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누구를 위한 도시인가

누구를 위한 도시인가

(현대 비판 도시 이론과 도시 사회운동)

닐 브레너, 피터 마르쿠제, 마깃 마이어, 크리스티안 슈미트, 카니쉬카 구네와데나, 캐서린 랜킨, 데이비드 매든, 데이비드 와쉬무스, 슈테판 크래트케, 오렌 이프타첼, 톰 슬레이터, 유스투스 아위테르마르크, 브루노 플리에를, 존 리스 (지은이), 김현우, 정철수 (옮긴이)
이매진
28,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650원 -10% 0원
1,420원
24,2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누구를 위한 도시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누구를 위한 도시인가 (현대 비판 도시 이론과 도시 사회운동)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55311400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3-07-21

책 소개

지금 우리의 도시를 지배하는 이윤 기반 도시화 방식을 거부하는 한편 비판 도시 이론과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에 대한 권리’ 개념에 기대어 대안적이고, 급진 민주주의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주의를 촉진하려는 논의를 담았다.

목차

그림과 표 차례
글쓴이 소개
서문과 감사의 글

1장 이윤이 아닌, 민중을 위한 도시 ― 들어가며 닐 브레너, 피터 마르쿠제, 마깃 마이어
2장 비판 도시 이론이란 무엇인가 닐 브레너
3장 무슨 도시에 관한 누구의 권리(들)인가 피터 마르쿠제
4장 앙리 르페브르, 도시권, 그리고 새로운 메트로폴리탄 주류 크리스티안 슈미트
5장 도시 사회운동들 속의 ‘도시권’ 마깃 마이어
6장 이론과 실천에서 보는 공간과 혁명 ― 여덟 개의 테제 카니쉬카 구네와데나
7장 계획의 실천, 그리고 비판적 개발 이론이 한 기여 캐서린 랜킨
8장 아상블라주, 행위자 네트워크, 그리고 비판 도시 이론의 도전 닐 브레너, 데이비드 매든, 데이비드 와쉬무스
9장 ‘창조 도시’라는 새로운 도시 성장 이데올로기 슈테판 크래트케
10장 비판 이론과 ‘회색 지대’ ― 피식민자의 동원 오렌 이프타첼
11장 사라진 마르쿠제 ― 젠트리피케이션과 축출에 관하여 톰 슬레이터
12장 현실 속 정의로운 도시? 암스테르담에서 벌어진 도시권 투쟁 유스투스 아위테르마르크
13장 주택 문제 해결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기 피터 마르쿠제
14장 사회주의 도시들, 민중을 위한 또는 권력을 위한? 브루노 플리에를과 피터 마르쿠제가 나눈 대화
15장 도시에 대한 권리 ― 이론에서 풀뿌리 동맹으로 존 리스
16장 무엇을 할 것인가? 그리고 대체 누가 할 것인가? 데이비드 하비, 데이비드 와쉬무스

