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관상/수상
· ISBN : 9791141965242
· 쪽수 : 655쪽
· 출판일 : 2024-11-20
목차
목차
들어가면서... 15
마의상법에서 가져온 구절 : 신을 논하다(論神) 21
마의상법에서 가져온 구절 : 기를 논하다(論氣) 25
마의상법에서 가져온 구절 : 목소리를 논하다(論聲) 31
상권(上卷)
태아 영아 청소년 편
제1장 태아의 귀천을 미리 알다(未出腹預知貴賤) 41
제2장 복중 태아의 상태를 미리 알다(在腹先知男女) 46
제3장 임신 기일의 문제를 가정하다(臨盆可定曰期) 47
제4장 갓난아이의 관상을 보기는 어렵지만(莫道嬰兒難相),
엄마 뱃속에서 나온 다음에 일생을 어떻게 보낼지는 알 수 있다(一生出腹可知) 52
제5장 세 가지를 말할 수 있으면, 일생을 안다(三曰知一生) 65
제6장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三歲定八十) 67
제7장 관상을 볼 때 비법이 없다고들 말하나,
이는 함부로 할 말이 아니다(相有訣法不可亂言) 71
제8장 사람의 관상을 볼 때(人從少長), 아동기를 먼저 본다(先觀童相爲先) 71
제9장 영아와 아동에 관한 한 가지 이론(嬰兒童子各有一說) 78
제10장 처녀와 여자아이는 상법이 다르다(閨女童女, 另有一相) 78
제11장 먼저 삼악을 말하는 이유(先言三嶽) 82
제12장 다음으로 오관을 본다(次看五官) 85
제13장 관상에서 100%의 인지는 어렵다(不可認真) 86
제14장 선가의 상법은 안목이 중요하다(相乃仙傳, 要人眼力) 87
제15장 고대 관상책이 너무 많다(古相多般) 87
제16장 소아의 관상을 읽다(小兒頂平, 眉重皮寬可言好養) 89
제17장 소녀의 관상을 읽다(少女髮黑暗長, 耳正可許貴人) 90
제18장 남상과 여상의 성숙을 말하다(男相十六可成, 女相十四可定) 92
제19장 오행의 귀천과 생극을 말하다(五行貴賤難逃生克之中) 95
제20장 번영과 쇠락의 득실을 논하다(榮枯得失) 102
부귀빈천 수요득실 사계추단 편
제21장 부귀와 빈천을 말하다(富貴貧賤) 105
제22장 장수와 요절의 득실을 묻는다(壽夭得失) 113
제23장 사람은 천지와 같다(人同天地) 124
제24장 사계를 관상으로 추론해보자(四季推斷) 126
제25장 오악과 오관을 분별해서 성패를 말한다(先分五嶽五官或成或敗) 129
제26장 오성의 이론(五星說) 130
제27장 귀는 채청관을 만든다(耳爲采聽官) 133
제28장 눈썹은 보수관을 만든다(眉爲保壽官) 135
제29장 눈은 감찰관이다(眼爲監察官) 137
제30장 코는 심판관이다(鼻爲審判官) 138
제31장 입은 출납관이다(口爲出納官) 141
제32장 귀는 금목이라는 두 개의 오성으로 표시된다(耳爲金木二星) 143
제33장 입은 수성으로 표시된다(口爲水星) 144
제34장 이마는 화성으로 표시된다(額爲火星) 145
제35장 코는 토성으로 표시된다(鼻爲土星) 147
제36장 육요의 자기를 말하다(紫氣) 148
제37장 두 번째 육요인 월패를 말하다(二月孛曜) 149
제38장 육요인 삼라사계를 말하다(三羅四計) 150
제39장 태양 태음의 오요와 육요를 말하다(五六日月曜) 151
정신기혈(精神氣血) 편
제40장 남자는 정신이고, 여자는 혈기이다(男以精神當貴, 女以血氣榮華) 153
제41장 유장이 영락 황제의 건곤부에 가다(柳莊進永樂乾坤賦) 164
제42장 육양의 으뜸인 두상은 하늘의 상과 부합한다(頭爲六陽魁首, 像合與天) 173
제43장 눈은 정화이고(眼爲日月精華), 수려한 기를 품는다(稟一身秀氣) 177
제44장 귀는 정신과 위세를 만든다(耳爲豐神精彩,助一面威儀) 179
제45장 눈썹은 보수관이므로, 고저를 살펴야 한다(眉爲保壽, 不可不察高低) 181
제46장 코는 대들보이고(鼻同梁柱), 얼굴의 근본이다(爲一面之根本) 183
제47장 입은 대해라서(口爲大海), 많은 강물을 받는다(容納百道之流) 185
제48장 목은 모든 순환계의 통로인 백도이다(項爲百道) 186
