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리더십 > 리더십
· ISBN : 9791155422311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5-03-20
책 소개
목차
I. 반드시 성공하기 위하여!
1. 무슨 일을 하기 前에 이미 그 결과를 알 수 있다?! …… 18
2. 진정 성장과 변화를 원하는가? …… 24
II. 왜 코칭 리더십인가?
1. 리더십에 정답은 없다. 그러나 …… 32
2. 나의 리더십 스타일은? …… 35
3. 왜 코칭 리더십인가? …… 50
III. 먼저 자기 자신을 셀프 코칭Self Coaching하기
1. 잠시 “인생의 쉼표”를 주어라! …… 68
2. 먼저, 건강한 몸과 마음을 만들어라! …… 75
3. 나는 누구일까? …… 94
4. 나의 “사명선언문(Mission Statement)” 작성하기 …… 98
5. 나의 “자존감(自尊感)”을 높여라! …… 103
6. “장례식 상상하기”와 “유서” 쓰기 …… 105
7. 나의 “삶의 관점” 살펴보기 …… 107
8. 자기에게 편지 쓰기 …… 109
9. 지금 힘이 드는가? 그럼 이렇게 질문해 보아라! …… 111
10. 어떻게 살 것인가? …… 113
11. I have a Dream! …… 116
IV. 코칭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을 강화하기
1. 최고의 리더는 듣고 듣고 또 듣는다! …… 138
2. 진정으로 인정하고 지지해 주어라! …… 165
3. 가슴으로 칭찬하라! …… 173
4. 타고난 성향을 배려하라! …… 188
5. 좋은 질문이 좋은 답변을 이끌어낸다 …… 206
6. 피드백은 선물이다! …… 234
V. 부하 육성을 위한 코칭 실행하기
1. “부하 직원 코칭하기” …… 246
2. 코칭 프로세스 …… 266
3. 제 1세션(부하 직원과 친밀함과 신뢰감을 갖고 코칭 시작하기) …… 269
4. 제 2세션(주제별 목표 및 실천방안 설정하기) …… 300
5. 제 3세션(코칭 리더십 역량 “인정/지지/칭찬” 학습하기) …… 312
6. 제 4세션(코칭 리더십 역량 “경철” 학습하기) …… 315
7. 제 5세션(Life Story 경청 및 쉐도우 코칭하기) …… 317
8. 제 6세션(코칭 리더십 역량 “코칭 대화” 학습하기) …… 324
9. 제 7세션(자아 성찰 & 소중한 꿈 이루기) …… 326
10. 제 8세션(코칭 종합 정리 & 셀프 코칭 주제 및 목표 설정) …… 337
11. 제 9세션(팔로우 업 코칭 & 지원 시스템 구축) …… 345
VI. 코칭 리더십 실천 노트 양식 모음
(셀프 코칭&부하 코칭 실천 노트)
1. 셀프 코칭 실천 노트 …… 350
성정과 변화를 위해서·나의 리더십 스타일 평가 및 리더십 목표 설정·코칭 리더십에 대한 이해와 활용 목표·“행복한 성공”을 위한 질문·리더로서 달성할 목표·확언&핵심 달성 전략· 스트레스 자가 진단 테스트·건강관리를 위한 셀프 코칭·나의 존재가치 정하기·“사명선언문” 작성을 위한 사전 정보 파악·“사명선언문”·나의 “장례식 장면” 상상하기&“유서” 작성해보기·본인에게 편지 쓰기·“소중한 꿈”작성&“달성 옵션” 만들기
2. 부하 코칭 실천 노트 …… 363
코칭 Vision&Action Plan·코칭 목표 설정 및 실천 계획·직원 정보 파악을 위한 질문 참조 양식·코칭 실시 전 사전 설문·코칭 보고서·코칭 세션 사전 준비·코칭 주제별 목표 설정을 위한 이슈 도출·코칭 주제별 목표 합의서·코칭 주제별 목표 달성을 위한 실천 계획·코칭 일지·직원 DISC 성향 검사 결과 및 리더십 방향 설정·경청->관찰->미러링·코칭 대화 실습·소중한 꿈과 꿈 달성을 위한 옵션 만들기·코칭 전체 리뷰&평가·성공 모습 촬영&핵심 실천 계획·코칭 보고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코칭 리더십의 필요성 배경
그동안 우리는 산업화 시대를 지나면서 성과 창출과 고속 성장을 위해서 획일 된 사고의 강요, 인간성의 존중이나 개인적인 삶, 그리고 가족보다는 회사를 우선시하는 등의 많은 희생을 하였고 그 희생도 어느 정도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시대를 살아왔다.