맺는 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피터 마르쿠제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도시 계획가이자 변호사로, 컬럼비아대학교 도시계획학과 명예 교수다. 프랑크푸르트학파 철학자인 허버트 마르쿠제의 아들이다. 《지구화하는 도시들(Globalizing Cities)》(2000), 《국가와 도시에 관하여(Of States and Cities: The Partitioning of Urban Space)》(2002), 《정의로운 도시를 찾아서(Searching for the Just City)》(2009) 등을 공동 편집했다. 연구 분야는 도시 계획, 주택, 홈리스, 공공 공간 이용, 도시권, 도시와 사회 정의, 지구화, 도시사, 문화 행위자들 사이의 관계, 도시 개발 등이며, 요즘은 모기지 압류 위기 해법까지 아우른다. 비판적 도시 계획을 다룬 단행본과 지금까지 발표한 글에서 선별한 분석 사례들을 넣은 자매편을 쓰기 시작했다.
펼치기
마깃 마이어 (엮은이)    정보 더보기
베를린 자유 대학교에서 비교정치와 북미 정치를 가르치고 있다. 연구 초점은 비교정치학, 도시 정치와 사회 정치, 사회운동에 연구 초점을 맞춘다. 현대 도시 정치, 도시 이론, (복지)국가 재구조화에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다룬 논문을 발표했고, 대부분 비교 연구를 활용했다. 《유럽 도시 정치(Politics in European Cities)》(후베르트 하이넬트 공편, 1993), 《지구화하는 세계의 도시 운동(Urban Movements in a Globalising World)》(피에르 하멜, 헨리 루스티거 탈러 공편, 2002), 《신자유주의적 도시주의와 쟁점들(Neoliberal Urbanism and its Contestations)》(예니 퀸켈 공편, 2011) 등을 출간했다.
펼치기
닐 브레너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하버드 대학교 디자인 대학원에서 도시 이론을 가르친다. 그전에는 뉴욕 대학교 사회학과 도시학 교수였다. 《새로운 국가 공간들(New State Spaces: Urban Governance and the Rescaling of Statehood)》(2004), 《신자유주의의 공간들(Spaces of Neoliberalism)》(닉 시어도어 공편, 2002), 《지구적 도시 교과서(The Global Cities Reader)》(로저 키일 공편, 2006)를 출간했다. 관심 연구 주제는 비판 도시 이론, 사회 공간 이론, 국가 이론, 비교 지정학적 경제 등이다.
펼치기
오렌 이프타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스라엘 베르셰바에 자리한 벤구리온 대학교 정치지리학과 도시계획학 교수다. ‘미승인 거주지 지역위원회(Regional Council of the Unrecognized Villages·RCUV)’ 기획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인권 단체 ‘브첼렘(B’tselem)’의 공동 의장이기도 하다. 《토착민의 (부)정의(Indigenous (In)Justice: Land and Human Rights among the Bedouins in Southern Israel/Palestine)》(2012)를 여럿이 함께 썼다.
펼치기
톰 슬레이터 (엮은이)    정보 더보기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대학교 인문지리학 부교수다. 젠트리피케이션과 축출을 주제로 삼은 논문과 책을 여럿 출판했다. 영국 최대 연구 지원 재단인 레버헐름 재단(The Leverhulme Trust)에서 지원을 받아 도시 주변성과 영역적 낙인 찍기(territorial stigmatisation)에 관련된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카니쉬카 구네와데나 (엮은이)    정보 더보기
스리랑카에서 건축가로 경험을 쌓았고, 지금은 토론토 대학교에서 도시 디자인과 비판 이론을 가르친다. 《공간, 차이, 일상(Space, Difference, Everyday Life: Reading Henri Lefebvre)》(크리스티안 슈미트, 스테판 키퍼, 리처드 밀그롬 공편, 2008)을 엮었다.
펼치기
슈테판 크래트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브란덴부르크 주 프랑크푸르트안데어오데르 시 비아드리나에 자리한 유럽 대학교 경제지리학과 사회지리학 교수다. 얼마 전 《도시의 창조 자본(The Creative Capital of Cities: Interactive Knowledge Creation and the Urbanization Economies of Innovation)》(2011)을 출간했다.
펼치기
유스투스 아위테르마르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자리한 에라스무스 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다. 2010년에 〈네덜란드 통합 정치에서 권력의 역학〉이라는 박사 학위 논문을 끝마친 뒤, 지금은 젠트리피케이션, 사이버 정치, 통합의 정치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크리스티안 슈미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위스에서 활동하는 지리학자이며,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건축학부에서 도시사회학을 가르친다. 관심을 두는 연구 분야는 비교적 관점에서 본 도시화 과정, 도시 이론과 공간 이론을 포괄한다.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 생산 이론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려 시도한 《도시, 공간, 사회(Stadt, Raum und Gesellschaft: Henri Lefebvre und die Theorie der Produktion des Raumes)》(2005), 《스위스 ― 도시의 초상화(Switzerland: an Urban Portrait)》(로저 디너, 자크 헤르조크, 마르셀 메일리, 피에르 드 뫼롱 공저, 2005)를 출간했으며, 《공간, 차이, 일상(Space, Difference, Everyday Life: Reading Henri Lefebvre)》(카니쉬카 구네와데나, 스테판 키퍼, 리처드 밀그롬 공편, 2008)을 엮었다.
펼치기
캐서린 랜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토론토 대학교 지리학과와 도시 계획 프로그램에서 부교수이자 도시 계획 분야 책임자를 맡고 있다. 도시 계획과 도시 개발의 정치, 비교 시장 규제, 페미니즘과 비판 이론, 사회 양극화까지 폭넓은 분야에 관심을 쏟는다. 《시장의 문화 정치(The Cultural Politics of Markets: Economic Liberalization and Social Change in Nepal)》(2004)를 출간했고, 지금은 토론토에서 벌어지는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네팔을 사례로 갈등 이후의 이행과 정치적 주체성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데이비드 매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뉴욕 주 애넌데일 온 허드슨에 자리한 바드 대학교 사회학과 방문 조교수로 있다. 도시 연구, 정치사회학, 사회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펼치기
데이비드 와쉬무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토론토에서 도시계획가로 경험을 쌓았고, 지금은 뉴욕 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도시 정치경제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펼치기
브루노 플리에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베를린과 (1990년 이후) 베를린의 건축, 도시주의, 도시 계획에 관련된 이론, 역사, 비판적 분석을 전문 분야로 삼아 활동하는 프리랜서 학자다.
펼치기
존 리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거의 30년 동안 미국 버지니아 주에서 지역 사회 조직에 힘썼다. 세입자노동자연합과 뉴 버지니아 매저러티의 창립 회원이자 사무총장이며, 도시권연합의 공동 창립자이자 운영위원회 위원이다.
펼치기
정철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정치학을 공부한 뒤 2001년부터 출판 편집자로 일하고 있다. 지금까지 혼자 옮기거나 같이 옮긴 책 네 권은 모두 절판된 상태여서, 앞으로 오래갈 책을 쓰거나 옮길 작정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도시 연구에 관련된 비판적 접근은 다음 사항들에 관련된다. 첫째, 자본주의와 도시화 과정들 사이의 체계적인, 그러나 역사적으로 특수한 상호 교차 지점들을 분석하기, 둘째, 자본주의적 도시화의 전개를 형성하거나, 반대로 자본주의적 도시화를 통해 형성되는 사회 세력, 권력 관계, 사회공간적 불평등과 정치-제도적 구성의 균형 변화를 검토하기, 셋째, 기성 도시 질서들 안에 각인된 뒤 자연스러운 요소가 되는 (계급, 종족, ‘인종’, 젠더, 섹슈얼리티, 민족성 등 뭔가의) 주변화와 배제와 부정의를 드러내기, 넷째, 현대 도시 내부의 모순, 위기 경향, 잠재적 또는 실제적 갈등의 선을 판독하기, 그리고 이 결과를 기반으로, 다섯째, 좀더 진보적인, 사회적으로 정의로운, 해방적인, 지속 가능한 도시 생활을 형성하기 위한 전략적으로 핵심적인 가능성들을 분별하고 정치화하기.


