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9791155351666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9-01-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동시대 큐레이팅을 말하다_전승보
1. 21세기 미술관과 큐레이팅
동시대 미술과 미술관의 동시대성_김희영
21세기 미래형 미술관_서진석
커뮤니티와 21세기 미술관_기혜경
지역 사회 연결자로서의 미술관_김세준
첨단 기술과 전통 방식이 공존하는 미술관_구보경
미술관 건축: 예술 작품이 된 미술관_김정락
박물관 행동주의와 그 윤리적 미래_박소현
2. 예술 정책과 큐레이팅
유휴 공간, 문화적 활용의 과제_김연진
#자생공간 #88만원세대 #굿즈 #신생공간 #서울바벨 #고효주 #세대교체 #청년관 #아티스트피 #SNS #대안공간2.0 #예술인복지법 #……_반이정
한국 비엔날레의 운영 현황과 사회 문화적 관계_조인호
레지던시란 무엇인가_박순영
포스트뮤지엄의 경계와 큐레이터십_조진근
예술 콘텐츠의 디지털화: 지식 유토피아로의 초청장인가 ─ 구글 북 프로젝트 논란을 통해_정필주
3. 큐레이터십과 큐레이팅
학예 연구직과 영국의 박물관 운영 사례_하계훈
제도와 미술의 역학 관계:
SeMA를 중심으로 본 공립 미술관의 작동 원리_임근혜
미술 비평과 전시 기획 ─ 비평적 전시 기획의 시작_김성호
전시를 통한 담론 생산_조선령
큐레이터와 큐레이팅_송미숙
전시 기획서 작성을 위한 가이드 I_전승보
전시 연출과 디자인 ─ <전시 디자인>을 통한 예술의 <수용과 전달>_김용주
공동체 문화 기획으로서의 큐레이팅_임산
동시대 미술과 아카이브 전시_정연심
독립 큐레이터_양지윤
나는 진정 대한민국의 큐레이터가 맞는가 ─ 전시 기획 현장에서의 체험적 자문자답_윤범모
4. 미술 교육과 큐레이팅
큐레이터십과 큐레이터 교육_양지연
21세기 미술관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_백령
큐레이팅과 미술관 교육_강수정
어린이 미술관 바로 알기_김이삭
디지털 박물관을 말하다: 전시, 아카이브, 교육_김윤경
지은이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건축 맥락에서 바라본 미술관은 한 지역의 랜드마크이자 지역 사회의 표상으로써 의미를 갖는다. 미술관 건립은 지역의 역사와 사회 그리고 여기에서 파생된 문화적 형상의 구체화라고 할 수 있다. 미술관이 공간이나 시각적으로 중심 자리를 차지함으로써 미술관은 과거 미술품의 수집과 전시라는 기본 기능 외에도 지역 공동체의 다양한 행사나 모임을 위한 공간이자, 외부로부터 찾아온 사람들에게 지역의 문화적 특수성을 체험하게 하는 공간으로서 그 의미가 더 중첩된다.
- <미술관 건축> 중에서
신생 공간 현상은 미술계의 차세대 출현이라는 신호인 양 읽힐 수도 있지만, 경고 신호로 읽는 편이 더 타당하다고 본다. 잊힌 예술의 원점을 환기시키고 미술계의 구조적 부조리의 일면을 바라보게 만드는 점에서 신생 공간 현상을 읽어야 한다. 한편으로는 놀이터와 사무실을 겸하는 목적으로 운영한다는 신생 공간의 생리로부터 예술의 원점이 <놀이>였다는 것을 환기해야 한다. 놀이는 삶에 확장성을 갖지 못한 채 너무 멀리 가버린 기성 미술계의 대척점에 놓인 가치이니 말이다.
- <#자생공간> 중에서
레지던시의 운영 방향은 예술가의 창작 자체에 도움을 주는 교육적 측면과 그들이 예술 활동을 지속하도록 활동 영역을 넓혀 주는 교류의 차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네덜란드 레이크스 아카데미의 레지던시 디렉터 엘리사벳 반 오데이크는 프로그램의 의미를 <미술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균형 잡히고 성숙하며 다각적인 미술가>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 말한다.
- <레지던시란 무엇인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