특히, 조직 관리에서도 상사의 이론을 바탕으로 상사가 직접 해답을 제시하고, 지시하고 명령하는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 부하를 지배하는 수직적인 종속 관계가 주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작금의 시대에는 인권의 강화, 각 개인의 욕구 다양화에 따라 예전과 같은 일방적인 지시와 질책은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다. 즉 개인 자존감의 저하와 조직 분위기의 경직으로 성과 창출도 안 되고 재미도 없는 건조한 조직으로 전락하고 마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와 통제 중심의 리더십에 한계를 느끼게 되었고 상생과 소통의 새로운 리더십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상생과 소통의 리더십이 바로 “코칭 리더십” 인 것이다. “코칭 리더십”은 부하 직원 스스로 해답을 창출하게 하고, 현장 솔루션을 스스로 개발하게 하며, 상사는 부하에게 무한한 신뢰와 후원을 보내주며 상호 책임을 지어 준다.
또한 수평적 조직 체계로 창조적·자율적 인재를 육성하고, 질문형 의사소통으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소통을 함으로써 성과 창출은 물론 “신바람 일터”의 기틀을 만든다.
탁월한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을 코칭하라!
조직이 나아갈 바를 제시하며 인재를 육성하고 그들의 뜻을 하나로 묶는 공유가치를 형성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중심적인 위치인 리더가 된다고 하는 것은 한 번의 삶을 사는 동안 대단한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인이 원했든 원하지 않았든 현재 리더의 위치가 되었을 때는 기왕이면 조직과 본인에게 보람과 자긍심을 갖는 결과를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탁월한 리더”가 되는 것이다. 특별히 “탁월한 코칭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자기 자신을 성찰하는 “셀프 코칭”이 필요하다.(...)
즉, 본인 스스로 자아 성찰을 통해 삶을 재조명함으로써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설계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앞만 보고 열심히 달려온 리더들에게 “셀프 코칭”을 통해 잠시 인생의 쉼표를 제공하면서 옆도 돌아보고 뒤도 돌아보면서 “삶”에 대해서, “행복”에 대해서 특히, 자기 자신의 내면과의 대화를 통해 “자기 성찰”을 하는 것으로 올라갈 때 보지 못한 삶에서 중요한 그 꽃들을 스스로 ”셀프 코칭”을 통해 보는 것이다.
V. 부하 육성을 위한 코칭 실행하기
부하 직원의 “자존감自尊感” 을 높여 자긍심을 불러일으켜라!
부하 직원의 마음을 활짝 열게 하고 진솔한 대화를 유도하기란 쉬운 일은 아니다. 어떤 질문을 했느냐에 따라 서먹한 분위기가 조성될 수도 있다. 회사에서 하는 코칭의 특성 상 부하 직원 본인이 간절히 원해서 받는다기보다는 리더의 요구와 설득에 의해 받기 때문에 약간은 피동적인 상태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겉으로는 리더에게 예의를 갖추고 있지만 코칭에 부정적인 상태로 마음의 문을 닫고 임하는 부하 직원도 있다. 그리고 친해지기 전까지는 쉽게 마음을 열지 않는 성향의 부하 직원들도 있다.
이런 부하 직원들을 어떻게 하면 자발적으로 또한 적극적으로 코칭에 임하게 할 수 있을까?(...)
자존감을 높여주는 질문 유형
-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가장 보람 있고, 스스로 가장 자랑스러웠을 때가 언제였습니까? 3가지만 이야기해 보겠어요?
- 그렇게 성취할 수 있었던 성공 요인은 어떤 것이었습니까?
→ 성취한 3가지 사건에 대한 성공 요인에 대해 인정과 지지 및 칭찬을 한다.
- 본인이 생각하는 자신의 장점은 무엇입니까? 스스로 어떤 면을 가장 좋아합니까?
- 사람들은 당신의 어떤 점들을 가장 인정해줍니까?
- 그 동안 성취한 성공 요소와 스스로 장점 및 남들이 인정한 것들을 활용하고 열정을 쫓는 일에 전력을 다 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상상해 보세요. 당장 어떤 일을 할 것 같습니까?
→ 부하 직원의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욕구의 본질에 대해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 부하 직원의 열정과 간절함이 있는 목표가 도출되었을 때는 자연스럽게 달성했을 때의 모습 상상하기, 목표 달성에 대한 의미 부여하기, 달성 모습을 뇌에 각인시키기, 확언으로 만들어 실천하기 등까지를 진행한다. 여기서 도출된 주제나 목표가 코칭 전반에 걸쳐 목표를 설정 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