제49장 등은 음양 삼도와 부합해야 한다(背合陰陽, 三道不可不定平高) 190
제50장 가슴을 말하다(乳爲後裔根苗, 最宜黑大方圓堅硬) 194
제51장 배와 배꼽을 말하다(臍腹, 內包五髒外開口) 196
제52장 둔부는 흥망을 말한다(臀乃後成, 可見興廢) 203
제53장 사지를 말하다(股肱一身根本, 四肢規模) 207
제54장 손은 온몸의 핏줄이다(手爲一身之苗, 萬般之說) 209
제55장 발을 말하다(足載一身, 不可不厚不方) 215
제56장 모발을 말하다(髮秉血餘, 乃山林草木) 217
제57장 지는 산봉우리처럼 높아야 한다(痣若山峰, 不可不高) 219
제58장 호(毫)를 말하다(毛毫各別, 另有分辨) 222
제59장 뼈는 금석을 보관하는 곳이다(骨乃金石, 不可不堅不正) 224
제60장 살은 피부에 자양분을 공급하는 땅이다(肉爲皮土, 不可不實不盈) 226
제61장 인중을 말하다(溝洫又云人中, 最要深長) 227
제62장 단수를 말하다(丹須(鬚)一面爲華表, 乃丹田元氣) 230
제63장 침골을 말하다(枕骨可全福祿壽, 但喜雙不喜單) 234
제64장 원문 공백(빠져있음)
제65장 목소리를 말하다(聲音合雷霆, 宜響宜清) 244
제66장 성 기관을 말하다(陰囊玉莖, 乃性命之根本) 246
제67장 항문을 말하다(穀道乃五髒之後關) 248
제68장 허리를 말하다(腰乃腎命二穴, 一身報本) 250
제69장 하정을 말하다(腿膝乃下停, 賢愚可定) 252
제70장 혈액을 말하다(血有滯濁明旺, 可定富貴壽年) 254
제71장 반점을 말하다(斑有黑, 黃, 大, 小) 255
제72장 인생을 총괄해서 살펴보다(總括人生, 連論滿庭芳) 257
제73장 12궁을 말하다(十二宮) 263
귀상(貴相) 흉상(凶相) 편
제74장 18가지의 상귀를 말하다(十八上貴, 卦印封侯) 289
제75장 18가지의 중귀를 말하다(十八中貴, 清高要職) 291
제76장 18가지의 하귀를 말하다(十八下貴, 繼職榮貴) 293
제77장 여인의 72가지 천한 관상(女人有七十二賤, 若犯一件, 必有私淫) 295
제78장 여인의 36가지 상극 관상(女人有三十六刑傷) 300
제79장 여인의 24가지 외로운 관상(女人有二十四孤) 302
제80장 여성의 7가지 현명한 관상(女有七賢) 304
제81장 여성이 보유한 4가지 덕성(女有四德) 305
제82장 여인에게 장수와 요절의 조건(女人有壽有夭) 306
제83장 남자가 보유한 51가지 고독한 관상(男有五十一孤) 307
제84장 남자의 10가지 상극 관상(男有十克之格) 311
제85장 부인을 상극하는 10가지 관상(十件刑妻之格) 312
제86장 건통득실은 운을 따라서 흐른다(蹇通得失運周流) 313
제87장 병난곤영은 일상이다(病難困榮,一身常有) 314
제88장 재난은 모두 기색에서 기인한다(論古聖人, 遭難者皆有一色) 316
행동 관상 편
제89장 행동에서 부귀와 빈천을 논하다(論行富貴貧賤) 319
제90장 앉은 자세에서 부귀와 빈천을 논하다(論坐富貴貧賤) 320
제91장 누운 자세에서 부귀와 빈천을 논하다(論臥富貴貧賤) 321
제92장 식습관에서 부귀와 빈천을 논하다(論食富貴貧賤) 323
제93장 언어에서 부귀와 빈천을 논하다(論語富貴貧賤) 324
제94장 웃음에서 부귀와 빈천을 논하다(論笑富貴貧賤) 325
제95장 5가지 체형인의 이론을 논하다(論形說) 326
중권(中卷)
영락 황제 백문(永樂百問) 편
영락 황제와 백문백답하다(永樂百問) 341
하권(下卷)
오행 사시 사계절 편
제1장 오행상설(五行象說) 455
제2장 사시기색(四時氣色) 459
제3장 춘하추동(春夏秋冬) 468
제4장 분월론(分月論) 475
제5장 총론(總論) 491
기색(氣色) 편
제1장 손바닥의 기색 총론(手掌氣色總論) 493
제2장 기와 색의 이론(氣, 色之論) 498
제3장 기색분해(氣色分解) 518
제4장 여러 가지 길흉의 기색을 예로 본다(諸吉凶氣色例) 565
비전구결(秘傳口訣) 편
비전구결(秘傳口訣) 621
인당삼표(印堂三表) 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