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41607883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4-11-15
책 소개
목차
서문
정체성, 정치 그리고 정체성 정치
-비극은 무한히 반복된다
-즉각적 분노보다 더 중요한 일
-완벽히 안전한 공간이라는 환상
-이것이 백인성이 작동하는 방식이다
-희망에 반하는 사건
-프라이드 축제에 경찰은 필요 없다
-SNS 속 사람들이 끔찍한 이유
-스포티파이 보이콧
-임신중지, 맹렬히 지켜야 할 권리
-예의 없는 자들의 예의 타령
시민의 의무와 책임
-우리에게도 화낼 자격이 있다
-머리와 가슴으로 하는 투표
-지금 우리는 벼랑 끝에 서 있다
-아무도 우리를 구하러 오지 않는다
-환멸 나시죠? 그래도 투표하세요
-기억하라, 아무도 우리를 구하러 오지 않는다
-이젠 스스로를 구해야 한다
-산산이 부서졌다, 이제 싸울 준비가 됐다
흑인의 생명은 당연히 중요하다
-이제 용서는 신물이 난다
-우리의 취약한 몸에 관하여
-죽은 사자를 위한 눈물
-흑인 아이들이 직면한 위험
-흑인의 죽음이 일상이 된 사회
-기념비와 문화적 기억
-세상은 흑인더러 위축되라고 한다
-초인종을 잘못 누르면 살해당할 수도 있다
친애하는 남자 동료들
-아버지에게도 취향이라는 게 있다
-나쁜 남자가 만든 좋은 작품, 거부한다
-남성들이여, ‘유투’입니다
-제멋대로 복귀하는 특권
-남자들이 이보다는 잘할 줄 알았지
-잔인할 정도로 솔직한 헛소리
-농담을 받아줄 필요가 없다
보고 읽고 질문하라
-엄청난 분노, 엄청난 질주
-보잘것없고 하찮은: 미첼 잭슨, 『잔여의 세월』(2013)
-해변이 짜증나는 이유
-피 흘리는 산문들: 메건 다움, 『말할 수 없는 것』(2014)
-결혼이라는 굴레: 제니 오필, 『사색의 부서』(2014)
-음식 방송의 가학적 즐거움
-공개 구혼이 로맨틱할 수 있을까
-차이와 공감: 조이스 캐럴 오츠, 『희생』(2015)
-코카인이 목소리를 얻다: 제임스 해너햄, 『딜리셔스 푸드』(2015)
-오스카, 백인이 너무 많다
-상상 속 흑인의 삶: 조디 피코, 『작지만 위대한 일들』(2016)
-노예제 팬픽션은 관심 없다
-『앵무새 죽이기』가 왜 중요하다는 걸까: 톰 샌토피에트로, 『‘앵무새 죽이기’가 왜 중요한가』(2018)
-문제 많은 예술가의 문제적 작품
-〈로잰〉 리부트의 참을 수 없는 점
-프로그램 종영이 완벽한 해답은 아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게으르고 모욕적인
-토니 모리슨의 유산
-흑인 히어로를 기리는 방법
-미술품 수집과의 낯선 조우
남 일에 참견하기
-마돈나, 그의 봄이 기지개를 켜다
-찰리 허넘, 올 것이 왔다
-니키 미나즈, 비트의 주인
-멀리나 맷수커스, 두려움 모르는 시선
-저넬 모네이, 거절은 나의 무기
-세라 폴슨, 겁 없는 예술가
-테사 톰프슨, 변화를 만드는 능력
-조던 캐스틸, 기대와 만족 사이
-패멀라 앤더슨, 마침내 자신을 드러내다
록산에게 물어보세요
-일은 중요하죠,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아닙니다
-꿈을 펼치기에 너무 늦은 걸까요
-화는 엄청 나는데 사회운동에 나서긴 어려워요
-내 삶에도 평생의 사랑이 있을까요
감사의 말
옮긴이의 글: 구원 없는 세계에서 의견 쓰기, 그리고 응답하기
리뷰
책속에서
의견을 표하는 사람들 중에는 소속이나 신념에 관계없이 모두가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존중하던 ‘좋았던 옛 시절’의 담론장을 그리워하며 오늘날을 개탄하는 이들도 있다. 그런데 여성이나 유색인이나 성소수자나 주변부에 존재하는 이들에게도 그런 시절이 있었던가, 나는 잘 모르겠다. 「서문」
우리는 어린 시절 겪은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 온전히 사랑하고 사랑받을 수 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 각자 부단히 노력해왔다. 그토록 어린 나이에, 기댈 곳 하나 없이 우리 의지에 반하는 임신을 했다면 우리가 나누는 이 삶은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가 함께 꾸린 이 삶은 정치적인 것이 아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의 삶과 우리의 몸은 여전히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어떤 식으로든 언제나 그래왔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우리가 자유롭다는 말인가? 대체 우리 중 어느 누가 자유로울 수 있는가? 「임신중지, 맹렬히 지켜야 할 권리」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는 말을 들었을 때, 한 선언이 다른 것을 부정하는 것인 양 “모든 목숨은 소중하다”는 말을 반사적으로 내뱉지 마라. 대신 유색인이 왜 자신들의 삶도 가치 있음을 세상에 상기시킬 수밖에 없는지 이해해보려고 노력하라. 「죽은 사자를 위한 눈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