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新 차이나 드림

新 차이나 드림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위한 액션플랜!)

김용준, 서정희, 노은영, 이규창 (지은이)
매일경제신문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新 차이나 드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新 차이나 드림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위한 액션플랜!)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55425541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6-09-30

책 소개

저자는 우리가 도전해야 하는 중국 시장은 한반도의 44배에 달하는 전체 시장이 아니라 새롭게 부상하는 중국의 2·3선 신흥도시라고 강조한다. 특히, 중국의 중·서부지역은 중국 평균인 6.5%를 상회하는 8% 이상의 높은 성장을 추구하면서 각 성별로 특화된 경제권을 조성할 것으로 전망한다.

목차

1장 덩샤오핑 전략을 활용하라
장제스의 스프레드 전략 / 마오쩌둥의 점·선·면 전략 / 덩샤오핑의 클러스터링 전략

2장 2·3선 도시로 진출하라
중국의 성장 유망한 6대 지역 / 허난성 정저우: 중·서부와 동부 연안을 잇는 경제와 교통의 중심지 / 후베이성 우한: 유구한 역사와 정치의 중심지 / 후난성 창사: 창장 이남의 지역거점 / 산시성 시안: 세계 4대 고도이자 서북부의 중심지 / 쓰촨성 청두: 서부지역 최대의 도시 / 충칭: 서부지역의 유일한 중국 4대 직할시

3장 중국 자유여행객을 공략하라
요우커 1,000만 시대, 그들은 누구인가? / 바링허우: 1980년대에 태어난 소황제 1세대 / 주링허우: 1990년대에 태어난 스마트 소비 세대 / 바링허우와 주링허우는 어떻게 여행하는가? / 라이프 스타일로 보는 중국 소비자

4장 스마트 플랫폼을 활용하라
한층 스마트해지는 중국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 새롭게 떠오르는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 스마트와 건강으로 중국 소비자를 공략하라 / 중국 O2O 플랫폼에 주목하라

5장 바이럴 마케팅을 활용하라
바이럴 마케팅은 중국에서도 통한다 / 왕홍: 중국판 파워블로거 / 웨이상: ‘공유하는’ 바이럴 마케팅 / 공중호: 1:1로 커뮤니케이션하는 바이럴 마케팅 / 한국 기업의 성공사례: 레디큐 - 츄 / 모바일 기반 바이럴 마케팅에 주목하라

6장 서비스 기업은 합작하라
중국도 이제 서비스 산업의 시대다 / 한국 기업의 성공사례: 바디텍메드, 미스터피자 / 막강한 잠재력을 가진 중국의 문화 산업

7장 중국발 한상기업을 육성하라
펑타이: 한국 디지털 시장의 교두보 / 카라카라: 한국의 기술, 중국의 가격으로 승부한다 / 에이컴메이트: 중국 내 한국 상품의 최대 유통 채널

8장 한류노믹스를 구축하라
한류 1.0에서 한류 3.0으로 / 한국 기업의 성공사례: 아이웨딩, 로보로보 / 의료 산업, 인테리어, 문화 산업 합작에 주목하라

