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르크스 캐피탈 리딩 인트로

마르크스 캐피탈 리딩 인트로

(마르크스 자본 읽기 시작 책)

에르네스트 만델 (지은이), 류현 (옮긴이)
이매진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르크스 캐피탈 리딩 인트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르크스 캐피탈 리딩 인트로 (마르크스 자본 읽기 시작 책)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마르크스주의
· ISBN : 9791155311080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9-09-09

책 소개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에르네스트 만델이 펭귄출판사에서 낸 영어판 《자본》에 각각 쓴 ‘서문’을 묶어 전세계 최초로 출간한 책이다. 각 권의 저술 계획과 구성, 핵심 내용은 물론 ‘재생산 도식’이나 ‘전형 문제’를 비롯해 《자본》이 출간된 뒤 마르크스주의 진영과 비마르크스주의 진영 사이에서 논쟁이 된 쟁점들을 꼼꼼히 살핀다.

목차

제1권_ 자본의 생산 과정
1. 《자본》의 저술 목적
2. 《자본》의 연구 방법
3. 《자본》의 집필 계획
4. 《자본》 제1권에 관한 계획
5. 마르크스주의적 노동가치 이론
6. 마르크스의 주요 발견 ― 잉여가치 이론
7. 마르크스의 자본 이론
8. 마르크스의 자본축적론
9. 마르크스의 임금론
10. 마르크스의 화폐론
11. 《자본》과 자본주의의 운명

제2권_ 자본의 유통 과정
1. 《자본》 제2권이 마르크스의 자본주의에 관한 일반적 분석에서 차지하는 위상
2. 자본의 세 가지 형태
3. 마르크스의 경제 이론에서 자본 회전의 이중적 측면
4. 마르크스의 재생산 도식들이 지니는 중요성
5. 재생산 도식들의 적용과 남용
6.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
7. 비생산적 노동자들은 프롤레타리아트에 속하는가
8. 사치재 생산, 잉여가치, 자본의 축적
9. 상업 자본과 금융 자본은 어떻게 사회적 잉여가치의 분배에 참여하는가
10. 마르크스의 재생산 도식들에 관한 룩셈부르크의 비판
11. 《자본》 제2권과 자본주의적 과잉 생산 공황에 관한 마르크스의 설명
12. 화폐 유통, 화폐 자본과 화폐 퇴장
13. 성장과 공황

제3권_ 자본주의적 생산의 총 과정
1. 《자본》 제3권의 저술 계획
2. 이윤율 균등화
3. 전형 문제 ― 환류 논쟁
4. 전형 문제 ― 화폐 혼동
5. 이윤율 저하 논쟁
6. 마르크스주의의 공황론
7. 신용과 이자율
8. 마르크스의 잉여이윤론
9. 자본주의적 농업의 특수성
10. 체제로서 자본주의와 계급으로서 부르주아지
11. 자본주의의 운명

