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과 인

역과 인

(대산 김석진 선생 미수기념집)

김석진 (지은이), 대산선생미수기념집간행위원회 (엮은이)
여름언덕
6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과 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과 인 (대산 김석진 선생 미수기념집)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55100363
· 쪽수 : 800쪽
· 출판일 : 2015-10-24

책 소개

동양사상가 대산 김석진 선생의 미수를 기념해 '역과 인'을 주제로 출간한 기념 문집이다. 대산의 기념강론과 대산선생미수기념집간행위원회의 특별기고, 기념논문, 시, 수필 등이 담겨 있다.

목차

축하합니다
大山 선생님 미수기념집 출간을 기념하여 ·이이화(역사학자)
선생님의 사상은 우리 삶의 지표입니다 ·안희정(충청남도지사)
書 ·김양동
刻 ‘號神發’ ·이형우

米壽所懷

刊行辭

기념강론
세월 속에서 괘를 찾다-60甲子 作卦法 ·大山

특별기고
어떻게 살 것인가?-너와 나의 공존 윤리 ·서영훈
大山 선생님과 이이화의 만남 ·이이화
『周易』의 고고학적 자료에 대하여 ·김양동
易理로 본 중국 여성 인권회복운동 ·이양자
단군학과 한국정치학-근대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임형진
보조 지눌이 제시한 ‘마음’의 문제 ·김방룡

기념논문
無窮太極의 홍역학적 조명-구궁의 중천교역과 팔괘의 선후 변화 ·이응문
야산·대산의 맥으로 이어지는 ‘鼓之舞之以盡神’ ·이애주
『주역』과 동학의 개벽사상 小考 ·이찬구
易의 時中思想 연구 ·윤상철
『程傳』의 사상수 문제-八則陽生에 대한 한국 역학자의 비판과 관련하여 ·최정준
산속에 부는 바람-高僧들의 以易說佛 探察 ·장봉혁
단군조선의 정치사상-洪範九疇 ·노태구
다산 정약용의 鄭玄 역학 비판 ·이난숙
相補的 易學의 관점에서 본 成以心의 『人易』에 대한 硏究 ·허경란
태극의 원리를 적용한 문학·논술·토론 교육방법의 제안-훈민정음 창제 원리와 3·8木 상균 정신의 교육적 적용 방안을 중심으로 ·남중
現代科學의 格物致知 ·이우붕
律呂의 隔八相生法에 관한 『周易』의 상징성 연구 ·정해임

시·수필
『周易』의 香氣 속에 스승님과의 因緣 ·박명옥
師弟之情 ·김풍기
大過時代의 獨立不懼 ·이응국
선생님을 모신 나의 학회 생활 ·주세영
無思無爲 ·변경섭
曲阜에 피어오른 스승님의 『周易』 향기 ·황창배
허허참, 천화동인이라 ·조주행
제주에 꽃피는 『주역』 ·변상용
물둠벙에서 비룡봉까지-신미년 신명행사 회상기 ·박서호
총각선생님 따라온 지 59년 ·리길효
學不厭敎不倦의 사표 ·이정희
형사재판과 『주역』의 4대 형벌괘 ·김병운
혼인 사진과 호송시 ·김홍석
정성을 다해야 복을 받는 겨? ·김태국
백두산 천지에서의 산택통기 ·박영록
박달나무와 외(오이)의 만남 ·문금자
사심 없는 소원 ·김순학
무슨 일로 오셨습니까 ·고동완
『주역』의 인연으로 결혼까지 한 사연 ·박범석
어느 개구쟁이의 『주역』 공부 ·김동섭
『大學』 三綱領 再思 ·이용림
우주의 기운이 느껴지는 『주역』 ·유윤정
『주역』으로 읽은 2002 월드컵-나의 大山 『주역』 강의 청강록 ·임채우

연보·저술·화보

저자소개

김석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산선생은 1928년 논산에서 출생하여 6세때부터 조부 청하(淸下) 선생으로부터 천자문을 비롯한 사자소학·통감 등을 배우고, 15세에 논산군 가야곡 심상소학교를 졸업한 후 다시 청하 선생에게 사서를 배웠다. 19세부터 13년간 야산(也山)선생 문하에서 주역·시경·서경 등을 수학하였다. 31세부터 논산 및 부여에서 서당을 개설하고 후학을 양성, 45세부터 대전에서 홍륜학교 한문강사, 양정학원 원장을 지냈다. 58세부터 서울 흥사단의 주역강의를 시작으로 대전·청주·제주·인천·춘천 등지에서 강의하였다. 저서로는 『周易과 世界, 周易傳義大全譯解(상/하), 大山周易講解, 미래를 여는 周易, 名과 號頌, 역수와 호송, 대산주역점해, 대산대학강의, 대산중용강의, 가정의례와 생활역학, 스승의 길 주역의 길, 대산석과, 우리의 미래, 대산의 천부경, 대산천자문 강의, 대산 계몽 명심보강 강설』등이 있다. 2011년 2월에 동방대학원대학교에서 명예철학박사를 받았다. 2023년 2월 향년 9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펼치기
대산선생미수기념집간행위원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역과 인> 저자
펼치기

책속에서

■ 미수소회米壽所懷

사람이 세상에 나오면 흐르는 세월과 더불어 나이를 먹으며 산다. 그러니까 ‘甲午年 乙未年’ 하는 세월 따라 한 살 두 살 나이를 꼽는 것이다. 나도 이렇게 살아오다 보니 88이라는 나이가 되었다. 이 88세를 米壽라고 한다. 米 자에 八十八이라는 數가 들어 있다.

원래 이 쌀 米 자는 벼를 심어 쌀이 되기까지 88일이 걸리기 때문에 만들어진 글자이다. 그렇다면 내 인생이 고령화 덕으로 그저 공으로 먹은 米壽이지 벼농사에 쌀이 되듯 내 인생 농사는 쌀은 고사하고 쭉정이도 못 된다. 부끄럽기만 한 미수이다. 그런데 이 못난 자를 위해 미수 기념집을 낸다고 하니 참으로 크게 고맙고, 염치없을 따름이다.

나 또한 글을 쓰라고 하여 천박하지만 안 쓸 수 없어 쓰는데 배운 것은 易이고 歲月 속에 易(卦)이 있기에 또 米壽가 세월과 연관이 있어 세월인 60甲子 作卦法을 생각나는 대로 기입한다. 쌀(옥고)에 뉘(천문)가 되지 않을까 싶다.

9월 17일 반석서실에서
大山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