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37246867
· 쪽수 : 323쪽
· 출판일 : 2021-06-02
목차
이분법을 넘어선 마음의 힘을 말하다
(유남고전인문학당 대표 김광민) 5
우리 삶을 돌아보게 하는 헬조선의 탄식
(디에스 아이 코리아 대표이사 이준원) 8
일체가 마음에서 일어나는 이치의 자각
(한국 자치학회 회장 전상직) 11
○ 주역(周易) 구덕(九德) 삼진괘(三陳卦) 및 화엄경 십지품(十地品)에 의존한 우리 삶의 변화 과정 고찰도 14
○ 근심을 항상 붙들고 사는 사람을 위하여 17
○ 상징을 통한 옛사람들의 지혜 27
? 일심(一心) 이문(二門) 삼대(三大) 31
○ 실체가 없는 마음의 작용으로 세상 이해하기 34
○ 여합포지목(如合抱之木) 마치 한 아름의 나무라도 40
① 마음공부의 출발점 44
② 상호 의존적인 수의 원리와 실체가 없는 마음의 작용 무(無) 51
○ 상호 의존적인 수의 원리와 주역의 십진법 58
③ 삶이 괴로워지는 이유 62
④ 마음에 실체가 없다는 말의 거듭된 뜻 65
⑤ 고전에서 다루고 있는 도의 개념 69
⑥ 세상을 바라보는 우리 마음의 올바른 눈 73
⑦ 왜 사물의 본질이어야 하나 76
⑧ 마음이 따뜻해지는 세상살이의 지혜 78
⑨ 비어서 실체가 없는 마음의 지향점 86
⑩ 산은 산 물은 물 91
⑪ 불편한 마음에 대처하는 지혜 94
⑫ 마음의 눈이 불러오는 변화 99
⑬ 주역을 통한 마음의 이해 102
⑭ 자기에게 돌아오는 자기 마음에 대한 믿음 111
⑮ 짝으로 생겨나는 세상의 이치 무(無) 117
? 유무(有無)의 실체에 자기 마음을 가두지 않는 지혜 119
○ 실체가 없는 마음의 묘한 작용이 지닌 양면성 공(空)과 보살의 원력 121
? 시비를 넘어선 실체가 없는 마음의 덕스러움 123
○ 실체론적인 역사관의 폐단 125
무(無)에서 보아야 하는 생명 자체의 덕스러움 131
마음의 신비로움에 눈뜨지 못한 세상살이의 폐단 135
○ 평온함과 불편함이 생겨나는 통로 자기 마음의 틀 136
부정적인 안목을 털어내는 삶의 근본 지혜 139
마음의 신비로운 작용에 대한 언어적인 접근 148
실체가 없는 마음의 움직임과 유심론(唯心論) 153
자기 마음의 힘을 믿는 구체적인 방법 157
분별을 넘어선 마음의 신비로운 작용 164
○ 신비로운 마음의 자각을 통한 삶의 평온 165
평안함을 추구하는 주체와 실체가 없는 마음의 모순 169
맹자가 일깨워준 실체가 없는 마음의 활용법 172
마음의 작용에서 느껴야 하는 하늘의 신비로운 힘 176
점에 대한 거부감과 우리 마음의 신비 180
○ 삶의 이치를 망각한 장자의 부끄러움 184
두 길로 가지 않는 우리의 마음 187
○ 탄산의 방하착과 실체가 없는 우리 마음의 자각 189
마음의 작용에서는 성스러움도 하나의 허상일 뿐 199
○ 깨달음을 추구하는 기초 실체가 없는 마음의 이치 202
오직 마음에서 일어나는 세상 이치의 신비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208
○ 실체론적인 함정 석가모니의 제식이환(齊識而還) 209
본래 성스러운 우리 마음의 작용 217
○ 상대적인 개념에 의존한 언어의 속성과 불교의 연기설 219
따뜻한 삶을 위한 신비로운 마음의 자각 224
○ 마음의 신비로움에 접근하는 이론적인 통로 공성상(空性相) 226
실체가 없는 마음의 작용과 기도 및 수행의 의미 237
옛 시대의 단계별 교육 과정과 해당 텍스트 240
○ 어린 시절의 입문서 소학 240
○ 사람의 생각을 커나가게 하는 큰 사람의 학문 대학(大學) 241
○ 대학의 의미 체계 삼강(三綱)과 8조목(條目) 242
○ 마음공부를 위한 지식인의 텍스트 중용(中庸) 243
○ 주역의 이치에 바탕을 둔 맹자(孟子)의 정치관 245
○ 어록으로 편찬된 세상살이의 본보기 논어(論語) 248
○ 사특함이 없는 마음을 위한 노래 시경(詩經) 249
○ 이상 사회를 위한 정치이데올로기 서경(書經) 249
○ 주역으로 배우는 세상살이의 기준 하늘과 땅의 덕 250
○ 하늘과 땅의 덕을 압축한 주역의 철학적인 기초 개념 성(誠)과 경(敬) 251
○ 세상 이데올로기의 핵심 하늘의 신비한 덕 252
관념을 넘어선 마음의 신비로운 힘 256
마음의 힘에 기댄 기신론의 실천법 정법훈습(淨法薰習) 262
일상을 변화시키는 힘 마음의 신비 265
○ 우리 안에 본래 갖추어진 세상 이치의 성스러움 266
평온한 삶을 살기 위한 세상살이의 좌표 마음 자체의 덕스러운 힘 274
○ 할 수 있는 일과 해야만 하는 일 275
조울증 따위의 불편함까지도 극복하게 하는 마음의 묘한 작용 279
○ 마음의 진정한 평온, 우리 삶의 본질 280
실체가 없기에 허용되는 세상의 다양한 분별심 282
그 어떤 흔적도 허공에 남기지 않는 새의 날개짓 285
본래 실체가 없는 언어의 개념 287
존재론적인 사고를 넘어선 무(無) 혹은 공(空)의 개념 자각하기 289
실체론적인 사고에 갇힌 마음의 분별에 속지 말아야 291
마음을 가두는 함정, 나와 내 것의 실체론 293
실체가 없는 마음의 작용과 강물 속의 달 295
궁극적인 지향점마저 넘어선 마음의 신비로운 힘 297
실체가 없다는 사실 자체의 신비로움 301
? 마음의 원리 아홉 단계 304
1. 빛과 소리 등의 바깥 사물이 자신을 지배하는 단계 304
2. 빛과 소리 등의 바깥 사물로 인한 자신의 번뇌를 자각하는 단계 309
3. 자신의 번뇌가 자신을 짓누르는 단계 309
4. 삶의 번뇌로부터 놓여날 필요성을 인식하는 단계 310
5. 번뇌의 실체에 관심을 가지는 단계 311
6. 번뇌 자체가 실체가 없음을 자각하는 단계 311
7. 대상을 부정하면서 대상 자체의 본질을 자각하는 단계 313
8. 대상 자체가 그대로 삶의 본질임을 자각하는 단계 314
9. 자기 자신을 포함한 세상 자체가 삶의 본질임을 자각하면서 삶의 본질이 자기 자신을 이끌어주는 단계 315
? 마음의 움직임을 도표로 구체화 시킨 십체(十體) 구용도(九用圖)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