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55402542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6-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나다움을 잃지 않고 어른답게 산다는 것
1장 겸손: 자신 있게 고개 숙일 수 있는 마음
겸손이란 무엇일까? | 왜 겸손해야 할까? | 겸손은 예의나 친절함과 어떻게 다를까? | 겸손한 사람은 자신에 대해 잘 알까? | 겸손한 사람은 스스로를 어떻게 의식할까? | 감사와 겸손은 어떤 관계에 있을까? | 겸손과 자기 비하는 어떻게 다를까? | 겸손과 오만은 어떤 관계일까? | 겸손하면서도 높은 자존감과 자신감을 가질 수는 없을까? | 탁월한 자랑거리를 가진 사람만 겸손할 수 있을까?
+겸손의 덕목을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
2장 감사: 나를 위한 좋은 마음을 알아주는 마음
감사란 무엇일까? | 감사는 무엇으로 이루어졌을까? | 감사의 가치는 어디에 있을까? | 감사의 적절한 기준은 무엇일까? | 감사는 의무가 될 수 있을까? | ‘덕스러운 감사’는 어떤 것일까? | ‘나쁜 감사’도 있을까? | 존재에 대한 감사도 가능할까? | 감사와 비교할 만한 태도는 무엇일까?
+감사의 덕목을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
3장 효: 부모다움에 보답하는 자식다운 마음
왜 지금 효를 이야기할까? | 효란 무엇일까? | 효의 가치는 어디에 있을까? | 효의 윤리적 근거는 무엇일까? | 관계적 덕목으로서의 효란 무엇일까? | 현대의 효는 무엇이 달라져야 할까? | 인생의 시기에 따라 효는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 부모답지 않은 부모에게도 효도해야 할까? | 부모에게 순종해야만 효도일까?
+효의 덕목을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
4장 신뢰: 너에게 나를 기꺼이 내맡기는 마음
신뢰란 무엇일까? | 신뢰와 유사한 개념은 무엇일까? | 신뢰의 가치는 어디에 있을까? | 스스로의 의지로 신뢰할 수 있을까? | 자신에 대한 신뢰는 어떤 것일까? | 어떤 사람이 신뢰할 만할까? | 지혜롭게 신뢰하는 마음은 어떤 것일까? | 못 믿는 마음과 잘 믿는 마음은 왜 나쁠까?
+신뢰성과 신뢰심을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
5장 정직: 속지 않을 권리를 지켜주는 마음
정직이란 무엇일까? | 왜 정직해야 할까? | 정직과 솔직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 거짓말을 하지 않으면 정직한 것일까? | 일부러 속이는 행위는 항상 부정직할까? | 정직한 사람도 헛소리를 할까? | 정직한 사람은 약속도 잘 지킬까? | 자신에게 정직하지 못할 수도 있을까? | 인공지능은 정직할까?
+정직의 덕목을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들어가며
사실 겸손이나 정직처럼 우리에게 친숙한 덕목 개념을 철학적으로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을지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도둑질도 거짓말도 누가 나쁜 줄 몰라서 하나?” 이렇게 반문하는 분들도 있겠지요. 우리가 윤리적으로 살지 못하는 건 좋은 길과 나쁜 길을 몰라서가 아니라 좋은 삶을 실천할 의지가 부족할 뿐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좋은 길이 어떤 길인지 아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아무리 친숙한 덕목이라고 해도 그것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그런 덕목을 기르고 발휘해 나갈 방향성을 잡기가 어려울 테니까요. 우선 목적지를 알아야 그곳으로 가는 길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덕목이 ‘왜’ 가치가 있는 것인지를 아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그 덕목이 갖는 가치에 대해서 납득을 하지 못한다면 그런 덕목들을 기르고 발휘할 마음이 들지 않을 테니까요.
1장 겸손
겸손과 관련해서 또 한 가지 살펴볼 것은 자신에게 엄격하고 남에게는 관대한 태도입니다. 우리는 자신에게 엄격하여 쉽게 만족하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하며 위를 향하는 사람을 겸손하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자신을 그런 식으로 ‘특별 취급’하는 것 또한 겸손하지 못한 태도를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지요. 전교 1등 학생의 사례를 생각해봅시다. 가령 전교 1등을 하는 나일등은 시험 문제를 하나만 틀렸어도 만족하지 못하고 괴로워하고 ‘더욱더 잘해야 돼’라며 스스로를 채찍질합니다. 그때 괴로워하는 일등이에게 평소에 50점을 맞는 김긍정이 와서 “괜찮아, 성적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잖아”라고 위로해주었어요. 그런데 괴로워하던 일등이가 고마워하기는커녕 “너 같은 애는 괜찮겠지만 나는 안 돼!”라는 식으로 말합니다. 이런 사람은 스스로에게 만족하지 않고 계속 노력하려는 태도를 지녔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남을 깔보고 자기만 특별한 존재로 보고 더욱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려는 태도 때문에 오히려 겸손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처럼 자신에게만 다른 기준을 적용해서 다르게 취급하는 태도를 겸손하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