옮긴이 후기
참고 자료
찾아보기

저자소개

에르네스트 만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난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이자 트로츠키주의 활동가다. 폴란드계 유대인인 만델의 부모는 로자 룩셈부르크와 카를 리프크네히트가 이끈 스파르타쿠스단에서 활동했다. 2차 대전 때 저항 운동에 참여하면서 나치의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기도 했다. 전쟁이 끝난 뒤 벨기에의 트로츠키주의자들을 이끄는 지도자가 됐고, 이어 제4인터내셔녈 지도부에 뽑혔다. 사회민주주의 등 개혁주의적 마르크스주의에 반대하면서 정통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자 실천가의 삶을 살았다. 《마르크스주의 경제 이론(Traite d’economie marxiste)》(1968), 《후기자본주의(Der Spatkapitalismus)》(1972), 《자본주의적 발전의 장기 파동들(Long Waves of Capitalist Development)》(1978) 등을 썼다.
펼치기
류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정치학을 전공하고 국제개발협력과 남북교류협력 분야에 종사했다. 옮긴 책으로 《페리클레스》 《마르크스 캐피탈 리딩 인트로》 《육식의 성정치》 《체 게바라, 혁명의 경제학》 《빈곤의 경제학》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867년 《자본》 제1권이 처음 출간된 때 자본주의적 산업은, 비록 서유럽 일부 국가에서 두드러지기는 했지만, 유럽 전역은 물론이고 전세계를 뒤덮고 있던 자영농과 수공업자들의 바다에 둘러싸인 고립된 섬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카를 마르크스는 《자본》에서 무엇보다 사적 이윤을 위한 생산과 이런 이윤을 자본 축적을 위해 사용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을 향한 가차없고 거부할 수 없는 충동을 밝혀냈다. 마르크스가 《자본》을 저술한 뒤 자본주의적 기술과 산업은 전세계로 뻗어 나갔다. 더구나 이런 기술과 산업이 전세계로 확산하면서 물질적 부와 인류가 무의미하고, 반복적이고, 기계적인 일의 부담에서 확실히 해방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아지기는 했지만, 반면 사회는 극소수 자본 소유자와 자기의 노동력을 이 자본가들에게 판매하도록 강요당하는 다수의 육체노동자와 정신노동자로 양극화됐다. 그리고 부와 권력이 소수의 대규모 산업과 금융 기업에 집중되면서 자본과 노동 사이의 대립이 점차 보편적이 됐다.


《자본》은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이 기본적으로 다음 세 가지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첫째, 생산자 대중은 경제적 의미에서 생산 수단의 소유자가 아니며 자기의 노동력을 생산 수단의 소유자에게 판매해야 한다. 둘째, 이런 생산 수단의 소유자들은 상품 판매 시장을 점유하고, 이윤이 되는 자본 투자 영역을 선점하고, 원자재 확보를 위해 서로 경쟁하는 각 기업으로 조직화된다(곧 경제적 의미에서 사적 소유 제도). 셋째, 따라서 이런 생산 수단의 소유자들(각 기업들)이 더 많은 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생산자들에게서 잉여가치를 최대한 착취할 수밖에 없으며, 이런 사실은 일반화한 상품 생산과 일반화한 소외 상황에서 노동의 기계화, 자본의 집적과 집중, 자본의 유기적 구성의 증대, 이윤율 저하 경향, 주기적인 과잉 생산 위기를 초래한다. 이런 사실을 기준으로 삼아서 보면 서구 사회가 여전히 자본주의 사회이고, 임노동자 계급과 자본가 계급이 여전히 사회의 적대적인 두 계급이고, 자본 축적이 기본 성장 동력이고, 사적 이윤의 착취와 실현이 개별 기업의 기본 정책을 지배한다는 사실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자본》 제2권에서 우리는 노동자들이 생산한 잉여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상품들이 공장 밖을 나와 이동하는 여정을 따라간다. 성장이 ‘나선 모양’을 띠며 폭발적으로, 진정한 쇄도의 형태로 발전한다. 상품을 그 가치대로 판매해야 이윤이 실현될 수 있고 추가 자본이 축적될 수 있다. 더 많은 자본이 더 많은 잉여가치를 낳고, 이제 이런 잉여가치가 더 많은 자본을 낳는다. 상품이 유통 영역에 오래 남아 있게 하는 외부 요인, 또는 생산 과정 자체를 지체시키는 특성 같은 자기 팽창 과정의 걸림돌들은 자본주의적 계급의 사회적 노동 분업, 상업 자본과 은행 자본의 등장, 나아가 상품 운송 속도를 높이고, 세계적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통 과정의 길이를 최대한 단축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인 쇄도하는 성장 때문에 사라진다. 산더미 같은 상품들이 빛의 속도로 세계 도처에 분배되고, 그리하여 꾸준히 증식하는 가치(화폐 자본)가 전세계 활동 인구 중에서 소규모 인구(비록 절대 수치로 줄어들지는 않더라도)의 수중에 집중될 수 있다. 오늘날 세계 경제를 지배하는 기업은 아마 1000개 또는 2000개에 지나지 않을 듯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