비판 이론은 ‘주류’ 도시 이론이라는 이름이 붙을 만한 이론, 이를테면 시카고학파의 도시사회학에서 전해 내려오는 접근들, 아니면 기술 관료적이거나 신자유주의적인 정책학에서 활용되는 이론들하고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현재의 도시 조건을 사회 조직의 몰역사적 법칙, 관료적 합리성, 또는 경제적 효율성의 표현으로 인정하는 대신에, 비판 도시 이론은 도시 공간이 지닌 정치적이고 이데올로기적으로 매개되는, 사회적으로 경합되며, 따라서 가변적인 성격, 곧 역사적으로 특정한 사회적 권력 관계의 현장, 매개체, 결과물로서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특성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비판 도시 이론은 전해 내려오는 도시 이론뿐 아니라, 좀더 일반적으로는, 기성의 도시 구성들에 관한 적대적 관계에 기반한다. 비판 도시 이론은 다른, 좀더 민주적인, 사회적으로 정의로운, 지속 가능한 도시화 형태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런 가능성이 지배적인 제도적 질서, 관행, 이데올로기들을 통해 억압받고 있더라도 말이다. 요컨대 비판 도시 이론은 (사회과학적 이데올로기들을 포함해) 이데올로기에 관한 비판, 그리고 도시들 안과 도시 사이에서 나타나는 권력, 불평등, 부정의, 착취에 관한 비판을 포함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