 연극사를 쓰기에는 좀 더 시간이 지나가야 한다는 생각으로 기다리고 있다가 2000년대 들어서 조금씩 자료를 모으기 시작했고, 곧바로 본격 작업에 들어가 장장 5년여 만에 드디어 집필을 완료케 되었다. (중략)
이처럼 몸이 망가지면서까지 나는 학자로서 객관적으로 보려고 노력했지만 결과는 너무나 허망했다. 왜냐하면 저들의 연극 행위란 결국 극장국가(劇場國家)인 북한이라는 극장 안에서 김일성이 쓴 희곡들로 김정일이 연출한 작품을, 동원된 인민 2천만이 관람하는 것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가령 혁명가극이니 <성황당>식 혁명연극 같은 것이 그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따라서 북한 연극사라는 것도 압축해 보면 김일성 원작, 김정일 총연출의 70여 년 공연사라고 규정해도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바로 그 점에서 북한에서 하고 있는 이러한 연극 행위가 과연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 ‘책머리에’ 중에서
이 시기 김일성이 ‘모든 것을 전후 인민경제 복구에로’라고 제창했듯이 모든 정치·사회·문화의 역량을 폐허화된 경제의 복구에 집중하면서 그 선전선동의 도구라 할 공연예술 기반 조성에 나섰다. 전쟁으로 파괴된 공연장과 영화관을 복구 수리하고, 작가들에게 복구건설 투쟁에 궐기한 선진적 노동계급을 형상화하도록 권유했으며, 작품의 테마는 6·25전쟁 미화와 대외적으로 소련 및 중공과의 친선을 선전하는 한편, 소위 미제의 만행을 규탄한다는 내용들로 꾸미도록 했다. 또한 이 시기에는 교조주의적 문예사조의 경향을 제거하는 데 주력하였고 전쟁으로 인한 민생고와 경제위기의 불평 불만을 무마하기 위하여 사상 교양에 중점을 두고 김일성 우상화에 적극적인 박차를 가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