저자소개

김용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대학원 원장, 경영대학 교수이며, 성균관대학교 한중디지털경영연구소 소장이다. 서울대학교(경영학사)와 미국 텍사스대학교(경영학 석사), 노스웨스턴대학교(마케팅 박사)에서 공부하였다. 이후 캐나다 브리티시콜롬비아대학 조교수, 중국 상하이 교통대학교 초빙교수, 중국 청화대학교 객좌교수와 홍콩중문대학교 초빙교수를 역임하였다. 삼성 오픈타이드차이나의 초대 사장을 하였다. 이건환경과, (주)농심, LG패선, 한독, 현대해상, 사외이사로 활동하였으며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T, 아모레퍼시픽, 두산, 매일유업 자문교수로 산학협력을 하였다. 한국경영학회 회장, 한국국제경영학회 회장, 한국마케팅학회 회장, 한국경영학회 KBR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최근에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아틀란틱 카운슬(Atlantic Council)에서 Non-Resident Senior Fellow로서 미중 경제전쟁하의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EV), AI 분야에서 한국기업의 생존전략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 1. What is coming next in Asia?: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Businesses, & Careers(2017.12), Academy of Asian Business 2. 한상기업의 문헌연구와 향후 연구방향(2017.12), Korea Business Review 3. How Marketing Factors Influence Online Browsing and Sales: Evidence from China’s E-Commerce Market(2017.11), Journal of Applied Business Research 4. 중국 금융기관의 리더십과 기업문화가 제휴 파트너 간 지식공유 성과에 미치는 영향(2016.06), 현대중국연구 5. 중국기업인이 인식하는 한국 국가이미지 효과에 관한 연구(2015.09), 국제지역연구 6. 한중 비즈니스 관계의 갈등과 그 해결방안에 대한 모색(2015.05), 무역상무연구 주요 저서 1. 혁신의 시간(2016), RHK코리아 2. 한국의 마케팅(2016), 박영사 3. 新차이나드림(2016), 매일경제신문사 4. 중국 시장문화와 현대기업문화(2016), 한국학술정보 5. 한국의 국제화(2014), 박영사 6. 중국 일등기업의 4가지 비밀(2013), 삼성경제연구소
펼치기
서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경제학부를 나왔고, 미국 미주리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0년 매일경제신문에 입사해 경제부처를 중심으로 경제, 금융, 정보통신 분야를 주로 취재하며 시장과 정부의 역할에 주안점을 두고 관찰했다. 워싱턴 특파원, 논설위원, 경제부장, 금융부장, 증권부장, 지식부장 등을 거치고 MBN 보도국장, 매일경제TV 대표를 역임해 신문과 방송을 두루 경험했다. 현재는 매경출판 대표로 재직 중이다. 언론인으로서 관훈클럽과 편집인협회 위원을 맡아 활동했고, 씨티언론인상 대상을 비롯해 많은 상을 수상한 바 있다. 대외적으로는 총리실 규제개혁위원회, 기획재정부 금융발전심의위, 연기금투자풀운영위, 재정자문회의 위원 등을 맡아 폭넓은 활동을 한 바 있고, 민간 은행의 사외이사로 기업 경영에도 참여해본 경험이 있다. 2009년부터 13년간 서울대 경제학부에서 객원교수 등으로 금융경제세미나 강의를 맡아 진행해왔다. 저서로는 《나는 분노한다》, 《브런치 경제학》 등이 있다.
펼치기
노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인민대학에서 중국 경제법 전공으로 법학석사 ·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성균관대학교 현대중국연구소 선임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겸임교수, 경희대학교 법무대학원 외래강사, 한국국제경영학회 이사로 있다. 「중국의 기업구조조정제도에 관한 소고: 타율적 기업구조조정을 중심으로」, 「중국의 지분형 크라우드펀딩 규제에 관한 연구」, 「중국 인터넷금융의 감독법제에 관한 연구」, 「중국 대형상업은행 사회적 책임의 법률적 측면 및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중국 국유상업은행 지배구조에 관한 법적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한국 중소기업의 중국 내수시장 진출 성공전략”, “중국 2 · 3선 도시 Premium 시장진출 및 중국진출 증기 CEO 교육방안 연구”, “중국 주재원사관학교 차년도 운영을 위한 커리큘럼 연구 및 개발” 등 다수의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펼치기
이규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연합인포맥스 기업금융팀장 등을 거쳐 현재 매일경제TV 취재부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덩샤오핑의 클러스터링 전략에서 가장 큰 특징은 중국 시장의 구획을 《삼국지》 조조의 나라였던 창장 이북 지역, 손권의 나라였던 창장 이남 지역, 유비의 창장 상류 지역 및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창장 하류 지역 등 4개 권역으로 구분한 것이다. 이러한 구분은 기본적으로 4개 권역이 서로 다른 지역성을 가진다는 의미라고 보면 된다.
- <1장 덩샤오핑 전략을 활용하라> 중에서


한국의 중소·중견기업이 성장거점으로 공략해야 할 거점지역은 중국의 2·3선 도시다.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와 같은 중국의 1선 도시는 글로벌 기업들과 중국 로컬 기업 간 경쟁으로 과열된 상태다. 글로벌 기업들조차 로컬 기업에 밀려 철수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4선 도시 이하는 기업 경영에 반드시 필요한 인프라가 매우 미비하다. 반면, 과거 대도시를 중심으로 형성됐던 소비시장이 중소도시로 확산되면서 2·3선 도시의 소비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 <2장 2.3선 도시로 진출하라> 중에서


중국의 신인류인 바링허우와 주링허우에 대해 좀 더 살펴보자. 1980년대에 태어난 바링허우와 1990년대에 태어난 주링허우는 중국 인구 중 약 30%인 4억 명에 달한다. 이들이 중국 전체 소비의 45%를 차지한다. 또한 2015년 중국 GDP에 대한 여성의 기여도는 41%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다. 현재 중국은 ‘그녀들의 시대’로 일컬어진다. ‘그녀들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여성경제’, ‘그녀들의 소비’, ‘그녀들의 창업’ 등 여러 신조어가 탄생했다.
- <3장 중국 자유여행객을 공략하라>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